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7
소포클레스 지음, 강대진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은 내용을 다 아는 듯해서 결국 제대로 읽지 않는 작품들을 말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이디푸스 콤플렉스', 결국 아들이 아버지를 경쟁자로 생각하고 어머니를 사랑하는 정신 문제라는 말, 외디푸스 콤플렉스라고도 하는데...

 

그렇게 내용을 알지만 정확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는 못했던 작품.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짤막한 내용으로 알고 있던지, 아니면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지식으로 아는 체 했던 작품. 소포클레스의 비극이라는 것은 지식으로만 존재했는데...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는 참에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을 비롯한 그의 비극 작품들을 함께 읽기로 했다. 그리스로마 신화를 좀더 깊이 있게 알기 위해서다.

 

이 책에는 '오이디푸스왕, 안티고네, 아이아스, 트라키스 여인들' 이렇게 네 편이 실려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은 사람이라면 약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내용이라서 쉽게 읽을 수 있다.

 

내용 중심이 아니라 표현 중심으로, 그리고 인간이란 무엇인가, 도대체 인간의 운명은 정해진 것인가, 그 운명을 거스를 수는 없는 것인가. 거대한 운명 앞에서 파멸해 가는 사람들의 모습, 그것이 바로 비극인 것인데...

 

쿤데라가 쓴 작품 '농담'이 생각나기도 했다. 쿤데라는 이 작품에서 주인공으로 하여금 오이디푸스를 빌려 당시 공산주의 정권을 비판하고 있으니 말이다.

 

자기 잘못이 아니라도 결과가 잘못되었다면, 실수라고 하더라도 잘못된 결과를 유발한다면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

 

오이디푸스는 이 점에 대해서 우리에게 전해주는 것이 많다. 오이디푸스, 그는 평생을 신실하게 살려고 했다. 또 많은 사람들을 고난에서 구해주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운명 앞에 무력했다.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하리라는 신탁. 그는 그 신탁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나 그 행동이 신탁이 실현되게 한다.

 

그래, 나는 잘못한 것이 없다. 나는 매 순간 최선을 다해서 옳은 길을 갔을 뿐이다. 그런데 내게 남은 것은 무엇인가? 고통을 초래했다는 책임. 그 책임을 피해가지 않으련다. 오이디푸스는 그래서 장대한 비극이다.

 

인간성을 극한으로 몰아가는 비극이다. 이런 모습은 '안티고네'에서도 나타난다. 오이디푸스의 딸인 안티고네. 왕이 시체를 장례지내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지만, 그것은 천륜에 어긋난다는 생각으로 오빠의 시신을 장례치러주고 죽음에 이르게 되는 사람.

 

천륜과 인륜... 인간이 만든 법을 어겼을 때 죽음에 이른다는 것을 알면서도 신이 내린 윤리를 어길 수 없다는, 형제를 그냥 땅에 내버려둘 수 없다는 안티고네의 마음과 행동.

 

이 장면은 '아이아스'에서도 나온다. 트로이 전쟁에서 아킬레우스의 죽음 이후 그의 무구를 놓고 오뒷세우스와 경쟁을 하지만 결국 오뒷세우스에게 무구를 넘겨주게 되는 아이아스.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그리스 군에서 가장 용맹한 장군이지만, 그는 아킬레우스의 무구를 받지 못하자 원한에 차 살인을 저지르려 한다.

 

그런 죄 때문에 자살한 그의 시체를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가 장례를 치르지 못하게 한다. 그리스에서 가장 큰 형벌은 시체를 묻지 못하게 하는 것. 그렇다. 신체를 온전히 땅에 묻어 하데스에게 가도록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 그것은 가장 큰 형벌이기도 하다.

 

안티고네나 또 아이아스에서 그 동생인 테우크로스에게는 이런 형벌은 타당하지 않은 명령이다. 그러니 그들은 목숨을 걸고 시체를 매장하려 한다. 가만 생각해 보면 헥토르의 죽음도 그렇다. 아킬레우스는 헥토리를 전차에 매달고서 그의 시체를 훼손한다. 그때 아버지 프리아모스가 찾아가 시체를 돌려달라고 애원하는데...

 

그리스 인들의 사고 방식에서 시체를 매장하는 것, 훼손하지 않고 장례를 치르는 것은 인간의 최후에 대한 기본적인 윤리다. 그런 윤리를 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 인간의 법. 그 법에 맞서 천상의 윤리를 주장하는 인간. 다행히 테우크로스는 오뒷세우스의 도움으로 아이아스의 장례를 치를 수 있게 되지만...

 

죽음도 불사하면서 신의 윤리를 실행하려는 인간의 모습, 실수라도 끝까지 책임지려는 인간의 모습, 비극이 보여주는 인물들. 책임을 요리조리 피해가려는 인간들이 득시글한 지금... 비극은 그런 인간들이 인간의 법에도 충실하지 못한, 인간성을 지니지 않은 인간에 불과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부분, 사랑으로 인해 비극으로 끝나는 데이아네이라와 헤라클레스의 사랑. 인간은 맹목일 수밖에 없다. 눈이 먼다. 앞뒤를 잘 살펴야 하는데, 비극은 행동을 한 다음에 뉘우침이 따른다는 것이다.

 

행동을 먼저 해놓고, 아차 하는 후회가 뒤따르니, 이것이 바로 인간의 모습이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후회를 하면서 살아가는가.

 

비록 의도한 잘못보다 실수로 인한 잘못이 용서를 받기는 쉽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실수를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를 지니는 인간성, 죽음까지도 받아들이는 그런 인간성의 극한. 그것이 바로 비극에서 나오는 인물들의 모습이다.

 

그래, 인간성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인간의 모습, 그것이 바로 지금까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준 요소이지 않을까 한다. 비극이 그 점을 보여주면서 우리에게 우리 삶에 책임을 지라고, 그렇게 말하는 듯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9-11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9-11 12: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