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홀한 쿠바/ 사석원 지음/ 청림출판

김태훈기자 scoop87@chosun.com

 

 
읽으나마나 한 신변잡기성 기행문에 물려버린 독자라면 화가 사석원의 쿠바 기행문을 읽고 독서의 입맛을 되찾길 권한다. 순수하고 맑은 웃음을 가진 쿠바인의 얼굴과, 퇴락했지만 고풍스러운 멋을 잃지 않은 수도 아바나의 옛 건물 사진들, 여기에 화가가 직접 그린 그림에 이르기까지 작가가 담아낸 쿠바의 풍경은 어느 것 하나 버릴 게 없다.

화가는 빔 벤더스의 다큐멘터리 영화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속의 한 장면, 아바나의 방파제 옆 도로를 달리다 파도를 뒤집어쓴 낡은 자동차 장면에 매료돼 쿠바 여행을 결심한다. 올해 2월 그는 3주간의 쿠바 여행을 떠났다.

화가는 낯설고 가난하지만 묘한 매력을 뿜어내는 쿠바를 예찬한다. 무뚝뚝하기 그지없는 출입국 관리만 꾹 참고 통과하면 그만. 유서 깊은 호텔 잉그라테라의 청소부 아줌마들이 아침마다 손님들을 꼭 껴안아 준다는 말에 설레는 마음으로 숙소를 정하고, 잠시 택시가 멈춘 틈을 타 차창 밖에서 매춘을 제안하는 청년 때문에 놀라움의 탄성을 지른다.

1982년 유네스코 인류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아바나의 구시가지에서는 가난으로 인해 ‘삶의 슬픔들이 진하게 덧입혀진 건물들’과, 그 건물 속에서 웃음 지으며 비극을 이겨내는 사람들을 보며 숙연해진다.

몸속의 모든 육욕을 부끄러움 없이 불살라내는 살사춤의 매력, 처음 본 사람들과 다음날 만나 다시 놀자는 약속을 지키는 쿠바인들의 인간미도 따뜻하게 그린다.


▲ 플로리다만을 향해 펼쳐진 아바나의 제방 위에서 혼혈 청년이 기타를 연주하고 있다. 쿠바인들은 가난하되 삶을 즐기는 여유를 잃지 않는다.

기행문이 지루한 것은 자칫 풍경 묘사로만 흐르기 때문이다. 화가는 열두 살 아들을 둔 스물일곱 이혼녀 줄리엣의 고단한 삶, 하루 일하고 하루 놀며 월급 7달러로 사는 줄리엣의 사촌 이고르 이야기 등 풍경 뒤에 숨은 그곳 사람들의 이야기도 다채롭게 펼쳐낸다.

화가는 쿠바의 음악을 찬양한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에서 듣는 쿠바인들의 노래를 그는 이렇게 표현한다. ‘그들의 노래엔 마치 살코기를 날로 먹는 것 같은 활기와 야성미가 담겨 있다.…소박하고 숨김 없는 관능성이 꿈틀대지만, 그러면서도 어떤 때는 기름지고 너무나 달콤하다. 또한 아주 슬프면서 감상에 젖을 때도 있다.’(2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이치 현대사/ 데니스 L 바크지음/ 서지원옮김/ 비봉출판사/ 전4권

이한우기자 hwlee@chosun.com

 

▲ 도이치 현대사
한 전직 외교관이 2년에 걸쳐 원고지 1만4000장 분량에 이르는 ‘도이치 현대사’를 완역한 것은 이중적 의미의 사건이다. 독일 통일 15년이 지나도록 독일의 통일과정을 상세하게 살핀 적 없는 우리의 무심함을 드러내는 사건임과 동시에 건국 56년을 맞은 대한민국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서술한 이렇다 할 우리 현대사 하나 없음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미국 후버연구소 수석연구원인 데비스 L 바크가 10년 가까운 준비작업과 연구를 통해 완성한 ‘도이치 현대사’는 통사라기보다는 풍부한 자료와 증언이 돋보이는 대하 다큐멘터리다. 전체적으로 미국적 보수주의 시각이 관통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다양한 입장의 생생한 육성을 통해 ‘해방’ 후 90년대 초반까지 50년 독일 역사를 생생하게 복원해낸 점이 돋보인다.

전문연구가는 아니지만 역자 서지원(徐志源·54)씨의 경력 또한 이 책을 번역하기에는 적절해 보인다. 서씨는 통독 직후인 90년 주영대사관 공보관, 92년 주베를린 총영사관 공보관, 95년 주제네바 유엔대표부 공보참사관, 96년 주뉴욕 유엔대표부 공보참사관을 지내고 99년 현직에서 물러났다.

“유럽과 미국 현지에서 당시의 역동적인 통일과정을 목격하면서 독일 통일의 정신적 뿌리가 늘 궁금했는데 이번에 번역작업을 하면서 상당 부분 새롭게 알게 됐습니다.”

‘0시(Stunde null)’는 독일인들이 1945년을 부르는 표현이다. 모든 게 철저하게 파괴돼 사실상 ‘최초’ 혹은 시간이 멈춰버린 듯한 막막함의 문학적 표현이다. 그러나 1945년 5월 “나치로부터 해방”된 독일인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외국군에 의한 분할 점령과 군정, 강간과 약탈, 기아와 도덕적 파괴 등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다. 헬무트 슈미트 전 총리와 동갑내기인 1918년생의 경우 전쟁이 끝났을 때 3분의 1만 살아남았다.

‘도이치 현대사’는 이처럼 남자라고는 힘 없는 어린아이와 병든 노인네밖에 없던 패전 독일을 기적적으로 회생시킨 지도자들에 관한 이야기다. 동시에 그들의 비전에 관한 이야기다. 같은 분단국의 운명 때문인지 책을 읽어가면서 수시로 우리 이야기를 읽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 만큼 유사한 부분들이 많다.

이 책의 또 하나의 강점은 독일 사회에서 제기됐던 각종 쟁점들을 저자의 시각으로 정리해 버리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데 있다. 특히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들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에 관한 한국사회의 논쟁과 놀랄 만큼 흡사하다. 양국의 기초를 다진 이승만과 아데나워를 비교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1. 새나라 세우기 2. 변화와 모색 3. 아! 동방정책 4. 허상의 붕괴와 통일선택으로 구성된 독일역사에서 두드러지는 인물은 단연 콘라트 아데나워와 그의 정치적 후손을 자처했던 헬무트 콜이다. 나머지 수상(독일식으로는 칸츨러)들은 쉬어가는 막간에 불과했다. 브란트의 동방정책 또한 과대평가를 받았다는 게 저자의 지적이다. 하긴 우리도 아데나워는 몰라도 브란트는 잘 아는 척하는 풍토다.

그러나 “건국과 통일의 프로그램을 치밀하게 준비했던 독일의 현대사를 우리와 비교하는 것은 어쩌면 억지인지도 모른다”는 역자의 소감이 쓰라리긴 해도 진실인지 모른다. 특히 ‘뒤집고’ ‘거꾸로 보는’ 잡서 수준의 현대사밖에 쓸 수 없는 우리네 지식인 풍토에서 보면 독일의 현대사도 부럽지만 그것을 고스란히 담아낸 책 ‘도이치 현대사’를 쓸 수 있는 지적 역량은 더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 현대문학

 

이승우의 ’객지일기’ 등 12편이 ’2004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현대문학 刊)로 선정돼 단행본으로 출간됐다.

수록작들은 김윤식, 김화영, 이재룡, 성민엽, 신수정 등 다섯 명의 비평가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현대문학’ ’문학사상’ ’문학과 사회’ ’창작과 비평’ ’세계의 문학’ ’문학동네’ ’실천문학’ 등 문예지에 실린 신작 중.단편을 심사해 선정한 것이다.

여기에는 전통적 소설화법에 익숙하다는 평을 듣는 이승우와 이혜경의 작품을비롯해 김영현과 김남일 등 1980년대 운동권 작가들, 윤대녕과 구효서 등 1990년대를 주도했던 작가들, 박민규와 김경욱 등 신세대 작가들의 작품이 고루 섞여 있다.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은 현대문학이 1993년부터 펴내고 있는기획시리즈로 올해 열두 번째이며, 수록작들은 다음과 같다.

▲이승우 ’객지일기’ ▲이혜경 ’틈새’ ▲김남일 ’조금은 특별한 풍경’ ▲김영현’나는 몽유하리라’ ▲구효서 ’시계가 걸렸던 자리’ ▲윤대녕 ’고래등’ ▲전경린 ’여름휴가’ ▲김경욱 ’페르난도 서커스단의 라라 양’ ▲하성란 ’무심결’ ▲조경란 ’국자 이야기’ ▲박민규 ’카스테라’ ▲김미월 ’서울 동굴 가이드’. 392쪽. 9천500원.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메시지 2004-07-29 2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때 꼬박꼬박 읽었던 적이 있었는데 한동안 안 읽었네요.

stella.K 2004-07-29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래요. 이번엔 읽어 볼까요?^^

메시지 2004-07-29 2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기 도서에 찜은 해놨어요.

플레져 2004-07-30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서점에서 샀어요. 몇 해 전부터 꼬박꼬박 사고 있는데, 이상문학상 수상집 보다 더 좋은 이유는 정말 괜찮은 소설들만 모여있다는 거지요. 이 소설집을 통해 알게 된 소설가들이 꽤 있거든요. 꼭~~ 보셔요 ^^

stella.K 2004-07-30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그렇군요. 고마워요.^^
 
 전출처 : 바람구두 > 하느님과의 인터뷰







I dreamed I had an interview with GOD

하나님을 인터뷰하는 꿈을 꿨습니다.





"so you would like to interview me?" GOD asked.

"If you have the time," I said.

"네가 나를 인터뷰 하고 싶다고 했니?" 하나님이 물으셨습니다.

"시간이 있으시다면," 내가 말했습니다.





GOD smiled.

하나님은 미소지었습니다.





"My time is eternity... what questions do you have in mind for me?"

"나의 시간은 영원이다... 무엇이 묻고 싶니?"





"What surprises you most about humankind?"

"사람들을 보면 뭐가 제일 신기하지요?"





GOD answered.

하나님이 대답했습니다.





"That they get bored with childhood, they rush to grow up,

and then long to be children again."

"사람들은 어린 시절을 지루해 하지. 그래서 빨리 자라길 바라고

그리고는 늙어서는 다시 그 시절로 되돌아가길 바라지."





"That they lose their health to make money...

and then lose their money to restore their health."

"돈을 벌기 위해서 건강을 잃어 버리고

그리고는 건강을 되찾기 위해서 돈을 잃어 버리지."





"That by thinking anxiously about the future, they forget the present,

such that they live in neither the present nor the future."

"미래를 염려하다가 현재를 잊어버려.

마치 사람들은 미래에도 현재에도 살지 않는 것 같이."





"That they live as if they will never die,

and die as though they had never lived."

"죽지 않을 것처럼 살더니 살았던 적이 없었던 것처럼 죽지."





GOD's hand took mine and we were silent for a while.

하나님이 나의 손을 잡아 줬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잠시 침묵에 빠졌죠.





And then I asked,

그리고 난 물었습니다.





"As a parent, what are some of life's lessons

you want your children to learn?"

"아버지로서 자녀들이 어떤 것들을 배웠으면 하시나요?"





"To learn they cannot make anyone love them.

All they can do is let themselves be loved."

"다른 사람이 자기를 사랑하게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을.

단지 자기가 사랑받게끔 놓아두는 것 뿐이라는 것을."





"To learn that it is not good to compare themselves to others."

"다른 이들과 비교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To learn to forgive by praticing forgiveness."

"용서함으로 용서를 배우기를"





"To learn that it only takes a few seconds to open profound wounds in those they love.

and it can take many years to heal them."

"사랑하는 사람에게 커다란 상처를 주눈 데는 단지 몇 초의 시간 밖에 걸리지 않지만

그 상처가 아물기에는 몇 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To learn that a rich person is not one who has the most,

but is one who needs the least."

"부자는 가장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니라 가장 적게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To learn that there are people who love them dearly,

but simply do not yet know how to express or show their feelings."

"너희에게 사랑을 표현 못하거나 말하지 못하는 사람 중에서도
너희를 깊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To learn that two people can look at the same thing and see it differently."

"두 사람이 같은 것을 보고서도 다르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To learn that it is not enough that they forgive one another,

but they must also forgive themselves."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기를 용서해야 된다는 것을."





"thank you for your time," I said humbly.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는 겸손히 말했습니다.





"Is there anything else you'd like your children to know?"

"당신의 자녀들이 알았으면 하는 다른 것들은요?"





GOD smiled and said...

하나님이 미소지으며 말했습니다...





"Just know that I am here."

"내가 너희와 함께 여기에 있다는 것."





"Always."

"언제나."





"Always."

"언제나."

-----------------------------------------------

당신이 정말 늘 함께 할 수 있었다면... 언제나, 언제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4-07-28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줄리엣의 올리비아 핫세, 넘 청순하고 이뻐서 잊을 수가 없어요.

stella.K 2004-07-28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잉크냄새 2004-07-28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영원한 연인~~~

stella.K 2004-07-28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랬었구만요. 지금은 많이 늙었을텐데...ㅠ.ㅠ

잉크냄새 2004-07-28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늙어도 저에게는 소피아 로렌, 올리비아 핫세, 오드리 헵번, 그레이스 켈리, 잉그리드 버그만 등등등의 아줌마들이 영원한 연인이랍니다..

stella.K 2004-07-28 1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잉크님 요즘 분 같지가 않습니다. 물론 저도 좋아하는 배우들이긴 합니다만...하기야, 언급하신 배우들, 가히 영원하다 할만 하죠.^^

진/우맘 2004-07-28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정말 한가인이 많이 닮은 것 같아요.^^

stella.K 2004-07-29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 한가인이 못 생긴 올리비아 핫세? 흐흐.

하루살이 2004-07-29 1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렸을적 순수하면서도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 떠 올리며 퍼갑니다. 영화 속 주제가가 귓속에서 들리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