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때든가, 언어에 이데올로기가 있을까, 없을까를 가지고 논쟁을 한 적이 있다. 예전에 사회주의권에서도 이런 논쟁이 붙었던 걸로 알고 있다. 말이 지니는 위력을 알기 때문이다. 언어 자체에 이데올로기가 있다, 아니 언어는 중립이지만 사용하는 사람이나 환경에 따라서 이데올로기를 지니게 된다는 관점이 있었다.

 

그렇게 기억한다. 도대체 언어는 어떤 존재인가? 언어가 홀로 존재할 수 있는가? 언어는 이미 존재하는 순간 사람들, 사회, 환경, 즉 시공간과 사람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는 환경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이런 언어가 어떻게 이데올로기를 지니지 않을 수 있단 말인가. 언어를 사람이나 환경에서 떼어놓고 언어 자체만을 보면 그 언어는 생명을 잃는다. 그냥 하나의 사물에 불과하다.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그러므로 언어에는 이데올로기가 있다. 자체에 있는지를 따지지 말고 언어는 이미 사용된 순간, 세상에 나온 순간 이데올로기를 지니게 된다.

 

가령 우리나라에서 요즘 자주 회자되는 '갑질'이라는 말에는 있는 자, 횡포, 약자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 말 자체가 이미 어떤 상황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바로잡아야 할 일이라는 사실까지도 생각하게 한다. 이렇듯 언어는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다.

 

선거철만 되면 우리나라에서 떠돌아다니는 '종북, 퍼주기'라는 말도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다. 이러니 언어에 어떤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지를 살피는 일은 언어를 잘 쓰는 지름길이 된다.

 

이 책에 쓰인 작은 제목은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다. '톺아보다'가 낯선 언어일 수도 있다. 온라인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톺아보다 :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별 도움이 안 된다. 톺아보다를 찾았는데, 톺아란 말이 또 나오니, 참... 그러면 '톺다'는 말을 찾아야 한다.

 

톺다 : 틈이 있는 곳마다 모조리 더듬어 뒤지면서 찾다.

 

이런 뜻이겠거니 한다. 톺다란 단어는 세 개가 있고, 이 중에 톺다1에 두번째 풀이가 바로 위에 찾아적은 풀이다.

 

사전도 안 친절하다. 그러니 우리나라 사람들이 누가 사전을 찾아가면 어휘 공부를 하겠는가. 저자는 이 책에서 제대로 된 사전을 만들면 어문 규정은 사라져야 한다고 하는데... 사람들이 어문 규정으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을 통해서 말을 익혀야 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조차 이러니 언어 공부를 사전을 통해 하기는 힘들다.

 

어문 규정보다 사전이 필요한 이유를 대고 있는 항목이 바로 '자장면, 짜장면'이다. 현실 발음을 무시한 규정에 얽매인 그런 표준어 규정으로 사람들이 '자장면'을 쓰게 강제했던 시절이 있었다. 외래어 규정에 의하면 '자장면'으로 쓰고 [자장면]으로 발음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 부분에서 줄다리기는 규정과 실제 생활 사이의, 관과 민 사이의 갈등이다. 누가 우선해야 하는가? 주권이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민주공화국에서 언어생활에서 국민이 주도권을 쥐지 못하고, 규정에 얽매여 실생활과 동떨어진 언어생활을 해야 했던 시절이 있었음을 상기시켜주고 있다. 물론 그런 경우는 지금도 많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 써서는 안 될 말, 그 말이 바로 '각하'라는 것. 그것도 '대통령 각하'라니... 요즘은 '대통령 님'으로 쓰고 있지만, '각하'란 말의 연원을 따지면 참 부끄러운 말이다. 왕도 아니로 겨우 신하들에게 쓰던 호칭을, 그것도 일제시대에 조선총독에게 부여되었던 칭호를 쓰다니... 이것저것 다 떠나서 '민주공화국'이라는 나라에서 신분제 사회에서나 쓸 법한 칭호를 쓰다니... 그건 안 될 말이다. 여기서 끝났으면 이 책이 제대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없었을텐데... 한발 더 나아간다.

 

그렇다. '대통령'이라는 말도 문제다. 국민의 의사를 대표한다는 사람에게 '다스린다'는 말이 들어가는 '통'이라는 말을 쓰는 것은 민주주의 사회에 맞지 않는다는 것. 그냥 사람들을 대표할 뿐인데... 그것도 특정한 기간만. 이 용어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하고, 고치지 않으면 지금처럼 촛불을 대신해서 정권을 잡은 정부조차도 제왕적 대통령이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다.

 

그밖에 많은 말들이 나온다. 여성이 직업을 가졌을 때 붙이는 '여(女)-'자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니 더 언급하지 않으련다. 다만, 그런 여성에게, 분명 남녀 모두에게 해당할 텐데도 이상하게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하는 '기혼, 미혼' 칸에 대해서 이 책이 잘 지적하고 있단 생각이 든다.

 

언어에 대한 민감성을 높여야 한다. 이제 언어는 중립적인 존재가 아니다. 언어는 밖으로 나온 순간 이데올로기를 띤다. 내가 어떤 의도를 하던 하지 않았던 언어는 사회 속에서 자기 자리를 잡는다. 그 자리에 이데올로기가 빠질 수가 없다. 그러니 언어에 대해서 잘 생각해 봐야 한다. 내가 사용하는 언어에 어떤 이데올로기가 작동할지 한번쯤은 고민해 봐야 하지 않겠는가.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