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 썰록
김성희 외 지음 / 시공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비는 문학보다는 영화에서 더 유행했다.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좀비가 예술에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월드 워 Z'가 있고, '부산행'이 있고 또 기타 등등 많은 좀비 영화들이 있었는데, 물론 좀비 영화도 문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좀비는 인간이었던 존재, 지금은 인간이 아닌 존재다. 우리나라 귀신과 좀비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 다른 점은 귀신은 주로 밤에 나타난다면 좀비는 시도때도 없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 귀신은 자신에게 해를 입힌 존재를 응징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면 좀비는 불특정 다수를 공격한다.

 

이런 점에서 차이가 많이 나는데, 지금은 귀신의 시대가 저물고 좀비의 시대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세상이 명확한 인과관계로 맺어지기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너무도 얽히고설켜 무엇이 원인이고 결과인지 정확하게 가를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러니 좀비가 등장해 아무나 눈 앞에 보이는 존재를 물어뜯고 마는 것. 어쩌면 세상에 좀비와 같은 존재들이 득시글거리고 있는 현실을 예술로 승화시켜 보여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예술 작품에서 좀비가 많이 등장하고 유행한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에 좀비와 비슷한 존재들이 있음을 우리들이 무의식 중에 자각하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은 우리나라 소설을 좀비를 등장시켜 재탄생시킨 작품들을 모아 놓았다. 고전소설이라고 하는데, 근대소설에 들어가는 작품도 있으니, 우리 소설과 좀비의 만남 정도 되겠다.

 

대상이 된 우리나라 소설은 (아니 다섯 편이 모두 소설이라고 할 수는 없다, 관동별곡은 정철이 쓴 가사 작품이니까. 가사 작품은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시와 수필의 요소를 갖추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정철의 관동별곡,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황순원의 소나기다.

 

이들을 각자 좀비와 만나는 작품으로 재탄생 시켰는데... 기존 작품의 틀을 유지한 작품도 있고, 기존 작품에서 빈 틈을 찾아내 메운 작품도 있다.

 

관동별곡, 강원도 관찰사로 가는 정철의 이야기...갈 때 만나는 좀비, 좀비들을 퇴치할 수 있는 약(김치)을 만드는 것. 관료들의 무책임. 이런 것들을 잘 버무린 김성희가 쓴 소설인데... 제목을 영화 부산행을 연상할 수 있게 '관동행: AMA TO GWANDONG'이라고 했다.

 

이 소설을 읽으며 우리가 학교 다닐 때 죽어라 외웠던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쓴 정철을 떠올리기보다는 몰락한 양반, 꾀죄죄한 양반을 떠올리지만, 그럼에도 단점을 장점으로 만들어내는 주인공에게 공감할 수가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일컬어지는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실려 있는 작품 중 하나인 만복사 저포기를 비틀어서 '만복사 좀비기'로 바꾼 정명섭의 소설. 소설에서는 부처님과 내기에 이겨 귀신과 결혼하는 사람이야기지만, 여기서는 그 자신이 좀비로 죽임을 당하는 쪽으로 내용이 바뀌었다. 좀비와 인간의 구분은 보통 아주 명확하게 나오는데, 이 소설에서는 끝에 가서야 좀비와 인간의 구분을 알 수 있는 추리적인 요소까지 겸비하고 있다. 만복사 저포기의 기본 축을 바탕으로 내용을 뒤집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로도 만들어지고 지금은 옥희의 말투를 재미있어 하기도 하는 '사랑 손님과 어머니'를 비튼 소설 '사랑 손님과 어머니, 그리고 죽은 아버지'라는 작품은 전건우가 썼는데, 예전 관습을 거스르지 못하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원작 소설을,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를 스스로 탈피해 나가는 여성 주인공으로 어머니를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좀비 앞에서도 결코 당황하지 않고 당당하게 그들을 물리치는 여성 주인공. 소설에서는 아버지가 죽은 것으로 나오지만 이 작품에서는 아버지가 살아 있고, 결국 죽음에 이르고 좀비가 되는, 가부장의 모습 그리고 그에 동조하는 마을 사람들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가부장적 사회가 여성에게는 좀비처럼, 또는 좀비보다도 더 무서운 족쇄였음을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조영주가 쓴 '운수 좋은 날'은 제목을 그대로 따왔다. 다른 작품들이 제목을 조금씩 변형했다면 이 소설을 제목을 그대로 쓴 대신 내용은 크게 변형했다. 아마도 제목을 다른 것으로 했다면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을 떠올리기 힘들지도 모른다. 물론 작품의 끝부분에 김첨지가 등장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두 소설의 연관성을 짐작하기가 쉽지는 않다.

 

이 작품이 지닌 참신성은 김첨지가 오래도록 살아남은 데 있다. 좀비는 오래 살아남지 못한다. 그들에게는 피가 공급되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끊임없이 살아있는 인간의 목을 물어 뜯는다. 피를 먹어야 하기 때문. 그렇기에 그들은 인간에게 위협이 되고, 인간과 좀비는 목숨을 걸고 서로를 없애려고 한다. 피, 고기. 육식성의 극한, 살인. 그것이 좀비다.

 

이 작품은 이런 틀을 벗어난다. 채식 좀비의 등장이다. 좀비가 채식을 한다? 그렇다면 인간과 적대적일 이유가 있을까? 없다. 오히려 육식을 하는 인간을, 그런 좀비를 거부하려 한다. 그게 이 작품이다. 새로운 좀비를 제시한 작품.

 

차무진이 쓴 '피, 소나기'는 슬프다. 원작 '소나기'도 슬프지만 이 소설은 좀비가 된 소녀가 또 죽게 되는 데서 슬픔은 배가 된다. 좀비이기 때문에 공격적이고 피를 원하는 것은 공통적이지만 말을 할 수 있는 좀비. 이를 이해하는 소년. 소년에게만은 공격하지 않는 소녀 좀비.

 

또 한번의 죽음을 맞으며 '죽기 직전에 제 할아버지한테 자기가 죽거든 입었던 옷을 꼭 함께 묻어달라고." (330쪽)말했단 구절, 소나기의 마지막 구절을 다시 한번 만나게 하는 것으로 소설의 결말을 삼은 작가는 소녀의 첫번째 죽음을 우리에게 불러옴으로써 소녀의 죽음을 좀비의 죽음으로 치환하지 않게 한다.

 

이런 식으로 다섯 편의 작품이 예전 작품을 토대로 새롭게 탄생했다.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작품을 이런 식으로 비튼 것들은 우리 문학이 지속적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