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모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앞으로 서평 이벤트가 금지될 거라고 한다.

 

[출판법 제22조(간행물 정가 표시 및 판매)이다. 서평 모집을 위한 도서 증정은 

마케팅 활동이 아니라 100% 할인된 가격의 판매 행위로 해석된다고 한다.]

 

도서 정가제의 취지가 정해진 범위내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라, 이런 제도로 서평이벤트 하는 곳(서점, 아침독서운동본부, 카페, 출판사)들은 모두 경고를 받은 모양이라고... 

향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출판사에서 무료로 책 보내는 것은 금지될 것 같다고 한다.

 

이런 법은 또 언제 만들어진 걸까?

그렇더라도 이건 너무 심한 간섭 아닌가?

출판사가 자체 홍보를 위해 이 정도도 못한단 말인가?

이러면 이건 거의 탄압 수준이란 생각이 든다.

 

안 그래도 우리 국민 책 안 읽는데 이 도서정가제에 묶여 더 안 읽는다.

입소문도 마케팅의 한 수단이고, 서평 이벤트를 하지 않는다면 어떤 방법으로

그 책이 좋고 나쁨을 알릴 수 있을까?

 

예전엔 서평 이벤트라는 게 없었다.

하지만 이게 어제 오늘 있어 온 것도 아니고, 이런 것 조차도 검열대상이 되야한다면

차라리 모든 출판사와 서점을 정부에 귀속시키는 것이 낫지 않을까?

역사 교과서도 국정화 되는 마당에...ㅠ  

 

부언하자면, 나도 이따금 서평 이벤트에 참여하지만 난 한 번도 공짜 책을 받는다고

생각해 본적이 없다. 이것도 이벤트 진행측와 참여자 간의 하나의 계약이고 책무다.

진행측이(그것이 서점이 됐건 출판사가 됐건) 뭐가 아쉬워 독자에게 허투로 책을 나눠주겠는가?

그것이 아니더라도 이벤트 참여자로서 책을 받아 읽었으면 서평을 써야하는 건 당연한 거다.

물론 내가 좋아서 이벤트에 참여한 거지만 참여할 때는 그만큼의 시간과 쓰는 공력이 들어가는 것이다. 말하자면 그것이 책값을 대신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 의미가 있는데 어떻게 서평 이벤트를 돈으로만 계산해 유료냐 무료냐로 따지려 드는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정부가 책 읽는 사람을 너무 띄엄띄엄 보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무지의 소치를 드러내는 것이다.

저 소식을 듣는 순간 왠지 독서 의식이 한참 뒤로 후퇴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정부가 나서서 국민들의 독서를 장려해도 부족할 판에 이런 어이없는 결정을 하다니...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재는재로 2015-11-04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뭐책사면간단한노트나연필도금지되겠네요결국책사려면중고서점으로가고신각은책나와도다중고로가는날이오겧네요 책을읽지않는다면서결국책을읽지말라는거안ㅣ가 국민의우민화정책이야뭐야 책사는구매층은한정되있는데뭐하자는건지
그래놓고도서관책신청하면금액정해저있다고 고가의책일반책도대중이안읽는다고신청받아주지않고 얼마전서울모도서관은 만화책입고했다뭐뉴스나오던데 애들이보는교육만화도아예금지시키겧네마법천자문같은그나마팔리는책들도 김훈사건도그렇고잘못되줄알면고쳐야지 에구자기들밥그릇은중요하고서민들책값은뭐냐하는거인가

비로그인 2015-11-04 2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 누구를 위한 법이란 말인지.
진짜 답답하네요.
도서정과제가 된 마당에 책을 사 보기도 쉽지 않은데 서평 이벤트까지 금지된다니 정말 너무하네요.

yureka01 2015-11-04 2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출판사에서 서평단 고정 맴버가 아닌..일반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정해서 서평하면
책을 무료로 증정하는 것으로 해석하더군요.
이제 서평도 양껏 못쓰게 될듯......

cyrus 2015-11-04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러다가 출판사가 책을 상품으로 내건 서평 대회를 여는 일조차 금지시킬 것 같아요. 어이가 없네요.

페크pek0501 2015-11-06 2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음~~ 저는 말이죠. 책에 관한 한 홍보나 광고를 더 많이 했으면 합니다.
책의 유혹을 반긴다는 것이죠. 책을 읽지 않는 국민들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책의 유혹이 강렬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도 그 강렬한 유혹에
넘어가고 말이죠. 그런데 이건 또 무슨일이래요?

yamoo 2015-11-08 2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개인적으로 출판사에서 서평도서를 풀어서 리뷰를 쓰게하는 걸 별로 좋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출판사 입장에서는 꽤 좋은 마케팅 수단이거든요~ 출판사는 홍보가 다른 어떤 것보다 어려운데(책을 읽지 않는 국민이 너무 많으니까..^^;;) 이마저도 막는 건 좀 아닌 거 같습니다. 자유주의 좋아하는 정권이 왜 이런 건 막는지 몰겠습니다. 저도 좀 어의가 없습니다만...^^;;

오거서 2015-11-23 23: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난 정권 때부터 경제 사정이 좋지 않으니 도서정가제로 책값을 올려서 국민의 도서 구입 의지를 약화시켜서 의식주 해결에 집중하려는 민생 구제 정책을 펼치는 것 같아요. 이번에는 서평 금지라는 말뚝을 박는군요 ^^;

stella.K 2015-11-24 13:38   좋아요 0 | URL
아, 오차서님 반갑습니다.
근데 아직 확실한 건 모르겠는데 그동안 문제 해결이 된 것 같기도 해요.
뭐 어찌된 일인지 모르겠으니 일종의 해프닝으로 끝난 건 아닌지 싶네요.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