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3 - 승자의 혼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차 포에니 전쟁까지 치르면서 카르타고를 멸망시킨 로마. 이제 외부의 적은 거의 없어졌다고 볼 수 있다.

 

적이 외부에 있었을 때 결속되었던 단결이 외부 적이 없어짐으로써 내부에서 적을 만들어내는 방향으로 향했고, 그로 인해 내부 결속이 깨지는 과정이 바로 다음에 일어난 일이다.

 

이 3권은 그 과정을 다루고 있다. 세상이 변해가고 있는데, 정체(政體)가 경제를 따라가지 못하게 된 상황. 또는 사회개혁을 하지 않으면 로마에 멸망당했던 나라들과 같은 전철을 밟을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오는 시대.

 

시오노 나나미는 이 권의 제목을 '승자의 혼미'라 붙였다. 이제 로마는 세계 최강대국이 되었다. 강대국이 된 로마를 어떤 나라로 만들 것인가가 논의되기 시작하는 때. 이 때 등장한 형제가 바로 그라쿠스 형제다. 무려 9살 차이가 나는 형제라는데, 두 형제가 모두 평민을 대변하여 정책을 펼친다. 그러다 원로원 중심의 권력자들에게 살해당한다.

 

이들은 전쟁이 없는 나라에서 이제는 경제, 복지 쪽으로 눈을 돌리고, 가난한 사람들도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지 않으면 로마도 다른 나라의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개혁을 추진한다. 그러나 개혁은 늘 방해를 받는다. 기득권 세력들에게 개혁은 자신들이 지니고 있던 권리, 이익을 나누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막강한 힘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국민들의 지지...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라쿠스 형제도 평민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그들은 결정적일 때 이 형제를 지켜주지 못했다. 그라쿠스 형제에게는 무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이것이 그들을 비극으로 이끈다. 하지만 이들이 내세웠던 개혁정책들은 그들과 반대편에 서 있던 사람들에게 이어지게 된다.

 

형제가 죽은 뒤 마리우스가 등장하지만 정책면에서는 징집병을 지원병으로 바꾸는 것 외에는 별로 한 것이 없고, 그는 군사적으로 성공할 뿐이다. 그와 술라의 시대에 여러 정책들이 입안된다. 그 중에 하나가 동맹국 사람들에게도 시민권을 주는 것. 그라쿠스 형제가 처음 제기했지만 그땐 통과되지 못했던 법안이 이때 통과가 되고, 이것으로 인해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산다.

 

나나미는 이를 이렇게 이야기한다.

 

'건국하는 과정에는 어떤 나라도 이질분자를 너그럽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패권국이 된 이후에도 이질분자를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국가는 드물지 않을까.' (142쪽)

 

이것이 과거에 일어난 일만이 아님을 최근 미국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주민의 나라라 할 수 있는 미국이 엄청난 장벽을 쌓고 있지 않은가. 역사는 이래서 현재를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로마가 앞으로도 더 오래동안 지속되는 이유는 비록 동맹시 전쟁이라는 전쟁을 겪었지만, 이들에게 로마 시민권을 주었다는 데 있다. 아직 로마는 발전할 여지가 더 있는 것이다.

 

형제의 개혁이 실패한 다음 원로원을 강화하는 정책을 펼치는 술라가 등장한다. 술라는 추방당하지만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진군한다. 내전이 시작된다. 피비린내 나는 싸움. 이 싸움에서 이긴 승자가 로마를 이끌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이끈 군대들은? 나나미는 이렇게 말한다.

 

'전쟁이란 오래 계속될수록 당초에는 품지 않았던 증오심까지 고개를 쳐들게 되는 법이다. 전선에서 싸우는 사람은 무엇 때문에 싸우는지도 모르게 된다. 오직 증오심만이 그들을 몰아세운다. 내전이 처참한 것은 목적이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173쪽)

 

또 미국이다. 노예제 문제로 남북전쟁을 겪은 미국. 이들도 내전을 겪었다. 내전을 겪을 당시 전쟁 당사자였던 민중들은 과연 노예해방이라는 대의에 대해 생각했을까? 아니다. 바로 눈 앞에 있는 적, 그 적을 물리치는 것만 생각했을 것이다. 이것이 내전이 위험한 것이다. 끝나고도 그 상처를 치유하려면 오래 걸리니까.

 

술라, 그는 쿠테타로 집권을 하지만 그가 원한 로마는 공화제 로마다. 그는 이 점에서 확고하다. 평민들이든 귀족들이든 탁월한 누군가가 절대 권력을 쥐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자신이 반대했지만 이미 실행되고 있는 법안들을 모두 폐기하지는 않는다. 그는 독재자였지만 시대 흐름을 읽을 줄 아는 독재자였기 때문이다. 다만 자신이 믿고 있는 공화제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조건에서. 

 

따라서 술라는 공화제가, 원로원 중심으로 지속되게 하기 위한 법안을 만들어 놓는다. 그러나 술라가 아무리 이런 법안들을 마련해 놓았어도 그것은 그가 살아있을 당시에만 유효하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법안을 무력으로 깨뜨리는 모습, 무력으로 법안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술라가 죽자 그 후예들은 술라가 만들어논 법을 무시한다. 그들에게는 무력이 있다. 무력으로는 못할 것이 없다. 내전을 통해 술라가 만들어놓은 로마 공화제 원칙은 다시 그 후예인 폼페이우스에 의해 무너지게 된다.

 

이제 로마는 절대자가 등장할 때인 것이다. 법이 아무리 정비되어 있어도 힘을 가진 자가 등장해 법을 무시하기 시작하면 법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절대적인 힘을 지닌 자가 절대자가 나오지 못하는 법안을 만들었다. 이런 모순 속에서 로마는 승자의 시대를 보내는 것이다. 그래서 시오노 나나미는 이 시대를 '승자의 혼미'라고 했다.

 

폼페이우스가 힘으로 법을 무력화시키고, 자신이 절대자가 되고 싶어했겠지만, 절대자는 그가 만들어놓은 길로 다가오고 있다. 그것이 다음 권에 등장하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3-18 09: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18 10: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