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인 이야기 8 - 위기와 극복 ㅣ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8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9년 10월
평점 :
이제 제정은 확립되었다. 누구도 황제라는 지위를 거부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 자리에 누가 앉느냐를 생각할 뿐이다.
원로원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황제 권력을 견제한다고 하지만, 그 견제는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다. 황제라는 지위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다. 자신들의 권력이 유지되는 동안은.
그렇다면 황제는 어떤가? 동양처럼 세습 황제라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던 시대에, 이들은 능력자들을 자신의 후계자로 삼았을까?
핏줄에 집착했던 아우구스투스는 세습 황제들을 만들고 싶어했지만, 그것이 뜻대로 되지는 않았고, 그런 핏줄에서 폭군이라 할 수 있는 황제(칼리굴라, 네로)가 나왔으니 절대권력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네로를 자살로 이끈 다음에 과연 나라가 평온해졌을까? 그렇지 않다. 핏줄이 끝났다. 이제는 능력이다. 그런데 한 사람이 절대 권력을 쥘 수 있다. 욕망이 있는 사람에게는 목숨을 걸 만한 일이다. 권력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별 문제가 없는 일이겠지만.
이제 많은 권력 다툼이 일어난다. 권력 다툼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는 사람은 군사력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다. 자고로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고 하지 않았던가. 로마 역시 마찬가지다. 군사들의 지지라고 하기보다는 군사령관의 지지를 받는 사람이 황제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공석인 황제 자리에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은 군사령관들이다. 원로원 의원들은 이런 일에 목숨을 걸려고 하지 않는다. 적어도 혼란기에는.
8권은 그래서 군단장, 군사령관 출신의 황제들이 난립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갈바로부터 시작하여, 오토, 비텔리우스까지 몇 년 안에 황제들이 죽고, 죽이고 하는 과정을 거치고, 드디어 안정기에 접어드는데,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로부터 시작된다.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가 되어 로마는 차츰 안정기에 접어들고, 그 아들 티투스가 대를 이어 로마를 중흥시킨다. 그러나 티투스가 일찍 죽고 동생인 도미티아누스가 황제가 되어 로마는 제정이 안정기에 접어든다.
다만, 도미티아누스는 폭군으로 기록이 되고, '기록말살형'이라는 중형을 받는데, 시오노 나나미의 주장에 따르면 도미티아누스는 폭군이라기보다는 원로원과의 권력싸움에서 밀려난 사람이라고 한다.
즉 로마 권력을 놓고 제정이라고 해도 원로원이 견제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미티아누스가 암살당하고 - 특이하게도 그는 원로원이나 군단들의 반란으로 살해당한 것이 아니라 가정사로 인해 살해당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하는데... 기록말살형에 처해지고, 암살자들이 모두 처형당해서 구체적인 살해 동기와 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한다 - 네르바가 즉각 제위를 이어받음으로써 제정이 계속되게 된다.
네르바는 원로원 의원이었고, 나이도 많았으며 친도미티아누스도 반도미티아누스파도 아니었기 때문에 황제로 추인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후계자를 잘 임명함으로써 로마 오현제 시대를 열어간다고 한다.
이제 로마는 오현제 시대에 접어든다. 이들이 오현제라고 인정받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세습이 아닌 능력있는 후계자를 지명했다는 데 있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이렇게 한 사람에게 절대권력이 주어지면 언제든 폭군이 등장하거나 또는 살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 이것이 바로 이런 정치구조가 지닌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로마인이야기를 사람에 대한 이야기에 더해 정치구조에 대한 이야기로 생각하면서 읽어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