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라고밖에는 할 수 없는 시들.

 시에 대한 의미를 한 번에 파악하기 힘든 시들. 언어는 많으나, 대체로 시들이 길다, 그러나 그 언어들은 의미를 피해서 에둘러 간다.

 

  의미에 다가가지 않는다. 마치 카프카의 소설 '성'애서처럼. 성은 눈 앞에 보이는데 절대로 성에 들어갈 수가 없다.

 

  이 시집도 그렇다. 시인의 말에서 이 점을 느낄 수 있다.

 

  '말의 회오리는 고요의 축 주변에서 / 모래알 하나도 선명하게 포착하지 못한다. // 바람 지난 자리의 유령 발자국들. / 말은 늘 마지막이길 바랐다.' (5쪽)

 

  그러나 말은 늘 마지막이길 바라지만 말은 늘 처음이다. 밖으로 나온 말은 한 사람에게는 마지막이 될 수 있어도 듣는 사람에게는 처음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시인이 시로 표현한 말들을 시인은 마지막이길 바랐겠지만, 독자에게는 처음이어야 하는 말들이다.

 

독자에게도 마지막이 되는 말들은 시로써 존재하지 못한다. 그것은 죽은 말, 종이에 갇힌 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강정의 시는 마지막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 이상 들춰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집에서 나온 언어들은 '모래알 하나 선명하게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모래알은 구체적이다. 실체다. 그런 실체를 잡지 못하는 말. 그야말로 귀신일 수밖에 없다. 있다고도 없다고도 할 수 없는 존재. 그렇게 시들은 독자들 주변을 맴돌지만 절대로 독자들에게 들어오지 않는다. 포착되지 않는다.

 

해설에서, 참으로 심오한 시 해설인데, 이렇게 강정 시를 말하고 있다.

 

'이 시집에서 일상의 사물과 일상의 시간에 대한 차분한 묘사나 관찰은 없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경험이나 그 경험에 대한 관찰도 없다.  ... 강정 시가 처음부터 공공적이라는 현실에 대해 시건방진 표정을 짓거나 시큰둥했지만, 이 『귀신』은 지독하다.' (105쪽)

 

이렇게 지독한 시집을 읽다니... 공유하기 힘든 감정들을 시로 표현한 시집을 일다니... 시인이 마치 빙의 또는 접신이 되어 방언을 내뱉은 말들에서 무언가를 찾으려 하다니...

 

읽고서도 귀신에 홀린 양 그냥 제자리로 돌아오기 위해서 다른 곳을 빙빙 돌았다는 느낌만을 받는다.  허무하다. 읽었는데 읽지 않았다. 귀신이다.

 

『귀신』이라는 시집, '바람 지난 자리의 유령 발자국들'처럼 실체가 없게 나에게 다가왔다. 그렇게 우리네 삶에 명확히 무엇이라 지칭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듯이.

 

그럼에도 삶은 실체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유령이 아니므로. 귀신이 아니므로. 시라는 회오리는 실체를 거머쥐어야 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실체를 보고 잡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어쩌면 강정 시를 읽으며 실체를 파악하려면 더욱 더 미궁으로 빠져드는 이 현실세계에서 그래도 실체를 찾으려는 노력을 멈춰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는지도 모른다.

 

이런 『귀신』같은 시집이 정말로 귀신 같이, 유령 같이 내게 다가왔다면, 나는 이런 유령같은, 귀신같은 시집을 거부하련다. 내게는 삶이 보이는, 실체가 느껴지는 그런 시집이 지금은 더 필요하니까.

 

시들이 길고, 유령발자국같이 실체를 파악할 수 없고, 바람같이 휙 지나가버려 인용하기가 힘들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무언가를 보는 것이 사람이라면, 우리는 실체를 잃어가는 시대에 실체를 찾기 위한 노력을 더 해야 한다. 이 시집을 읽으며 든 생각이다.

 

나중에 다시 읽어보면 귀신조차 사람이 만들어낸 존재, 사람이라는 실체를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실체라면, 이 시집 다시 읽으면 어떤 실체를 찾아낼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에야 가능하겠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03 09: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03 17: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