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꺼이 길을 잃어라 - 시각장애인 마이크 메이의 빛을 향한 모험과 도전
로버트 커슨 지음, 김희진 옮김 / 열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눈이 보이지 않는 세상은 어떤 것일까? 또 그런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세상을 이해할까?

이런 호기심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도전기, 성공기 이런 류의 책을 너무 좋아했기 때문에 마이크 메이라는 사람은 또 어떻게 자신의 인생을 정복하고 이겨냈을지도 궁금했다.

 

3살때에 우연히 물에 반응하는 화학 약품을 우물안에 넣어서 폭팔이 되면서 마이크메이는

시력을 잃게 되었다. 그 후로 마이크는 시각이 아닌 청각과 촉각 후각을 이용하여 살게

되는데 그의 부모도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아이가 장애가 있으면

일반학교에 굳이 넣으려고 하지는 않는데 이 부모님은 아이가 장애아동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신의 장애를 크게 생각할까봐 걱정한 것 같다. 그래서 일반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게 하면서 아주 조금의 차이만 있다고 생각하고 의기소침하게 사는 것을 바라지 않는듯 싶었다. 어쨎든 부모의 기대만큼 마이크는 일반 학교에 들어가서 뭐든지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장애물을 부딪혀가며 살아가는 그에게

참 ..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어느덧 성인이 되고 한 가족의 가장이 되었다. 그동안 마이크는 그의 도전정신

때문에 장애인이라는 것이 믿을 수 없을 만큼 큰 일들을 해냈다. 그리고 마이크는 우연히

아내의 안과병원에서 마이크도 수술을 하면 시력을 되찾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그리고 그동안 눈이 보이지 않아서 불편하지도 않았고 생활하는데 어려움도 없고 너무 행복해했던 마이크가 고민을 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마이크의 도전정신으로 눈으로 볼 수 있는 세상에 대한 궁금증이 수술을 하게 만든다.

 

 

수술은 성공적,, 하지만 마이크에게는 큰 난관이 생겼다.

지난 오랜 시간동안 눈으로 보지 않는 세상을 살았기 때문에 비록 눈은 보이지만 뇌는

눈이 보이는 만큼 즉각적으로 눈이 구별할 수 있는 작동을 해주지 않았던 것. 파인 박사와

여러가지 테스트를 통하여 마이크는 자신이 사람의 얼굴과 입체적인 것들에 대해서

잘 구별할 수 없고 뇌가 전혀 반응하지 않았으며 그 부분을 좌우하는 신경 세포들이

다른 일을 하기 위해 지금은 작동하지 않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이야기에 절망하지만

또.. 마이크는 고민을 하고 어떻게 하면 그 능력을 키울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결국 완전히는 아니지만 조금씩 상황이 나아진다.

 

 

 

마이크는 나에게 희망을 주었다. 정말 많이 도전하고 실패하고 그럼에도 우울해

하지 않고 도전했다는 것에 대해 기뻐하는 그 자세.. 본받을 만 하다.

또한.. 마이크가 수술후에 겪은 여러 가지 상황이 그림과 사진과 함께 과학적인 설명을

곁들어서 나왔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고 이해하기도 쉬웠다.

 

힘을 주는 책을 재미있게 봐서 좋았고 다소 길었지만 뭔가 한가지 얻어간 듯 한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