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날씨가 다시 조금 추워졌다.
1. 책 보다 TV를 보는 때가 더 많아지는 것 같다. 주일 날 밤 나의 TV 시청은 한국방송공사 일명 KBS일 경우가 많다. 거기서 괜찮은 프로를 연속으로 방송해 준다. 이를테면 역사저널 <그날>을 본다. 이게 방송된지가 몇년된 것으로 아는데 그동안은 잘 안 봤다. 그러다 요근래에 비교적 관심을 갖고 보는데 근건 아무래도 여기저기서 경쟁적으로 역사 관련 에듀테인먼트 프로그램을 하다보니 그런 것 같다.
암튼 그게 끝나고나면 <예썰의 전당>이란 프로를 하는데, 역사적으로 예술이나 문학 방면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이것 역시 나의 흥미를 끈다. 출연 게스트도 대체로 좋고 다 좋은데 단점이 있다면 난 이 프로를 보다 잠이 들어 언제 끝나는지도 모르게 끝난다는 것. 내가 이러려고 이 프로들을 보는 게 아닌데 난 왜 꼭 이모냥인지 모르겠다.
2. 나의 습관은 잠들기 전에 화장실을 한번 다녀온다는 건데 그게 밤 11시무렵이다. 물론 그런다고 바로 잠을 자는 것도 아니다. 불을 다 끄고 TV를 조금 더 보다 잠을 잔다. 그런데 엇, 이게 웬일인가. 며칠 전, 책읽는나무님 말씀하셨던 전영애 교수가 나오는 거다. 관심이 가서 무슨 프로냐고 물었더니 책나무님도 정확히 말씀을 못 하셨다. 정확한 프로그램 명칭은 <다큐인사이트>다. 순간 잠이 확 깼다. 그렇지 않아도 이걸 찾아 봐야할텐데 하고 있는데 이걸 손 안 대고 코 푼다고 해야하는 건가? ㅋ 타이틀은 '인생정원-일흔 둘 여백의 뜰'이다.

와, 근데 이 분 장난 아니다. 작가 박경리 선생이 평생 글 쓰며 흙 일구며 사셨다는데 또 이런 분이 계실까 싶었는데 계셨다. 괴테 연구의 권위자로 대학 강단에 섰다 은퇴 후 경기도 여주에 '여백 서원'을 짓고, 괴테 전집을 번역할 것을 목표로 살고 있다. 그 넓은 땅을 홀로 일구며, 주말이면 손님을 맞는다. 어찌보면 제2의 박경리 선생 같고, 타샤 튜더를 연상케도 한다. 정원은 또 얼마나 예쁘던지. 버려진 식물들을 모아다 심었다는데 식물들의 고아원이라나.
무엇보다 이 분의 함박미소가 기가 막힌다. 알프스 소녀 하이디가 늙으면 꼭 이 분 같지 않을까. 어찌나 해맑고 예쁘던지.
무엇보다 괴테 연구자라는 게 놀랍다. 파우스트 번역자가 어디 한 둘이겠냐마는 듣도 보도 못한 교수님이 이 악마적인 작품을 번역하셨다니 새삼 놀라웠다. 새삼 오래 전 문동에서 독자 모니터에 참여해서 이 책을 받은 기억도 떠올랐다.
그때 내가 모니터 했던 게 바로 이 책이었다. 10대 말이었나, 멋모르고 아니 겉멋에 쪄들어서 <파우스트>를 읽었다. 내용 중 단 한 줄도 제대로 이해한 것도 없이 그냥 꾸역꾸역 읽었다. 그리고 내린 결론은 세상에 못 읽을 게 파우스트구나 했다.
독자 모니터에서 내가 받은 교정지는 1권인가 2권인지 아무튼 한 권만 받았는데 그렇게 모니터를 하면 나중에 정식으로 책이 나올 때 내 이름이 들어간다. 뭐 이름 석자 남기겠다고 한 건 아니고, 나이들어 이 작품을 다시 읽으면 혹시 좀 잘 읽게되지 않을까 싶고 이렇게 반강제적이 아니면 못 읽을 것 같아 기꺼이 받았다. 하지만 역시 파우스트는 나에게 조금도 자리를 내어줄 생각이 없었다. 난 그저 오자 잡아내느라 혈안이 되었을뿐, 나중에 내 이름이 들어간 책을 받았는데도 언젠간 읽겠지 하다 결국 못 읽고 책장이 더 누렇게 변색되기 전에 동네 주민센터 도서관에 기증해버리고 말있다. 지금도 문동판 파우스트를 사면 독자 모니터 명단을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다 TV에서 전영애 교수의 번역본을 봤다.
예쁜 녹색 하드커버 벽돌책이다. 지난 2019년에 나왔다. 놀라운 건 젊을 때 이 책을 읽고 원본만 40번인지, 40년간인지(기억이 가물가물 ㅠ)를 읽고 번역에 착수했단다.
그러니 10대 말에 이 책을 읽고 세상에 못 읽을 게 책이라고 혀를 내둘렀던 나는 얼마나 가소로운가.
문득 고전은 무조건 하드커버로 사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건 꼭 겉멋 때문만은 아니다. 물론 요즘 책이 워낙 탄탄하게 잘 나와 여간해서 흐트러지는 법은 없지만 기왕 거듭해서 읽을 생각이라면 하드커버가 좋겠다는 생각이다. 그렇지 않아도 이 분의 번역본이 탐나게도 생겼다.
아, 이분 같이 살았으면 좋겠다. 그 넓은 공간과 마당을 괴테 자료와 나무들에게 나눠주고 자신은 책상과 전기요 하나 펼칠만한 공간이 전부다. 그리고도 뭐가 좋아 저리 어린아이처럼 방실방실 웃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이걸 보고 정말 잠을 자려고 TV를 껐는데 한참 동안 잠을 쉬 이루지 못했다.
내가 이런다니까. 아놔.ㅠ
2-1. 전영애 교수가 무슨 말 끝에 그런 말을 한다. 사람이 정직하게 살면 손해 본다고 하는데 살아 보니까 꼭 그렇지만도 않더라고. 정직하게 살아도 살만하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