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 권 독서법 - 하루 한 권 3년, 내 삶을 바꾸는 독서의 기적
전안나 지음 / 다산4.0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전안나씨는 아이를 둘 키우는 워킹맘인데 열심히 살다 10년만에 펑크난 인생처럼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우연히 회사의 직무교육이었던 박상배 강사의 <독서경영> 을 듣게 되었는데 선생님께서 '2천권의 책을 읽으면 머리가 트입니다' 라고 한말에 하루 한권씩 천권이라도 읽어보자 라고 다짐을 했고 3년 10개월동안 1천권의 책을 읽고 이 책을 썼다.


책을 읽고 많이 달라졌다는 그녀는 한권의 책을 읽으면 한개의 배움과 한개의 적용점을 찾아보자고 한다. 나는 책마다 다르지만 소설책은 드라마 보듯이 봤었는데 작가의 조언대로 이제부터는 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독서법 몇가지가 소개되었었는데 "A-Z독서법" 이라고 십진분류표를 참고해서 골고루 읽는 독서법인데 나는 편독이 심해서 이걸해보려고 한다. 복사를 해서 체크를 해가며 총100개의 분류이니 한달에 한권이라고 신경을 써서 읽어보기로 마음먹었다.



강철왕으로 잘 알려진 미국 실업가 윌리엄 카네기

"시작하고 실패하는 것을 계속하라. 실패할때마다 무엇인가 성취할것이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미국 소설가 포크너

"남들보다 더 잘하려고 고민하지 마라. 지금의 나보다 더 잘하려고 애쓰는게 중요하다."

매일 책을 읽는다는건 뇌에 주름을 하나씩 새기는 일이다. 오랜세월 인류가 축적해온 지식을 새기고, 모든 살아있는 것들의 감정을 새기고, 선인들이 깨달았던 진리를 새기는 일이다. 그렇게 주름이 쌓이고 쌓여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을 만든다. - P149

맹자가 말했다
"물이 흐르다 웅덩이를 만나면 그 웅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간다"

‘질적변화‘ 가 생기기 위해서는 ‘양적변화‘ 의 축적이 전개되어야 한다. 양적변화가 쌓이지 않으면 질적변화는 결코 찾아오지 않는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갑자기 찾아오는 깨달음이란 없다는 얘기다.


다독의 효과는 바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꾸준히 책을 읽다보면 내부에서 조금씩, 아주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고, 어느 순간 양적변화가 질적변화로 이어지는 임계점을 미주할수 있다. 이렇게 질적변화가 일어날때까지 독서량을 늘려보자 - P89

조지프 켐벨
"진정 가치가 있는 메시지를 담은 책의 저자를 찾으면,
그 저자가 쓴 다른 책을 모두 찾아 읽게나. 여기저기 단편적으로 읽는 독서보다 이런 독서방식으로부터 더 많은 지식과 지혜를 얻을수 있다네." - P1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