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결하면서도 명쾌한 커뮤니케이션 불변의 법칙
강미은 지음 / 원앤원북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상대방과의 편안하고 즐거운 대화를 위해서 읽어두면 좋은 책이다.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에서 알아두면 좋은 9가지의 원칙이 제시되어 있다.

그 원칙들을 하나 하나 읽어가면서 평소에 나의 대화습관과 비교해보면서

수정할 수 있어서 좋았고 새롭게 알아나가는 재미가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그 모든 원칙의 공통점이 존재했다. 바로 간결성 이었다. 이 책의 제목처럼..

 

첫번째 원칙, 핵심의 원칙

이 원칙은 연설을 할 때 연관된 원칙인 것 같다. 긴 연설보다는 짧게 간결하게

핵심만을 전달하는 연설이 더욱 효과적이고 듣는 사람도 지루해하지 않고 좋을

것 같다.

 

두번째 원칙, 간결성의 원칙

이 원칙은 광고와 선거공약과 관련된 원칙이었다. 사람들이 긴 문장보다는 광고에

등장하는 짧은 문구 하나를 더 잘 기억하고 대통령 선거 할 때도 짧게 간단히

공약을 했던 후보를 사람들이 더 잘 기억하는 것이 간결성을 지킨 예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세번째 원칙, 단순함의 원칙

사람들은 복잡한 것을 싫어한다. 예를 들어 "팝콘에 들어 있는 기름이 몸에 안좋

다"는 이야기를 복잡한 통계 수치를 들이대면 사람들은 복잡하고 어려워하지만

"팝콘 한 봉지에 들어 있는 기름이 햄버거와 닭튀김, 감자튀김에 들어 있는 기름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많다" 고 하면 확실하게 와 닿는다는 사례가 나왔는데

많이 공감했던 부분이었다.

 

네번째 원칙, 생동감의 원칙

여기에서는 레스토랑의 생생한 이름을 볼 수 있었다. "두부다" 라는 이름은 두부

전문식당이라는 이름과 두부가 많다는 느낌을 줄수 있는 이름이고 "어머니가 차려

주신 밥상" 과 "위치스 테이블(마녀들의 식탁)" 등이 있다. 또한 쌀의 이름도 다양

한데 "쌀눈이 살아있는 쌀","한눈에 반한 쌀","미풍당당","고향내음 가득한 쌀"

등도 생생하게 고객들에게 전달이 되어서 더 사고 싶고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이처럼 하나의 원칙마다 이름은 다르지만 간결성을 기초로 하고 있고 각각의 사례를

설명해주고 있어서 더 이해가 갔다. 만약 어려운 용어를 사용해서 이런 점이

커뮤니케이션 시 좋다고 했다면 책 제목과 반대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어렵기도

했지만 읽고 싶지 않았을 것 같다. 하지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례중심이라서

재미있게 읽었다.

 

다섯번째 원칙, 긍정의 원칙

여섯번째 원칙, 공감의 원칙

일곱번째 원칙, 스토리텔링의 원칙

여덟번째 원칙, 시각화의 원칙

아홉번째 원칙, 웃음의 원칙

 

 

화술이나 화법,,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책은 거의 접하지 않아서 좋은 기회였고

앞으로 내 직업에서 학부모 상담이나 아이들과의 대화시 사용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