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격동기 중국 현대사를 살아온 한 노인의 이야기다. 중국도 우리나라만큼이나 어려운 일들을 겪었는데, 그 일들을 겪는 모습이 소설 속에 잘 드러나 있다.
제목이 [인생]인데, 예전에 나온 책은 [살아간다는 것]이라고 번역을 했다고 한다. 중국어 제목이 '활착(活着)'이니 살아간다는 것, 그것이 곧 인생이니 어떤 제목도 괜찮다는 생각이 든다.
한 사람의 일생을 이렇게 요약할 수가 있는데, 이 사람의 인생에서 중국 현대사까지 겹치고 보니 사람이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중국 현대사를 비판한다기보다는 사회가 아무리 변화가 심하고 사람들을 힘들게 해도 사람들은 살아가기 마련이라는 것, 그것이 바로 인생이라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나 싶다.
푸구이. 지주의 아들. 젊은 시절까지 남부러울 것이 없는 인생. 다른 사람 눈으로 보면 개차반인 인생이다. 술과 도박, 그리고 여자. 젊은 지주들이 빠지기 쉬운 길에 들어서 그곳에서 헤어나지 못하던 인생 전반부.
도박판. 결국 인생은 도박과 같다지만 아니다. 도박판은 거짓과 사기가 난무하는 현장이다. 인생은 그런 거짓과 사기를 딛고 현실에 살아가는 과정이고. 그는 전재산을 날린다. 지주에서 소작농으로 전락. 그나마 원하지 않게 군대에 끌려가는 푸구이. 국민당 군대. 얼마나 썩었는지 소설에서 국민당 군대의 중대장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 중국은 아무리 비판을 하더라도 국민당에 의해 유지될 수는 없는 법. 푸구이는 공산당에 포로가 되지만 그들은 자유의사를 존중해 준다.
여기서 위화가 어떤 관점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에게 중국은 비판받을 수도 있지만 부패한 국민당 치하의 중국은 아니다. 장점이 많았던 공산당.
'은혜 갚는 건 포기하자. 대신 해방군이 잘해준 건 절대 잊지 않기로 하자.' (105쪽)
이 문장에 현대 중국을 바라보는 관점이 들어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은 선택을 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난봉꾼에서 착실한 농군으로 돌아온다. 아내를 사랑하고 아이들을 사랑하는 평범한 삶.
마냥 평범한 삶이 지속되었더라면 얼마나 좋을까만은 세상일은 그렇게 되지 않는다. 우리는 많은 고난을 겪게 된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문화대혁명. 사람들을 비껴가지 않는다. 푸구이도 마찬가지다.
그가 보고 겪게 되는 문화대혁명의 모습은 중국 사회주의가 어떻게 변질되어가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당에 의해 모든 것이 결정되고 실행되지만 그것은 사람들의 삶에 행복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사람들 삶의 행복은 거대한 목표에서 나오지 않는다. 그들은 소소한 일상에서 나온다. 푸구이의 삶은 그것이다. 비록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지만 가족이 함께 살아단다는 것, 그것이 행복이다. 이런 행복이 끝까지 유지되면 좋겠지만, 어디 인생이 그러한가?
푸구이는 가족들을 모두 자신보다 먼저 떠나보낸다. 그리고 늙은 소와 함께 늙어간다. 이것이 바로 인생이라는 듯이.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살아가야 한다는 듯이.
인생사 새옹지마(塞翁之馬)라고 하는 말이 있다. 어떻게 될지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바로 우리 인생이라는 것이다.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되기도 하는 그런 삶들.
사람들이 평생을 살아가면서 얼마나 많은 길흉화복을 겪게 되겠는가. 그 어느 것도 인생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잘나간다고 마냥 우쭐해서도 안 되고, 지금 힘들다고 좌절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해도 안 되는 것이다.
어떻게든 살아가야 한다는 것, 어떻게든 살아진다는 것, 그것이 바로 인생이라는 것을 푸구이 노인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위화 특유의 경쾌한 문체, 빠른 전개로 한 노인의 인생이, 한 가족의 삶들이 소설 한 편에 실려 있다. 극심한 슬픔을 동반하는 장면에서도 해학을 잃지 않는 그의 소설 전개는 이 소설을 단숨에 읽게 만든다. 그리고 비관에 젖어 헤어나지 못하게 하지 않는다. 슬픔 속에서도 웃음을 찾아내고, 그것을 이겨내는 등장인물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것이 인생이라는 듯이. 그래 우리네 인생에는 이렇들 모든 것이 들어 있지. 어느 하나만으로 우리 인생이 만들어지지는 않았지.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든 살아가야 하지. 우리 인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