페미니즘으로 다시 쓰는 옛이야기
지현 외 지음 / 이프북스(IFBOOKS)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을 보면서 떠올린 작품들.

 

[흑설공주 이야기], [바다로 간 마녀]. [이갈리아의 딸들]

 

이 작품들은 서양에서 전래된 동화를 페미니즘으로 다시 썼거나, 또는 남성 중심의 사회를 여성 중심의 사회로 바꿔서 표현했다. 그래서 남성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왔다는 것을 깨닫도록 해준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작업이 이루어져 왔겠지만, 이번에 나온 작품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작품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다시 쓴 것이다.

 

대상 작품은 '콩쥐 팥쥐, 홍길동전, 구미호 이야기, 나무꾼과 선녀'다. 이 중에 홍길동전은 홍길동전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고쳐쓴 것이 아니라, 아기장수 이야기와 오누이 대결을 홍길동이라는 이름을 빌려 다시 쓴 것이다.

 

그냥 전래동화를 재미있게 읽어왔는데, 그 전래동화가 재미를 넘어 우리들이 사고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교육학 용어로 말하면 잠재적 교육과정에 해당했음을 이 작품들 뒤에 실려 있는 작가의 말을 통해서 깨달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작품들과 더불어 책의 맨 뒤에는 단군신화를 재해석한 글이 실려 있다. 우리는 흔히 단군할아버지라고 하고, 우리 조상이라고 하지만, 그 신화 속에 담겨 있는 가부장적인 모습, 남성성을 확대 · 유지하는 역할을 단군신화가 하고 있었음은 생각하지 않는다. 이 글은 그 점을 지적하고 있다.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견해가 다를지라도 이런 견해가 있다는 것은 남녀가 동등하게 지내려면 참조할 필요가 있단 생각이 든다.

 

첫째,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월성이 남성 3대의 타고난 신성으로 인정되고 정당화되었다. 둘째, 여성을 남성 3대(시아버지, 남편, 아들)의 수직적 관계 속에 위치시킴으로 인해 가부장적 혈통제에 대한 여성의 복종이 완성되었다. 셋째, 한 남자(환웅)와 두 여자(웅녀와 호랑이)를 수평적 관계로 위치시킴으로써 일부다처제의 전통이 자리 잡고 정당화되었다. (280-281쪽)

 

부록으로 실린 단군신화의 해석이 이렇게 다를 수도 있고, 이렇게 해석될 수도 있음을 생각하면, 페미니즘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데도 여러 시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동안 남성성을 중심으로 한 가부장적인 사고체계가 지속적으로 우위를 점해 왔다는 것이다. 그것이 알게 모르게 여러 이야기를 통해 우리들 무의식에 고착되어 있었으므로, 그런 무의식에 쌓여 있던 사고체계를 흔들어 놓을 필요는 있다.

 

흔들려야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한번은 어, 정말 그런가 하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왜 콩쥐팥쥐에서 팥쥐와 계모는 나쁘게만 나오는가? 물론 베델하임처럼 성장 이야기로 읽어서 부모로부터, 또 형제로부터 독립된 개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렇게 대타적으로 악인을 설정하고, 그 존재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하는 말도 성립하겠지만, 그렇게 계모와 계모의 자식을 악인으로 설정하는 것 자체가 이미 가부장적인 면을 수용하고 있는 이야기 방식이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집에서 팥쥐는 능력있고 우애 있는 여성으로 그려지고 있고, 계모 또한 사려 깊은 사랑이 많은 사람으로 표현되고 있다. 여성들이 남성들에게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홍길동의 누나로 나오는 홍길영 역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능력, 어쩌면 더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그리고 오누이가 대결하는 것이 아니라 힘을 합치는 모습으로 표현해서 비극이 아닌 진취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구미호 이야기는 특히 슬프다. 왜 구미호에는 수컷이 없는가라는 생각을 한번도 해보지 않았는데, 구미호 이야기를 서양 중세의 마녀 사냥과 비교하고, 힘없는 여성을 짓밟는 남성들의 야만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선녀와 나무꾼은 많이 언급되는 작품이고, 다르게 표현된 작품이기도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딸을 등장시킨 것이 의미가 있다. 딸에게도 크나큰 짐이 지워졌음을, 이 작품에서 알 수 있는데, 그래서 부부간의 문제가 부부간의 문제로만 끝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서로가 서로에게 짐을 지우지만, 그 짐을 서로가 덜어줄 수 있어야 함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 옛이야기를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다시 쓴 작품들. 읽어볼 만하다. 아니, 읽어야 한다. 페미니즘이 남성을 공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존재하는 사상이니, 이런 작품을 읽고 내 안에 있던 가부장적 요소들을 들여다 보는 눈이 필요함을 깨닫고, 노력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