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이 즐거운 천문학
토마스 뷔르케 지음, 강희진 옮김, 김충섭 감수 / Gbrain(지브레인)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가끔은 시야를 넓힐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한다.
좁은 세계에서만 살아가니 우물 안 개구리가 된 느낌이라고나 할까.
땅만 보고 살아도 정신 없는 이 세계에서 가끔은 하늘을 보았으면 하는 생각을 한다. 우리 인간이 얼마나 왜소한지 하늘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땅에서 보는 하늘은 우물 안에서 하늘을 보는 것과 같다. 광활한 우주의 일부만 보기 때문이다. 그러니 사고를 확장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다.
하루하루 살아가기 바쁜 사람들에겐 하늘을 보는 일조차 쉽지 않은데, 그 하늘에서 더 넓은 우주를 보려고 거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주가 얼마나 넓은가? 광년이라는 속도, 거리를 생각해 보자. 빛은 1초에 지구를 일곱 바퀴 반이나 돈다고 하는데, 그 속도를 따라갈 수 있는 물질을 만들지 못하고 인류가, 가까운 은하만 해도 몇 백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다고 하니, 빛이 일년 동안 가는 거리가 광년인데...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은 우리 은하계를 벗어나지 못하는데, 이런 은하가 약 1,300억여 개가 있다고 하니 상상할 수도 없다.
끝이 없는 우주라는 말이 공연히 하는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우주는 끝이 있다. 분명이 우주는 한계가 있다. 이 우주가 팽창하다 임계점에 도달하면 다시 수축한다고 하던데... 그래서 우주는 빅뱅으로 탄생해서 다시 폭발로 생을 마감한다고 하는데...
세상 모든 존재는 탄생과 소멸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우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이런 생멸의 존재가 제대로 살기 위해서는 자기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우주 전체에서 보면 지구는 아주 작은 점, 보이지 않는 점에 불과한데, 그 지구에서 살아가는 우리 인간은 찾을 수 없는 아주 미약한 존재일지도 모른다.
미약한 존재이지만, 인간이 위대해진 이유는 바로 이렇게 광대한 우주를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것에서 큰 것을 볼 수 있는 능력, 다시 큰 것에서 작은 것을 볼 수 있는 능력. 무한히 뻗어나가는 인간의 지식들.
그런 지식의 확장, 이것이 바로 우리가 우주를 바라보는 이유이기도 하다. 천문학은 그런 우주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는 학문이고.
이 책은 천문학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행성이 왜 원 모양을 취하고 있는지부터 시작해서 태양계에 대한 탐구, 그리고 별자리, 별의 탄생과 죽음, 블랙홀, 은하의 종류, 빅뱅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이 책을 토대로 천문학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다. 그렇게 우리는 이 지구에서 우주로 우리의 인식을 확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