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5
제임스 조이스 지음, 이상옥 옮김 / 민음사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이스 읽기 두 번째.

 

이번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썼다고 알려져 있는 소설이다. 소설이라고 하지만 자전적 성격이 강하다고 해야겠다. 성장소설이라는 이름으로 불러도 좋고.

 

성장소설이지만 어린 시절부터 젊은 시절까지만 이야기하고 있다. 더블린을 떠나려고 하는 장면에서 끝나고 있는데... 시간 순서대로 사건이 전개되면 좋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시간의 흐름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중간중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거나 자신의 의식을 가감없이 서술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의식의 흐름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조이스 소설이 읽기 어려운지도 모르겠다. 순간순간 생각나는 장면으로 넘어가고 있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읽기에 그다지 어렵지 않다. 먼저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는 순간, 읽기에 지장을 받는지도 모른다.

 

아일랜드라는 상황에서 아일랜드라는 민족주의를 벗어난 사람으로 조이스를 평가한다면, 이 소설에서도 아일랜드 민족주의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거기에 완전히 동조하지 못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스티브 디덜러스. 디덜러스라는 성이 특이하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다이달로스를 영어식으로 변형한 성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다이달로스가 누구인가? 세상에 만들지 못할 것이 없는 장인 아닌가. 즉, 창조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주인공의 성을 디덜러스로 한 것은 현재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사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설에서는 민족주의와 더불어 종교와 교육이 성장의 주요인으로 등장한다. 당연히 성장소설이기 때문에 배움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자각하는 상태, 그래서 자신의 길로 나아가게 되는 과정, 이것이 바로 성장소설이고, 이 성장소설에서는 도움을 주는 조력자나 또는 환경이 나타나게 마련이다.

 

이 소설도 예외는 아니다. 아일랜드 민족주의가 뿌리 깊에 박혀 있는 가족과 주변 분위기에서 그것을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스티븐과 여기에 그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는 예수회가 등장한다. 스티븐이 예수회 소속 학교에 다니기 때문이고, 그런 교육 속에서 한때 성직자가 되고자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학교 교육의 폐쇄성, 폭력성을 이 소설에서도 만날 수 있는데, 어린 시절 다녔던 학교에서 받게 되는 체벌, 그 다음에 만나게 되는 지옥에 대한 장광설... 꼭, 체벌 다음에 벌점제로 학생들을 통제하는 우리나라 교육현실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에 절대적 권위를 휘두르는 교사들, 하지만 그에 순종하지 않는 학생들... 에고, 참)

 

그러나 결정적인 순간에 자신은 성직자가 될 수 없음을 깨닫는다. 자유, 그가 추구하는 것은 그러한 인간의 자유이기 때문에 성직으로의 길을 포기한다. 그는 대학 생활 때 이미 작가로 친구들에게 인정을 받는다. 그렇게 자기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 이 소설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소설을 읽다보면 제임스 조이스라는 사람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된다. 그가 가톨릭 교육을 많이 받았으며, 아일랜드 민족주의에 둘러싸여 있었다는 것, 그럼에도 그러한 환경에 빠지지 않고 자기 길을 찾아가게 되는 과정을 만나게 된다.

 

제임스 조이스라는 작가가 작가로 서기까지, 어린시절부터 청년시절까지를 배경으로 쓴 소설. 조이스를 알기 위해 비록 소설이지만 이 작품을 읽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