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의 품격 -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서종석 지음 / 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가리 까다. 야부리를 까다."

난, 찰진 생활어를 몰라서인지 그런 말, 처음 들어봤다. 그것도 자그마치 Yale대학교 박사이자 귀공자풍 엄친아 이미지의 젊은 교수에게서. 반전 충격이었기에, 강력하게 뇌리에 박혀 잊히지도 않는다. "노가리 까다. 야부리 까다."


[어업의 품격]을 읽는데, "노가리 까다"가 등장했다.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산자원 보호령]까지 풀자 어린 명태(노가리)까지 싹쓸이하자 노가리가 심심풀이가 되니 "노가리 깐다"라는 표현이 나왔다고 한다(오호! 그랬군! '야부리'는 여전히 미지어이지만, '노가리'에 대한 궁금증은 풀렸다). 



저자 서종석 교수(부경대)는 충격 요법으로 [어업의 품격]을 시작한다. 사라져가는 물고기들을 나열한다. 그렇게 흔해 빠졌던 '노가리,' '명태'가 적어도 2008년부터 정부 공식 통계상 "0"라 한다. 쥐포는 어떠한가? 쥐치잡이 트롤어선들이 바닥을 싹 쓸어 고갈 시킨 이후, 쥐치는 자취를 감췄다. 양식장에서 사료, 영양제, 항생제 먹여 키우는 귀한 생선이 되었다. "설마" 사라진다고? 바다가 이렇게 넓은데? 해양수산 분야 국제비영리기구 MSC 한국대표이자 이 분야 전문가인 서종덕 교수는 단언한다. "설마"가 아니다. 실제로 그 많던 어류가 사라져간다고. "금"갈치, "금"징어, "금"조기. 더 이상, "국민" 생선이 아니다. 한국 상황만이 아니다. 유럽과 아메리카의 국민 생선이었던 대구 역시, 남획으로 완전히 고갈되어 어장 폐쇄 상황까지 갔다. 


물론, "품격 있는 어업"을 이야기하려면 이제는 비싸고 귀해진 어류를 나열하는 외에 더 중요한 지점을 짚어야 한다. 사실, [어업의 품격]에서는 다 짚어준다. 현 해양생태계의 위기상황을 보여주고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어떤 실천과 국제적 공조가 따라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읽고 나면, '공유지의 비극 tragedy of the Commons'으로 가는 지름길인 줄 알면서, 왜 어민들이 이토록 거칠게 바다를 쓸어가는지 짐작된다. 어업 분쟁의 원인과 현황, 혼획 및 남획의 폐해,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MSC를 위시해 지속가능한 어업과 해양 관리를 위한 노력까지 [어업의 품격]에서 배워갈 수 있다. 


그럼에도, 사람(특히 소비자로서 우리 대다수)를 움직이는 것은 해양생태계나 수산 자원에 대한 통계수치보다도 갈치, 오징어, 명태가 어떤 상황인지를 인식하는 데서 시작하는 듯하다. 이점은 저자도 분명히 지적한다. "소비자 한 명 한 명이 자신이 좋아하는 수산물이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인식만 해도 시장은 변화하게 된다....소비자들이 에코라벨이 표시된 수산물을 선택하면 자연스럽게 지속가능한 어업이 유지될 수 있다...소비자가 지속가능한 수산물을 인식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어업은 결코 이뤄질 수 없다 (178쪽)." 



이 라벨이다. MSC. https://www.msc.org/home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1-01-02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레이첼 카슨이 관심 가질만한 주제가 있는 책이군요. ^^

2021-01-02 2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cott 2021-01-02 2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바트로스 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들이 고스란히 몸속안에 ㅜ.ㅜ

얄라알라 2021-01-02 22:10   좋아요 0 | URL
어미새가 먹이라고 새끼에게 주는 모습이.....인간도 마찬가지겠죠. 자식에게 좋겠다고 주지만, 실은 오염물을 주기도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