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 - 남성, 여성 그리고 강간의 역사
수전 브라운밀러 지음, 박소영 옮김 / 오월의봄 / 2018년 2월
평점 :
오래된 책이다. 1970년대에 나온 책인데, 2018년에 우리나라에 출간이 되다니... 철학서도 아니고, 경제학 원론, 개론서도 아니고, 문학이론서도 아닌, 성폭력의 역사를 개관한 책인데, 40년이 지난 지금에도 출판이 된다는 것은 아직도 성폭력이 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성폭력이 사라진다? 사라질 수 있을까? 사라져야만 한다는 당위만으로는 이야기할 수 없다. 당위는 당위에 머무를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2010년대에 들어와서 그나마 숨통이 좀 트여 '#미투 운동'이 일어나서 성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는 했지만, 근원적인 해결은 되지 않았다.
이 책에 쓰여진 강간의 역사 역시 마찬가지다. 중세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세계 고전으로 읽는 그리스-로마 신화에서도 숱한 강간 장면이 나오지 않는가. 너무도 태연하게, 당연하다는 듯이 남신(男神)들에 의한 강간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게 마치 자신들의 권리인 양. 이런 사고방식은 로마 건국에서도 일어난다. 사비니 처녀들을 납치해 아내로 맞이한 로마인들, 그로 인한 전쟁, 이미 결혼한 여자들의 중재로 타협을 하는 남자들. 여기서 납치당한 여자들이 겪는 고통은 나오지 않는다.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여자들은 남자들의 소유물로 인식되어 왔고, 그렇게 대우받아 왔다. 강간은 한 사람의 인생을 강제로 침범한 범죄라기보다는, 남자의 소유물을 허락받지 않고 건드린 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한 사람으로서, 인격체로서 존중받는 것이 아니라 남자에 딸린 부속물 취급을 받았던 것이 여자들의 역사라고 하고, 이런 역사 속에서 강간은 남자들에 의해 자주 일어났다고 한다.
그렇다면 근대에 들어와서는 좀 나아졌는가? 저자가 글을 쓴 1970년대까지도 나아지지 않았다. 여자가 소유물이란 개념은 많이 사그라들었지만, 강간이 일어났을 때 여자들의 문제로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신고된 강간 피해 건수에 비해 입건되는 건수는 현저히 적었고, 입건된 건수에 비해 유죄 판결이 나는 경우는 더 적었다고 하니... 강간을 입증하는 일조차 매우 힘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피해자답지 않다고, 여자가 조심하지 않아서 그렇게 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지 않은가?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너도 좋아하지 않았냐라는 말도 요즘 사라지지 않은 말 중에 하나다. 이렇게 강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한 사람의 몸을 그 사람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어떻게 하는 일이 정당화될 수 있을까? 최근엔 부부강간도 처벌이 되도록 법률이 바뀌었는데, 성관계를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는 부부도, 성관계를 맺을 때는 서로 동의가 있어야만 강간이 되지 않는데, 다른 관계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다른 사람의 몸을 동의없이 침해하는 행위는 있어서는 안 된다.
이것이 최소한 함께 살아가는 사람에 대한 예의 아닐까 하는데, 여전히 갈 길이 멀다. 강간에 대해서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일은 많이 없어졌다고 할 수 있는데, 사회가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오래 된 이 책에서도 이제는 여성들이 반격해야 한다고, 그래서 강간에 대해서 말을 하고, 몸을 지키기 위해 신체를 단련하며 남성들의 충고에만 의존하는 그런 일은 하지 않아야 한다고 한다.
이거 참, 40년이 지난 지금에도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으며, 맨스플레인이라고 해서, 남자들은 가르치려고만 한다고 이러한 남성들의 충고만을 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있으며, 또한 여성들 스스로도 남성들과 대등한 신체를 지니고 있다는 의식이 있으니, 이책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이 여전히 유효함을 알 수 있다.
여성들 스스로도 이렇게 해야겠지만, 여성이든 남성이든 모두 다른 존재를 자신과 동등한 권리를 지니고 있는 존재로 인정하고 대우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모두를 인격적으로 대하는 것,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가, 만남이 되는 것이야말로 강간을 비롯한 성폭력을 없애는 지름길 아니겠는가.
페미니즘이라고 이름을 붙이든 말든 타인을 동등한 사람으로 대하는 자세가 성폭력을 없애는 길임을, 그래서 더더욱 인권감수성이 필요함을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하게 된다.
길고 긴 세월을 거쳐왔지만, 이 책이 도서관 서가에 꽂혀 있기만 하지 않고 여전히 우리들에게 읽히고 있는 현실이 씁쓸하기만 하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