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핏 보면 다른 존재인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같은 존재인 것들이 있다. 겉모습이 다를 뿐 본질은 같은 것.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가. 겉모습이 다 다르지만 사람이라는 보편성에서는 공통점이 있고, 사람들을 통해서 자신을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거울효과... 사람들은 바로 자신이다. 다른 자신. 딱부러지게 나를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자신을 누구라고, 무엇이라고 이야기하기가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다. 이렇게 정의하기 힘든 나라는 존재는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 존재할 수 있다.

 

겉모습이 다를지라도. 최명란 시집을 읽다가 '불가분의 관계'란 시를 보면서 사람들 사이에 있는 나를 생각했다. 시에 나오는 나무와 종이처럼 사람들과 나도 그런 관계를 맺고 있지 않을까.

 

아무리 인간은 홀로 왔다가 홀로 가는 존재라고 해도, 홀로 오기 전에 이미 다른 존재들의 관계를 통해서 오게 되었고, 홀로 갈 때도 역시 홀로가 아니라 누군가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존재다.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죽음에 이르더라도 언젠가는 누군가에 의해 다른 세상으로 가게 된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다.

 

    불가분의 관계

 

마른나무 박스에 딱 붙은 종이를 떼어낸다

찢기고 뜯겨도 마음을 열어 보이지 않는다

이미 몸을 포갠 둘은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하 - 나무와 종이는 애초 한 몸이었지

마른나무에 달라붙은 종이의 마지막은

같은 결의 한 몸을 만나는 일이었지

종이는 나무가 살아 있을 때를 기억한다

둘 사이에 바다로 가는 산물이 지난다

그 사이 물든 산 빛과 깊은 산의 숨소리가 들린다

저녁 창으로 함께 바라보았던 가을빛 노을이 흐르고

성장을 온몸으로 기록한 역사가 보인다

나무의 일생이 보인다

떼려야 뗄 수 없는

떼어놓을 수 없는

떨어질 수 없는,

 

최명란, 이별의 메뉴. 현대시학. 2016년 초판. 49쪽.

 

이렇게 종이와 나무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다. 마지막에 이르러 서로의 역사를 보여준다. 그렇게... 다른 존재로 지내왔지만, 마지막에는 같은 존재로 함께 하게 된다.

 

우리 사람들, 서로 다른 존재지만, 우리는 하나로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서로를 비추는 존재로, 서로를 지탱해주는 존재로, 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는 사람들.

 

종이가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하듯이 사람들은 서로 떨어질 수 없으니, 어찌 다른 사람들을 소홀히 할 수 있으랴.

 

나만큼 소중한 존재들, 내 존재의 이유가 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 그렇게 사람들을 다시 내 안으로 불러오게 된다.

 

사람들이 바로 나임을, 그들이 나고, 내가 그들이 되어야 함을, 우리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임을... 이 시를 통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