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 시인 서정홍이 쓴 동시집이다. 아이들 처지가 되어 아이들의 심정을 시로 표현한 것.

 

  제목이 재미있다. 잔소리라고 하면 지겨운 것, 듣기 싫은 것, 그러니 맛으로 따지면 '맛없는'이라는 수식어가 더 어울릴 것 같은데 '맛있는 잔소리'다.

 

  어떤 잔소리가 맛있을까? 그건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하라고 하는 말들일 것이다. 아이들은 어떤 것을 하고 싶을까?

 

  우선 노는 것. 아이들이 놀지 못하면 힘들어 한다.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이 때 충분히 놀아야 한다. 잠도 잘 자야 하고,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도 해야 하고.

 

그런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오죽하면 초등학생이 자신들이 어른들보다 더 오래 공부한다고 하겠는가. 공부란 아이들에게 어떤 인간이 되라고 어른들이 시키는 것인데, 여기서 시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시킴은 강제와 같기 때문에 자발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공부가 자발적이 되기 위해서는 충분히 놀아야 한다. 무언가를 그리워할 수 있어야 한다. 결핍을 겪어야 한다. 그래야 결핍을 채우기 위해 무언가를 하게 된다.

 

공자야 도덕적으로 선을 행한 다음에 그래도 힘이 남으면 공부를 하라고 했지만, 지금은 반대로 공부를 하고 또 공부를 하고 그 다음에 힘이 남으면 다른 것을 하라고 하는데... 이래서는 안 된다.

 

서정홍 시를 읽으며 다시 요즘 아이들의 모습을 떠올린다. 이런 시가 쓰인다는 것, 그렇지 못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맛있는 잔소리

 

아들아, 놀 시간도 없는데

공부할 시간이 어디 있냐?

아이들은 놀려고 세상에 태어났어.

공부하려고 태어난 게 아니란 말이야.

빨랑빨랑 책 덮고 나와.

엄마랑 아빠랑 썰매도 타고

언덕에 올라 연도 날리고

숲속에 가만히 앉아 눈을 감고

바람소리 새소리 들어보고

바닷가에서 게도 잡고

싱싱한 가재도 먹고

별이 쏟아지는 해수욕장을 걸어 보고

아들아, 그만 자고 얼른 일어나!

일어나 보니 한밤중이다.

꿈속이지만……

그래도 기분이 좋다.

맛있는 잔소리다.

 

서정홍, 맛있는 잔소리. 보리. 2017년. 58-59쪽

 

이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아이들은 공부 잘했다고 칭찬을 받아도 기쁘기보다는 두려움을 지닌다.

 

 불안한 칭찬

 

오늘, 처음으로

수학 점수를 백 점 받았는데

반응은 여러 가지다.

 

"우리 아들, 천재다 천재!"

"그래, 뿌린 만큼 거두는 것이라니까."

"야, 부럽다 부러워."

 

이런 칭찬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질 줄 알았는데

괜스레 불안하다.

 

다음 시험 때, 점수가 떨어지면

무슨 말을 듣게 될까?

생각만 해도 가슴이 두근두근.

 

서정홍, 맛있는 잔소리. 보리. 2017년. 49쪽

 

두려움과 배움은 함께 할 수 없다고 했는데, 성적이 좋아도 기쁘기보다는 다음 성적을 생각해야 하는 아이가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아이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교육을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우리는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행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아직은 부정적이다. 서정홍이 쓴 이들 시처럼, 이렇게 우리 아이들은 공부란 이름으로 찌들어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적어도 공부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성적 중심의 교육은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세상 모든 것에 경이로움을 느끼고, 우주 만물과 함께 함을, 이웃들과 함께 하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싶은 마음을 서정홍의 동시로 대신하는데...

 

이 동시에 표현된 세상이, 그런 삶들이 현실에서도 이루어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