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씨는 진짜 사랑입니다
엘리자베스 버그 지음, 박미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해가 밝았다. 새해엔 따스함이 넘쳤으면 좋겠다. 그래 새해 시작을 하는데 온기가 넘치는 글로 시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책에는 늘 온기가 흐른다고 생각하지만.

 

소설이다. 마음이 따스해지는 소설. 사랑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아니 생각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 소설이다.

 

85세 된 노인. 세상을 살 만큼 산 사람이다. 부인이 얼마 전에 죽었다. 무덤에 간다. 늘. 함께 점심을 먹으러. 그들이 함께 살아온 과정에 대해서는 소설에서 간간이 나온다. 그렇게 서로를 받아들이며 서로에게 맞장구 치며 살아온 사람들이다.

 

먼저 간 부인. 단지 먼저 가 있을 뿐이다. 앞에 있지 않고 뒤에 있을 뿐. 이편과 저편이 완전히 갈라져 있을 것 같지만 그냥 고개 한번 돌리면 된다. 그렇게 늘 곁에 있다. 사랑하는 사람은 마음 속에 늘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인 이름은 놀라. 할아버지 이름은 아서.

 

무덤가에 오는 소녀가 한 명 있다. 소녀가 무덤가에 온다는 것, 노인이 오는 것과 참 거리가 멀다. 무덤가는 무언가를 마친 사람들이 쉬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이 들어 있는 무덤에서 마음이 편해지는 것을 느끼는 소녀. 매디.

 

하지만 무덤가에 찾아오는 소녀에게 무슨 문제가 없을 수가 없다. 어릴 적 엄마를 잃은 매디. 아빠와는 소원한 관계다. 아마도 아빠는 아내를 잃은 슬픔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했나 보다. 여기서 매디의 아빠와 아서의 차이가 드러난다.

 

아서는 아내를 잃었어도 아내를 간직한다. 아내와 함께 한다. 하지만 매디의 아빠는 아니다. 그는 아내를 잃은 슬픔을 스스로 이겨내지 못한다. 아내의 분신인 딸에게 사랑을 쏟을 수 있을텐데, 그렇게 하지 못한다.

 

자기 슬픔에 갇혀 있다. 그러니 매디 역시 겉돌 수밖에 없다. 아빠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학교에서도 괴롭힘을 당하고 심지어 남자친구에게도 차이고, 아이는 뱃속에 있고. 힘들게 살아갈 조건을 다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매디는 제대로 인생을 살고자 한다. 왜? 그녀에겐 그를 온전히 받아들여주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교사도 그렇고, 무덤가에서 만난 아서도 그렇다. 아서의 집에서 살게 되는 매디. 여기에 이웃집 할머니인 루실도 함께 살게 된다.

 

자, 가족이 무엇인가 생각하게 한다. 도대체 핏줄로만 연결된 것이 가족인가. 아니다. 가족은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며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렇게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진다. 이들은 때로는 갈등도 겪지만 함께 살아간다.

 

세대가 다른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지내게 되는 것. 그렇게 되기까지는 상대를 인정해야 한다. 상대를 받아들여야 한다.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그렇게 힘께 지내는 것.

 

이것이 사랑이다. 이런 사랑으로 묶여 있는 관계, 이것이 바로 가족이다. 매디는 가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아서 역시 마찬가지다. 그에게도 딸이 생긴 것이고, 이웃집 할머니 루실에게도 딸이 생긴 것이다.

 

이렇게 무언가를 잃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찾고 함께 만들어가는 모습이 소설 속에 나타난다. 따스하게 서로를 보듬어 준다. 무덤가에서 들려오는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 아서가 읽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렇게 자신을 온전히 남에게 내어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온전히 내어주기, 내것만을 강요하지 않기, 다름을 인정하기, 그리고 함께 살아가기. 매디는 슬픔을 서서히 극복해 가고 또 하나의 가족을 만들어 간다. 이제는 사랑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십대 소녀가 팔십대 노인들을 만나 가족을 이루고 사랑을 깨달아가며 스스로 살아가게 되는, 그녀가 나은 딸이 '놀라'가 된다. 아서의 아내. 그리고 아서와 놀라는 아마도 하늘에서 별이 되어 매디와 놀라를 내려다 보고 있겠지.

 

이승에서의 헤어짐이 영원한 헤어짐이 아니라는 것. 언제든 무덤가에서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것. 굳이 무덤가가 아니더라도 마음 속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

 

소설 속에서 핏줄로 엮인 가족이 아니라 이해와 배려,사랑으로 묶인 가족. 그렇다. 그렇게 온전히 내어주는 사랑, 내어줌으로써 받아들이는 사랑, 그런 사랑을 아서가 보여주고 있다. 그런 사랑은 넘치고 넘쳐서 다른 존재들의 마음을 적시게 된다.

 

새해에 이런 아서와 같은 사랑이 넘치는 그런 관계들... 그런 관계가 넘쳐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품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1-01 11: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01 11: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