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 삼아 이야기한다. 선지자는 자기 가족에게, 자기 마을에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어렸을 적부터 보아왔던 사람에게서 어떤 신비감이 있겠는가. 그러니 그는 자기 마을에서는 그냥 보통 존재일 뿐이다.

 

  이런 보통 존재를 더 좋아하려면 그에게서 어떤 단점을 찾아내지 않아야 하고, 또 내 약점을 그가 보지 말아야 한다.

 

  함께 지내는 존재와 갈등 없이 지내기가 얼마나 힘든가. 내 삶에 끊임없이 들어오는 그 존재에게 나는 내 삶의 일부를 얼마나 떼어내주어야 하는가.

 

'자기만의 방'(버지니아 울프의 책 제목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누구나 자기만의 방을 갖기를 원한다. 이는 누구나 적당한 거리를 원한다는 말이기도 하다)을 가져야 하는데, 그런 방을 갖기 위해서는 거리가 있어야 한다.

 

진은영 시를 읽으며 그런 거리를 생각한다. 과거와 현재와 중첩되어 나타나는 시어들을 통해 너무 가깝지 않은, 적당한 거리에 대해 생각한다. 그렇다고 시 제목처럼 '그 머나먼'이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멀면 내 삶과 아무 상관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무관심, 그리고 나아가는 길은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다.

 

   그 머나먼

 

홍대 앞보다 마레지구가 좋았다

내 동생 희영이보다 엘리스가 좋았다

철수보다 폴이 좋았다

국어사전보다 세계대백과가 좋다

아가씨들의 향수보다 당나라 벼루에 갈린 먹 냄새가 좋다

과학자의 천왕성보다 시인들의 달이 좋다

 

멀리 있으니까 여기에서

 

김 뿌린 센베이 과자보다 노란 마카롱이 좋았다

더 멀리 있으니까

가족에게서, 어린 날 저녁 매질에서

 

엘뤼아르보다 박노해가 좋았다

더 멀리 있으니까

나의 상처들에서

 

연필보다 망치가 좋다, 지우개보다 십자나사못

성경보다 불경이 좋다

소녀들이 노인보다 좋다

 

더 멀리 있으니까

 

나의 책상에서

분노에게서

나에게서

 

너의 노래가 좋았다

멀리 있으니까

 

기쁨에서, 침묵에서, 노래에게서

 

혁명이, 철학이 좋았다

멀리 있으니까

 

집에서, 깃털구름에게서, 심장 속 검은 돌에게서

 

2011 현대문학상 수상시집, 현대문학. 2010년. 진은영, '그 머나먼' 15-16쪽.

 

'그 머나먼'에서 멀어서 좋았던 것들이 이상하게 다시 가까이 다가와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혁명이, 철학이 멀이 있어서 좋았다는 말은 결국 이런 혁명을, 철학을 원한다는 말이다.

 

삶이 비루할수록 꿈은 더 간절해기기 때문이다. 단지 멀리 있어서 좋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이룰 수 있는 꿈이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내 삶의 힘듦을 이겨내게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머나먼' 것들이 좋았다. 좋다.

 

다시, 그것들이 내게 다가오면 나는 더 '머나 먼' 것들을 좋아하기 시작한다. 이미 도달한 것에서 머무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더 머나먼 것으로 나를 보내게 된다. 그렇게 해야 한다. 우리는 그래서 도달할 수 없는 것을 좋아하고, 그리워해야 한다.

 

단지 과거형이 아니라 이 시를 현재형으로 읽는다. 수많은 좋았다들을 지나 이제는 좋다를 지나, 계속 꿈을 꾼다. 그렇게 머나먼 것들을 지나 더 머나먼 것들로 떠나는 삶을, 그런 희망을 지니면서... 이 시를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