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40년을 준비하는 40대 인생경영 - 마흔세 살 김부장의 새로운 직업 찾기
김병숙 지음 / 미래의창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또 다른 40년을 준비하는 40대 인생경영.

제목이 무척 의미심장하다.

 

이 책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김부장.

김부장은 평범한 회사원이고 나이는 43살. 지금까지 특별히 인생을 잘못 산 기억이 없고 나름대로 만족스러워하는 김부장은 조금씩 불안해지는 마음이 생긴다. 회사에 입사하여 부장이 될 때까지는 나름대로 그 직책을 얻어내기 위하여 자기계발도 하고 공부도 꽤 많이 해왔었는데 부장이 되니까 마음이 무척 안정이 되면서 그 생활에 안주하고 만족해 했다. 그리고 이제 이사 로 진급을 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려고 하는데 김부장보다 늦게 회사에 입사한 권부장이 먼저 이사직으로 진급해버린 것이다.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현실과 맞딱뜨려지자 김부장은 사회에서 말하는 사오정이 자신을 두고 말하는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김부장은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 부정적이지 않다는 것.

여러 자료를 조사하고 아내와 이야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강의도 들으면서 현재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을 하려고 노력을 한다. 다른 사람들의 생활수기도 읽어보면서 말이다.

 

요즘음 150살까지 산다고 가정을 하고 120살까지 일할 때에 나는 어떤 직업을 가지고 살아갈 것인지 생각을 해야한다고 한다. 그래서 김부장은 직업시나리오를 2가지를 짠다. 자신의 적성에 맞게 추천된 직업을 가지고 8가지정도의 코스를 정하여 직업시나리오를 짜는 것이다. 아내와 이야기 해보고 년도별로 구체적인 계획도 짠다.

 

정말 예전에는 평생직장, 평생직업, 이라는 말이 당연하고 중간에 직장을 바꾸는 일은 대다수 사람들이 좋은 시각보다는 나쁜 시각으로 보는 것이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퇴직이나 은퇴를 하더라도 가계를 내어서 일을 하면 새로운 직업을 얻어서 치열하게 일을 한다기보다는 소일거리의 개념 즉 용돈이나 번다는 생각으로 가계일을 하시는  분들을 많이 뵈었다.

 

이제 평생직장, 평생직업은 우리 사회에서 더이상 만연한 말은 아닌 것 같다. 생존나이가 늘었고 직장에서 요구하는 능력도 늘었고 여러 사회의 환경 상 늘 우리는 준비하고 계발하고 노력하면서 비슷한 직장으로의 이직을 생각하며 살아야 하는 시대에 온 것이다. 물론 한 직장에서 끝까지 일하면 얼마나 좋으련만...

 

만약 한 직장에서 계속일하게 된다면(노동근로자의 경우) 실질적인 임금의 인상은 없지만 물가상승률과 기계의 자동화에 의하여 자신의 능력은 저평가 될 수밖에 없고 직업이라기 보다는 생활비라도 마련하기 위하여 일을 하게 되는 상황에 이르는 것이 될 것이다.

 

암튼.. 이 책을 읽고 나서 내가 직업에 대해서 갖고 있던 시야를 많이 넓힌 느낌이고 또 나 역시 자기계발은 뒷전으로 지금 당장의 일처리를 위하여 노력하는 편인데 물론 그것도 중요하겠지만 자기계발을 하여 능력을 향상 시키고 내가 이 일을 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직업이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현재의 일에 매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