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의 식탁 - 요리하는 의사의 건강한 식탁
임재양 지음 / 특별한서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분 작업하고 이내 산만해져서, 책을 집어 들면 또 1시간이 흐른다. 책이 마약이다. 끊어야 산다. 방금도 [제 4의 식탁]을 집은 참에 1시간 넘게 쉰 셈이다. 

*

학자이자 저술가, 강연가, 게다가 서평가에다 추천사를 참 많이 쓰시는 최재천 교수가 [제4의 식탁]을 추천하며 "나는 대구로 이사하고 싶어졌다. 저자의 병원 근처에 살고 싶다. 그러면서 그냥 그가 하는 대로 다 따라하고 싶다 (5쪽)."라는 문장을 남겼다. 최재천 교수님 문장답지 않다는 생각이 살짝 들었는데, 막상 [제 4의 식탁]을 읽고 나니, 어떤 의미에서 그리 추천하셨는지 알 것 같다. 

이 대오염의 시대에 건강하기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본인이 직접 체험하여 옹호할 수 있는 건강법을 전파하는 의사야 많다. 그런데 의사 임재양의 경우, 실천도 실천이지만 대인배다. 책 한권으로 속단하는 결례를 범할까 조심스럽긴 하지만, 행간에서 느껴지는 것은 자신뿐 아니라 사람을 살리고자 하는 의지와 큰 마음이다. 유방암 검진 전문의로서의 그는 27년 의사생활하며 점점 유방암이 고등학생, 대학생 등 어린 여학생들에게까지 빈발함을 안타까워한다. 당뇨 합병증으로 실명해가고 있는 데도, '달달한 빵'을 포기 못하겠노라고 '사람 좋은 웃음'을 짓는 단골 환자를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아니, 안타깝다. 그래서 임재양은 한옥으로 병원을 짓고, 아예 건물 안에 빵굽고 요리하는 공간을 두어서 병원 찾는 이들에게 빵을 그냥 나눠준다. 설탕이나 버터 친 빵이 아니라, 통밀 저염빵을. 그리고 환자를 잽싸게 진단해서 진료실 밖으로 내보내기보다는 환자와 소통하려 애쓴다. 물론, 개업의로서의 여러 한계가 있기에 환자 일인당 여러 시간 쏟아낼 수는 없지만 대기실에 간호인력 도움을 받아서라도 환자들의 일상을 알려고 한다. 특히 무엇을 먹는지. 그래야 제대로 된 도움을 줄 수 있으니까. 

*

[제 4의 식탁]은 "4"라는 숫자는 제시했지만 특별한 식사혁명을 말하지는 않는다. 대신 상식을 짚어준다. 예를 들어, 거칠어 못난이 취급 받는 채소 과일이 몸에 좋다든지, 육식보다는 채식하라든지. 그 기저에는 단지 나와 내 가족의 건강뿐 아니라, 먹거리를 생산해주는 이 땅의 모든 이들을 향한 고마움과 애틋함이 있다. 임재양 선생님은 "생각하면 바로 실행"하는 타의 추종 불허 실천력이 트레이드마크이던데, 나도 그렇다면 내친김에 대구를 찾아 임재양 선생님 병원을 방문해보고 싶다. 굉장히 궁금해진다. 



*

끝으로,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은 소챕터 제목이 '대변'이다. 흥미를 넘어, 따라해보고 싶어진다.



Jonathan108,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저자가 10일 일정으로 몽골로 휴가를 갔을 때 일화이다. 그곳엔 좌변기가 아닌 드넓은 초원에 임시로 마련된 푸세식 화장실이 있었나보다. 저자는 "느긋하게 쭈그리고 대변을 보자 엄청난 양이 쏟아졌다. 그 다음날도 그다음날도 마찬가지였다. 일이 끝날 때는 다리가 저려 절룩거리며 숙소로 돌아왔다. 배가 편함은 말할 나위도 없었다. 쭈그리고 보는 대변, 그건 실로 30년 만의 일이었다 (92)."


저자가 10일간의 몽골 여행 일정을 마치고 다시 한국의 일상으로 돌아오자, 다시 대변 습관이 바뀌었다 한다. 좌변기가 쾌변을 틀어막은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다시 야외에 몽골식 화변기를 설치했다 한다. 실천력 최강이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1-26 23: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그림 재밌네요. 근데 솔직히 엉덩이를 까야 하는거 아닌가요? ㅎㅎ
세상에는 참 훌륭한 사람이 많아요. 그래서 기사에 나오는 온갖 흉악한 사람들을 보다가도 이런 사람들을 보면 아 그래도 세상이 살만하구나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아요. ^^ 아 근데 집에 저 화변기를 설치하면 요즘은 그걸 퍼주는 똥차를 보기 힘들던데 아마 해결할 수 있으니까 만들어겠죠? ^^

얄라알라 2021-01-27 10:10   좋아요 0 | URL
바람돌이님^^ 저는 그 생각 못해봤네요^^
실은 학부 때 은사님 중 한 분도 ˝똥˝에 관한 책도 쓰셨을 뿐 아니라, 마당에 손수 시설을 설치(?)하셨다했는데, 그 뒤에 처리는 어찌 되는지 정작 그 부분은 확인해본 적 없네요. 아마 뭐든 방법이 있겠죠?^^

han22598 2021-01-27 07: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변비에는 푸세식이 답인가요? ㅎㅎㅎ 책 매우 궁금해지네요.

얄라알라 2021-01-27 10:09   좋아요 1 | URL
저도 어제 책 읽은 후, 계속 그 생각 중이에요
어쩌면 저자가 대도시, 바쁜 의사 스케줄 소화하며 스트레스 받다가 몽골의 너른 초원에서 규칙적으로 먹고 쉬며 스트레스 프리 상태로 10일 있었기에 쾌, 초초초 쾌변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그생각이 들어서요^^

감은빛 2022-04-19 14: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귀농한 선배가 대변을 퇴비로 쓰고 소변을 또 별도로 이용하기 위해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는 화장실을 설치했더라구요.
소변을 분리하고, 대변을 본 후에 위에 겨를 뿌려두면 대변이 모인 덩어리에 습기가 차지 않아서 냄새가 안 나더라구요.
사실 그 선배 집에서 며칠 묵어야 했을 때 화장실이 제일 고민이었거든요.
그런데 생각보다 훨씬 괜찮았어요.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그렇게 깔끔한 재래식 화장실이 될 수 있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었죠.
우리 몸 밖으로 나온 대소변은 모두 다시 땅으로 돌아가 농사에 보탬이 되니 그 또한 좋구요.

얄라알라 2022-04-19 15:53   좋아요 0 | URL
며칠 묵으시면서, 좋은 기억 있으셨겠네요.
저도 농촌 생활 동경하는 마음(만?) 커서, 좀 며칠 일하며 농가에서 묵고 싶어요.

어느 책에서인지 기억 나지 않는데, 예전 우리 조상들은 용변을 참고 집에 와서 해결한 이유가
그게 귀한 농사 비료가 될 거니, 밖에 뿌리고(?) 다니면 아까워서라는 글을 읽었어요.

불과 수십 년 사이, 우리 몸 밖으로 나오는 우리 몸 안의 물질에 대한 생각(이젠 철저히 위생처리 은폐 대상일듯하다고 상상합니다)이 크게 바뀌었음을 대변볼 장소 선정에 대한 그 이야기가 들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