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자의 뇌가 멈춘 날, 개정판
질 볼트 테일러 지음, 장호연 옮김 / 윌북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뇌졸중에 걸린다면? 생각할 수가 없다. 뇌졸중에 걸리면 생각을 할 수 있는지 다른 사람이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뇌졸중에 걸린 사람이 생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 그건 단지 그 사람이 표현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표현하지 못한다고 생각을 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이 책을 보니 확실히 알겠다. 뇌졸중으로 표현을 하지 못하더라도 생각을 하고 느낌을 계속 지니고 있다는 것을.

 

뇌학자인 질 테일러가 어느날 뇌졸중에 걸렸다. 자신의 몸이 말을 듣지 않는 과정을 느끼면서 뇌졸중이 왔음을 알게 된다. 문제는 여기부터다. 연락을 해야 하는데 뇌기능이 상실되어 몸을 쉽게 움직일 수가 없다.

 

뇌혈관이 터졌는데 언어를 담당하는 좌뇌 쪽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기억과 언어에 문제가 생긴다. 물론 행동에도 문제가 생기는데... 연락을 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기억해야 하는데 잘 떠오르지 않는다. 게다가 전화를 걸었어도 말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다행히 연락이 되고 지인이 찾아와 병원에 가게 된다.

 

뇌수술을 해야 한단다. 두개골을 절개하는 일. 잘못될지도 모르지만 그냥 놓아두었을 때 또다시 뇌졸중이 올 수도 있고 그때는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것. 결국 수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수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좌뇌를 쓸 수 없을 때 우뇌가 작동함을, 그리고 우뇌를 통해 평안함을 경험하게 된다. 언어로 세상을 인지하는 것에서 그림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방법도 알게 되고. 자폐증을 앓던 템플 그랜딘이 그림으로 생각한다고 하던데, 그것이 우뇌를 이용한 생각법이겠단 생각이 들었다.

 

평온을 유지하는 상태. 이를 열반에 든 상태나 몰아의 경지에 이르른 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좌뇌가 활발히 활동할 때는 경험할 수 없는 일이다. 좌뇌는 언어를 중심으로 합리적으로 생각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다시 과거 자신의 모습으로 갈 필요가 있을까? 이렇게 평온한 상태를 굳이 다른 상태로 옮길 필요가 있을까? 하지만 질 테일러는 자신의 좌뇌를 살리기로 한다.

 

단계적으로 천천히 할 수 있는 만큼 노력을 한다. 그래서 어느 정도 과거의 자신을 살리게 된다. 이런 과정이 결코 짧지 않다. 8년이란 시간을 통해서 한 단계, 한 단계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얻게 된 성과인 것이다.

 

이렇게 뇌과학자의 뇌졸중 경험기를 통해서 세 가지를 생각하게 됐다. 우선 회복하기 위해서 무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 뇌가 손상되었을 때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면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또한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하나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들도 표현만 못할 뿐,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 따라서 이들을 대할 때 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지녀서는 안 되고 잠시 아픈 사람일 뿐이라는 생각을 하고 그렇게 대해야 한다는 것. 부정적인 에너지를 지니고 이들을 만나지 말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지니고 만나야 한다는 것.

 

여기에 우리의 뇌는 좌뇌와 우뇌로 구성되어 있어 얼핏 두 명의 인간이 한 뇌에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 이 두 뇌가 뇌량을 통해 활발하게 교류하고 협력하고 있으니, 자신의 마음을 조절하는데 이런 뇌의 기능을 알면 많이 도움이 된다는 것.

 

뇌졸중. 어느 순간 찾아올 수 있는 질병이지만 인간의 뇌는 가소성이 있다는 것. 결코 불가역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뇌과학자가 자신이 경험한 뇌졸중에 대해 쓴 책이기 때문에 더욱 흥미가 있다.

 

우리 인간이 우주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독창적이고 독립적인 존재이기도 하다는 것을 질 테일러라는 뇌과학자의 경험기를 통해 알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