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밥상 - 배부른 영양실조에 걸린 현대인을 위한 음식 이야기
이원종 지음 / 시공사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저자가 시골에서 살면서 몸소 체험한 것들을 바탕으로 배는 부르지만 실질적으로 영양소의 결핍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몸에 좋은 것들에 대한 설명이 듬뿍 듬뿍 들어있어서 비록 모든 것을 다 지켜내지는 못하겠지만 앞으로 음식을 먹을 때에 이것은 몸에 좋은 것이니까 먹어야겠다는.. 그런 생각은 들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좋은 부분이 너무 많아서 조금씩 골라보았다.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 서평을 쓰는 것도 좋지만 기억에 남는 부분을 사람들에게 알려주어도 좋은 방법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트랜스지방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며 가정에서 요리할 때에 마가린이나 쇼트닝 대신 올리브오일이나 포도씨 오일을 사용한다. 또 견과류와 등푸른 생선을 섭취하며 생선이나 고기 등을 먹을 때 기름에 튀기는 것보다는 굽거나 삶아먹는다.⌟

 

 

 


⌜아침에 일어나 밥을 먹고 출근하는 것이 힘들 때에는 보리수프, 율무죽, 검은콩가루죽,팥죽 등을 준비한다. 죽은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탄수화물을 공급할 수 있는 좋은 음식이다. 죽을 먹을 때에는 버섯, 당근, 토마토, 오이, 양배추, 샐러리, 브로콜리, 상추, 케일 등 채소를 이용한 샐러드를 곁들이면 비타민과 무기질, 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는 식이섬유를 보충할 수 있어서 좋다.⌟

 

 

 


아침과 점심,, 그리고 저녁과 간식.. 각각 파트가 나뉘어 있어서 어떤 음식재료가 좋고 음식방법과 함께 이러이러한 것들이 좋다고.. 나와 있어서 나 역시 나중에 실천해보고 싶은 것들이 몇 개 있었다. 또한 재료에 대한 효능이 눈에 띄었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

 

 

 


⌜몸안의 담즙산은 과다한 경우 장내에서 발암물질로 변하는데 대추의 식이섬유는 담즙산을 흡착하여 발암물질의 생성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발아현미는 콩나물을 기르듯 현미를 물에 불려 싹을 틔운 것이다. 현미를 하룻밤 물에 불려 콩나물 재배기에 넣고 어둡고 시원한 곳에서 이틀 정도 발아시키면 발아현미가 된다. 현미가 발아되는 동안에는 아라비노 자일란이라는 항암물질이 증가하게 된다.⌟

 

 

 


⌜“아침에 먹는 사과는 황금, 저녁에는 독” 이라는 말이 있다. 아침에 먹는 사과는 에너지원이 되고 사과의 식이섬유가 장을 자극하여 배변을 좋게하지만 사람에 따라서 저녁에 먹으면 속을 쓰리게 해 잠을 잘 수 없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 한방에서 옥수수 자체는 약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나 옥수수 수염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열을 내리는데 이용되므로 몸에 붓기가 있거나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좋다. 옥수수 수염차는 신장에 별 무리를 주지 않고 이뇨작용을 돕기 때문에 비만 치료에 좋다. 옥수수수염은 옥수수를 수확할 때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그늘에 말려두었다가 보리차를 끓이듯이 끓여마신다.⌟

 

 

 


요즘은 아침을 거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침을 거르게 되면 우리가 활동하는데에 지장이 많이 있고 따라서 점심을 제대로 못 먹고 오히려 저녁에 과식을 하게 되므로 아침의 중요성을 많이 이야기 하고 있었다.

 

 

 


⌜가지는 몸을 차게 하는 성질이 있어 고혈압이나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다. 따라서 다혈질인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특히 여름철에 열이 많이 발생할 때 먹으면 효과가 있다. 그러나 냉증이 있는 사람이 자주 먹으면 곤란하다.⌟

 

 

 


⌜녹차는 칼슘, 아연, 철분의 흡수를 저해하기 때문에 성장기의 어린이, 가임기여성, 임신부, 채식주의자, 빈혈이 있는 사람 등은 음식을 먹은 다음 바로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지나치게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은데 혹시 차를 많이 마시게 된다면 반드시 철분과 칼슘, 아연 등이 많은 식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미나리는 안색이 나쁘고 피부의 윤택이 없으며 나른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항상 불안해하는 사람, 발육기의 어린이, 또는 임신부에게 좋은 식품이다.⌟

 

 

 


바쁜 현대인들이 과연.. 이 책을 읽고 이런 재료들을 이용하여 요리를 해서 먹을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자연적인 것이 이상적인 것일 때도 있는 것이다. 예전 사람들은 그냥 먹었던 그런 밥상이.. 이제는 우리가 여기는 이상적이고 건강을 위한 밥상이 되었으니 아이러니 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우리가 건강을 지키고자 한다면 의술로 인한 생명연장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늙어가면서 자연과 벗 삼아 그렇게 살아가고자 한다면 아마도 하루 빨리 저자가 추천한 가난한 밥상이 우리 식탁에 올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