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적, 정의를 훔치다 - 박홍규의 세계 의적 이야기
박홍규 지음 / 돌베개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적들이 창궐하는 시대는 어지러운 시대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대다. '항산(恒産)이 없으면 항심(恒心)이 없다'고 맹자가 말했다던가. 적어도 먹고 살 수 있어야 다른 맘을 품지 않는다.

 

도적들도 마찬가지다. 박지원이 쓴 '허생전'애서 도둑의 무리들이 왜 허생을 따라 무인도로 갔겠는가. 그들에겐 최소한 먹고 살 것들이 있으면 되었는데, 그나마도 없어서 도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자신들을 살게 해주겠다는 데 따르지 않을 도리가 없다.

 

도적이 단지 경제적인 면에서만 나올까? 그렇지 않다. 먹을 것이 해결되어도 자유롭지 못하면 불만이 쌓이게 된다. 차별을 받다보면 당연히 반항하는 마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래서 반항하는 사람을 도적이라 부르기가 그렇다면 이들을 반항아, 혁명가로 부를 수도 있다.

 

도적에서 혁명가까지의 거리가 그리 길지 않다. 그들은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있는지도 모른다. 아니, 양민과 도적이 동전의 앞뒤 면처럼 붙어 있다고 봐야 한다. 양민에서 도적이 되고, 도적에서 혁명가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그 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도대체 의적이 무엇인가 부터 시작하여 세계 곳곳에서 활동했던 의적들을 소개하고 있다.

 

어떤 이는 이들이 의적의 요건에 부족해서 의적이라 부르면 안 된다고 주장하지만, 저자는 의적이란 민중들의 마음에 그렇게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야기한다.

 

사실 관계를 떠나 민중들이 의적이라고 생각하면 그는 의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민중들이 자신들이 억압받고 있는 현실에서 자신들의 바람을 대신 실현해주는 존재로 의적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의적에 관해서 역사적 사실 어쩌구 저쩌구 하기보다는 민중들이 어떻게 그들을 의적으로 인정했으며, 그들을 어떻게 기억하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다. 우린 의적하면 홍길동을 떠올리는데, 홍길동은 나중에 자신이 왕이 되지 않았는가. 그리고 홍길동이 실존인물인지 아닌지, 진정 의로운 활동을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역사에 달랑 한 문장으로 나온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민중들은 그를 의적으로 기억한다. 그에게 자신들의 마음을 담았기 때문이다. 이런 존재가 의적이다.

 

영국의 로빈 후드처럼 알고 있던 존재도 있지만, 시칠리아 의적이라고 하는 '살바토레 줄리아노', 멕시코의 '판초 비야', 헝가리의 '로자 산도르'는 처음 듣는 이름이다. 물론 이 책에 나온 더 많은 인물들을 처음 만나기는 했지만 말이다.

 

왜 이들이 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당시 사회 현실과 관련지어 이야기해주고 있기 때문에 읽으면서 많은 사실을 알아가게 된다.

 

그리고 의적이 지금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여전히 힘든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의적이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생활 환경을 바꾸어야 한다. 경제와 정치 또 다른 분야에서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

 

그런 세상이 오기 전까지 사람들은 의적을 꿈꾸게 될 것이라는 것, 이 책이 말해주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1-30 09: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1-30 1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