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맑음
날씨는 맑고, 봄은 점점 가까이 오고...
1. 지난 주, 나의 친애하는 P님께 댓글을 단적이 있다.
모 신문 칼럼을 쓰셨는데 영끌해서 쓰셨다는 마지막 멘트가 짠해서, 원래 영끌해서 쓰는 글이 빛나는 법이라며 역시 독자는 작가의 고혈을 빨아 먹는 존재가 아니냐며 작가는 그런 존잰 것 같다고 했다. 그러자 좋아요를 무려 6개나 받아 버렸다.
그러자 나의 친애하는 P님 답글 다시기를,
댓글은 이달의 당선작을 안 주나요? 스텔라 님이 받을 뻔...ㅋㅋ
작가의 고혈을 빨아먹다니 독자들은 흡혈귀였군요.ㅋ
글쟁이들은 흡혈귀에게 빨아먹히고 싶어하는 존재들이겠네요.^^
나도 내가 왜 그때 그런 깜찍한 댓글을 달았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그렇지 않나? 작가는 기꺼이 물라고 자신의 목을 내어주는 존재. ㅋ
그러고 보니 오래 전에 보았던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가 생각이 난다. 그때 뱀파이어에게 물린 희생자가 아픈 것도 아픈 거지만 쾌감을 느끼며 죽던데 영혼을 팔아서라도 글을 잘 쓸 수만 있다면 무슨 짓인들...ㅠ
이러고 저러고 지간에 정말 알라딘은 이달의 당선작 부문에 이달의 댓글을 추가할 생각이 없는가? ㅋㅋㅋ 당연 없겠지...ㅠ
2.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1년을 넘었지만 동시에 이어령 선생의 1주기이기도 하다. 그에 맞춰 전집이 나왔더라.
나도 소싯적 선생의 책을 모으기도 몇권 읽기도 했는데 몇년 전 책 박스를 정리하면서 함께 정리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현재 총 31권으로 출간되었는데 실로 엄청나다. 앞으로 더 나올건지 모르겠다. 난 이분의 다른 저작도 저작이지만 소설이 '둥지속의 날개'를 읽으면서 이분의 소설가로서의 재능이 뛰어나다는 걸 알았다. 나중에 바빠서 소설은 더 이상 쓸 수 없다고 하며 작파했던 것으로 안다. 마음속으로 다시 한 번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다가 아직도 못 읽고 있다.
책을 보니 사고 싶다는 충동이 들긴하는데 가격이 장난이 아니다.
그런데 얼마 전 강인숙 교수의 '글로지은 집'이란 책이 나왔다. 강인숙 교수는 이어령 교수의 부인으로 동갑이기도 하고 대학 동기이기도 하다. 특별히 '글로지은 집'은 이어령 교수와 부부로 지냈던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모르긴 해도 이어령 교수의 명성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던 것 같다. 이분의 저작도 결코 적지 않은데 이분은 어떻게 글을 썼는지 읽어보고 싶다.
3.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텐데,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는 강하늘이다.
연기 잘하는 주지훈이나 지성 등 몇몇 배우들도 있긴 하지만 그건 그냥 좋은 거고 강하늘만큼 좋아하지는 않는다.
벼르고 별러 요즘 작년에 나왔던 드라마 <<인사이더>>를 시간 날 때마도 한편씩 보고 있다. 그런데 이 드라마 장난 아니다. 시작부터 19금을 달고 나왔다.첫 두 회차 정도 19금을 달고나온 작품이 있긴 하지만 이렇게 처음부터 끝까지 19금이어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볼 수 있는 드라마는 나에겐 이 작품이 첨이다.
야한 것이 아니라 도박을 소재로 했기 때문이다. 그런다고 19 이하의 청소년들이 안 보는지는 잘 모르겠다만.

처음부터 김요한으로 분한 강하늘이 얼마나 피칠갑을하고 나오는지 보면서, '아이고야, 하늘이 죽네.'란 말이 절로 나온다. 물론 주인공은 절대로 죽는 법은 없다. 이제 겨우 중반쯤 왔는데 우리의 하늘이 저 머리 노란 도령에게 꼬박꼬박 존대하다 어느 순간 말을 내라더라. 즉 저 노랑 머리 도령이 하늘이에게 책잡힐 짓을 했다. 그런데 화를 내지않고 대신 내가 너의 죄를 용서한다는 의미에서 반말을 하는 거다. 그러고 보니 본격적으로 상황을 역전시킬만한 얘기가 나올 모양인가 본데 이런 드라마는 한 번이나 봐야지 두 번도 못 보겠다. 내 영혼이 피폐해질 것 같아서...ㅠ
4. 어제 내가 이용하는 통신사에서 3월 한달 동안 30GB를 무료로 준다는 문자가 날아왔다. 이게 얼마만한 용량인지는 나로선 알 수 없는데, 얼마 전 고물가에 따른 서민들을 위한 대책 중 하나였던 것으로 안다. 이런 고물가 시대 통신비를 좀 내려주면 얼마나 좋을까. 대신 미봉책으로 통신사는 이렇게 한다. 이런 서비스를 해도 통신비는 절대로 포기 못한다 이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