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목돈만들기 -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순간부터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시리즈 2
김창수 지음 / 새로운제안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직장에 취업을 하고 월급을 받으면서 막연히 집을 사기 위해, 결혼을 하기 위해, 부자가 되기 위해 저금을 하고 투자를 하고.. 아마 대부분 이런 식으로 목돈 만들기에 들어가는 것 같다. 그러다보면 불분명한 목표 때문에 어느 정도의 종자돈으로 여겨질 만한 금액이 모이게 되면 그 돈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게 되기도 한다.


나 역시 이런 사례의 경우를 겪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나의 환경에서 더 많이 저금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냥 돈을 모았기 때문에 정해진 금액 이외의 돈은 모두 써버리고 카드에 현금서비스까지 이용하여 목적없이 살았다.


이 책은 이제 직장에 들어가서 큰 목표 없이 돈만 모으는 사람들에게 쓴 소리를 해주는 것 같다. 목표를 세우고 포트폴리오를 짜서 목돈을 만질 수 있게 그리고 그 목돈을 이용해 목표에 다가갈 수 있도록 굴리는 방법까지..


처음부터 책에 나온 모든 것들을 집어 삼키려 한다면 산통을 겪을 수도 있고 얼마 못가 포기하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차근차근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되 급하게 따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다만 책에서도 자주 언급된 말이 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처음의 소비습관이 끝까지 간다는 뜻이다. 처음에 올바른 소비습관을 갖아야지 잘못된 소비습관은 쉬이 고치기 힘들다는 말이고 나 역시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소비습관과 패턴은 잘못된 것이 있다면 빨리 고칠수록 좋을 것 같다.


우리나라는 주식투자를 공돈을 버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커서 많은 사람들이 가입한 펀드조차도 투기성으로 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또한 펀드를 통해 돈을 모으는 많은 사람들이 마치 수익이 바로 나올 것처럼 기대하고 단기간의 급락과 급등에 좌지우지 되는 것 같다. 그렇게 될 바에야 정신건강에도 좋게 은행에 맡기지.. 지금당장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 돈으로 버렸다는 생각으로 장기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싶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해나갈때에 국가적 입장에서도 큰 이익이 될 것 같다.


나는 돈을 아끼고 모을 줄은 알았지 보험이나 CMA, MMF 이런 것들은 머리가 더욱 복잡해지는 듯하여 쳐다보지도 않았다. 그래도 이 책을 읽고 가볍게라도 개념을 알 수 있게 되어 좋고 수시로 뒤적거려보며 필요할 때마다 읽어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