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으로부터 - 감히 그 이름을 말할 수 없는 사랑을 위해
오스카 와일드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카 와일드가 쓴 '행복한 왕자'를 읽으면 참 행복했다. 그렇게 자신의 모든 것을 남을 위해 줄 수 있는 삶을 살아가는 존재를 만난다는 것.

 

세상이 악보다는 선이 더 많다는 것, 받는 것보다 주는 행위에서도 행복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 동화.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을 읽으면서는 삶에 대해서, 삶이 자신의 몸에 어떻게 새겨지는지를 생각했다. 내 몸은 내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유미주의니, 탐미주의니 하는 것들을 떠나 그냥 그렇게 그의 작품을 읽으며 삶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런 오스카 와일드가 동성애자였다고 한다. 동성애자. 그게 무엇이 문제인가? 서양의 고대에서는 동성애는 자연스러운 사랑의 한 종류 아니었던가.

 

기독교가 지배 윤리로 작동하면서 동성애는 배격해야 할 사랑이 되었다. 그래서 동성애는 죄악이고, 질병이고, 어떻게든 사회에서 격리하든지, 치료하든지, 처벌해야만 하는 악이 되었다. 감정이 죄가 되는 현상이 벌어진 것.

 

하여 오스카 와일드는 작가로서 정점에 있을 때 소송에 휘말리게 되고, 패소하면서 감옥에 가게 된다. 그는 정점에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 것이다. 그야말로 이 책 표지에 적혀 있는 '감히 그 이름을 말할 수 없는 사랑을 위해'라는 말처럼 사랑을 했다고, 그것을 밝혔다고.

 

그래서 그는 감옥이라는 심연에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그 심연은 그에게 그냥 바닥이 아니다. 삶을 더 깊게 볼 수 있는 장소가 된다. 자신이 한 사랑을 되돌아 보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사랑했던 사람을 더 깊게 볼 수 있게 된 시간과 공간. 바로 그 장소.

 

그 장소, 심연으로부터 그는 편지를 쓴다. 그가 사랑했던 사람에게. 그 내용 중에서 몇 부분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나 역시 환상을 가지고 있었지. 나는 내 삶이 한 편의 눈부신 희극이 될 거라고 믿었어. 당신은 그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우아한 인물 중의 하나일 거라고 생각했고. 그런데 알고 보니 내 삶은 한 편의 역겁고 혐오스러운 비극이었던 거야. 그리고 그 대재앙의 사악한 - 한 가지 목적만의 추구와 편협한 의지력의 발현에서 - 동인은 바로 당신이었지.  (88쪽)

 

사람은 상상력을 먹고 자라지. 우리는 상상력에 의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현명해지고,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나아지고, 지금의 우리보더 더 고귀해질 수 있어. 상상력에 의해 우리는 삶을 하나의 전체로 볼 수 있는 거야. 그리고 오직 상상력에 의해서만 실제적이고 이상적인 관계 속에서 다른 이들을 이해할 수 있고 말이지. 오직 아름다운 것과, 아름답게 상상된 것만이 사랑을 살찌울 수 있는 거야. 하지만 증오는 무엇이든 먹고 살을 찌울 수 있지. (90쪽)

 

증오는 우리를 눈멀게 하지.  ... 사랑은 아주 멀리 떨어진 별에 쓰인 것도 읽을 수 있게 하지만, 증오는 당신을 철저히 눈멀게 해 담장으로 둘러싸인 옹색한 정원, 방탕함으로 꽃이 시들어버린 저속한 욕망의 정원 너머는 볼 수 없게 만들지. 당신의 끔찍한 상상력 부족 - 당신 성격 중 실제로 치명적인 단 하나의 결점 - 은 전적으로 당신 안에서 살았던 증오의 결과물이야. (92쪽)

 

예술가는 오직 표현을 통해서만 삶을 상상할 수 있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은 그에겐 죽은 것이나 다름없지.  하지만 그리스도는 전혀 그렇지가 않아. 그는 우리를 경외감으로 가득 채우는 광범위하고도 경이로운 상상력으로, 목소리를 잃어버려 표현을 하지 못하는 고통의 세곌르 자신의 왕국으로 삼아 스스로 그곳의 영원한 대변자가 되었지. ... 아름다움의 개념을 슬픔과 고통을 통해 실현하는 사람의 예술적 기질과 함께, 어떤 생각이든 하나의 이미지로 구현되지 않는 한 아무런 가치가 없음을 느끼고는 자신을 고통의 인간의 이미지로 구현한 거야. 그는 그런 식으로 예술을 매료하고 지배했어. (170-171쪽)

 

더 깊이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은 고통을 겪은 사람들에게 주어진 특권이지. 그리고 난 그런 사람이 되었다고 생각해. (188쪽)

 

사실, 나의 몰락은 삶에 개인주의를 지나치게 요구해서가 아니라 너무 적게 요구한 데서 비롯된 거야. 내 삶에서 유일하게 수치스럽고 용서받을 수 없고 경멸할 만한 행위는 당신 아버지로부터 나를 지켜달라며 마지못해 사회에 도움과 보호를 요청했다는 거야. (194쪽)

 

속물은 사회의 무겁고 거추장스럽고 맹목적이고 기계적인 힘들을 지지하고 돕는 사람, 그리고 인간이나 어떤 운동 속에서 역동적인 힘을 만날 때 그것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지. (196쪽)

 

그는 이렇게 감옥에서 더 깊어졌다. 그런데 그 깊어짐이 작품활동으로 나왔어야 하는데, 더 이상의 작품활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그의 작품을 언급하는 것은 감옥에 가기 전 작품들인 것이다.

 

삶이 예술을 이긴 경우라 해야 하나? 이미 감옥에 다녀온 와일드로서는 개인주의자가 되는 것이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이미 사회 속 개인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늘 동성애자라는 딱지가 따라다녔을 테니, 개인주의자로서 사회를 무시하고 살아가기에는 너무도 힘든 딱지였을 것이다.

 

주홍글씨... 이것을 극복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특히 오스카 와일드처럼 정점까지 올라갔던 사람에게는. 하지만 그는 그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편지글을 남겨주었다. 편지글을 통해 그의 삶을 어느 정도 알 수 있고, 또 그가 예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알 수 있게 되어 그 점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이 책 뒷부분에는 앙드레 지드의 오스카 와일드에 대한 글이 실려 있다. 지드가 만난 와일드. 이 글들이 이 책을 더욱 빛나게 한다.

 

와일드가 이런 일을 겪은 지 100년도 더 지났다. 그런데도 지금 우리는 와일드가 겪은 일에서 자유로운가? 그런 질문을 한다는 것 자체가 여전히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와일드가 개인주의적인 일을 사회에 호소했다는 실수를 자책하고 있지만, 우리들 대부분은 개인주의를 사회적 압력으로 굴복시키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이 책은 더더욱 읽어야 한다. 우리에게 여전히 부족한 것이 개인주의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