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많은 문학상이 있다. 기릴 수 있는 문인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로 했다. 그것이 더 마음 편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상 이름을 걸 문인이 제법 된다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아마도 '노작'이라고 하면 누군가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특히 요즘 학교에서는 국어시간 시를 가르칠 때도 시인이 쓴 호는 잘 가르치지 않는다. 호가 무엇인지 모르기도 하고.
예전 사람들이 대부분 호를 사용했는데, 또 얼마 전까지만 해도 유명한 사람들의 호는 자연스레 알고 있었는데... 지금은 그러지 않다. 사실 '춘원'이라고 해도 '춘원'이 누군지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춘원'이 이럴진대 '횡보'는 말할 것도 없고 (춘원은 이광수, 횡보는 염상섭) '노작'은 더 먼 이름이다. 홍사용. 내겐 중학교 때 다가온 시인. 친구 중 누군가 참 구슬픈 시, '나는 왕이로소이다'를 외우던 것이 기억난다.
나는 왕이라고 하는데, 그놈의 왕이 왜그리 서글프던지... 그래서 홍사용을 기억했는데, 그의 이름을 단 문학상, 그것도 1회 수상시집이다. 안도현이 받았다.
안도현이 받은 문학상도 많을텐데... 그가 노작문학상 1회 수상자니, 1회 수상자를 선정할 때 선정위원들이 얼마나 고민을 했겠는가.
그런 안도현의 시들을 싣고, 여기에 다른 시인들의 시가 함께 실려 있다. 2002년에 나온 시집이니 꽤 오래 전 시집이긴 하지만, 좋은 시들이 많다. 그 많은 시들 중에서 안도현의 '겨울 강가에서'
지금처럼 찬바람이 쌩쌩부는 날엔... 그것이 물리적인 날씨와 경제 날씨와 정치 날씨와 교육 날씨 등 전반적인 날씨가 겨울에 해당하는 지금에... 얼음을 차가움이 아니라 따스함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 그런 모습을....
겨울 강가에서
어린 눈발들이, 다른 데도 아니고
강물 속으로 뛰어 내리는 것이
그리하여 형체도 없이 녹아 사라지는 것이
강은,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눈발이 물위에 닿기 전에
몸을 바꿔 흐르려고
이리저리 자꾸 뒤척였는데
그때마다 세찬 강물 소리가 났던 것이다.
그런 줄도 모르고
계속 철없이 철없이 눈은 내려,
강은,
어젯밤부터
눈을 제 몸으로 받으려고
강의 가장자리부터 살얼음을 깔기 시작한 것이었다
노작문학상 수상작품집, 동학사. 2002년. 안도현, 겨울 강가에서. 34쪽.
철없는 젊은이들이 죽어가고 있는데, 그들을 받아줄 살얼음 하나 깔지 못하는 배부른 자들이 국회라는 곳에 가 있어서, 법안 하나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강도 눈을 받기 위해 얼려고 하는데, 자신을 더 차갑게 해서 그 차가움이 따뜻함으로 변해 눈을 안아주려고 하는데, 도대체 그들은 국민을 대표한다는 그들은 무얼 하고 있는지.
이래서 비례대표가 필요한데... 젊은이들을 대표할 사람이 국회에도 있어야 하는데, 선거법 개정도 나 몰라라 하고 있으니...
우리나라 국회는 불통 국회, 철의 장막보다도 더 두껍고 견고하고, 캄캄한 암흑 장막. 추운 겨울. 더 추워지게 만드는 그들. 그들이 하는 그 차가움은 얼음도 되지 못하고, 그냥 비수가 되어 사람들 가슴을 찌르고 만다.
에라, 이... 이 시를 보라. 차가움이 어떻게 따뜻함이 될 수 있는지... 작고 여린 것들을 받아주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분명히 기억해야 하리라. 눈발과 같이 여린 존재들을 받아주기 위해 노력을 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를. 그래서 그들이 우리를 대표하게 해야 하리라. 시간이 지난다고 잊어버리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