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읽고 있는 책 중에 흥미로운 구절이 있어 옮겨 본다.

폴 우드러프가 쓴 "최초의 민주주의"라는 책이다.



정치 지도자들에게서 다음의 징후들을 발견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들을 경계해야 하며, 우리의 자유에 치명상을 입힐 흑사병이 진행 중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1. 참주가 정치적 지위를 잃을까 두려워하며, 이 두려움이 그의 정치적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2. 참주가 종종 말로만 법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며, 실제 통치함에 있어서 자신을 법 위에 세우려 한다.

  3. 참주가 비판을 수용하지 못한다.

  4. 참주가 자신의 (정치적) 행위에 대해 책임을 추궁받지 않으려 한다.

  5. 참주가 자신의 비위를 맞추려 하지 않는 자로부터는 어떤 조언이나 충고도 들으려 하지 않는다. 비록 그가 자신의 친구라도 할지라도.

  6. 참주가 자신과 의견을 같이하지 않는 자가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막고자 한다.


응? 이거 2023년 대한민국의 그분을 가리키는 건가?

우린 민주정이 아니라 참주정 체제 아래서 살고 있었던 건가.

쓰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경은 바나나처럼 껍질은 버리고 과육만 얻는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양파처럼 껍질과 과육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서

그 자체를 온전히 섭취해야 한다.

신화적 언어는 ‘외피’나 ‘껍데기’일지 몰라도,

그 신화적 언어가 주는 적절한 비유와 직관적 통찰이

무릎을 탁! 치게 만들 때도 많다.

예수님이 즐겨 사용했던 비유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 고뇌와 일상의 성찰이 그 신화적 표상에 깃들어 있다.

그래서 불트만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학자들은

신화적 표현은 미신의 언어도 아니고,

벗겨 내어 폐기 처분할 대상은 더더욱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그 지적에 따르면 신화적 껍질을 벗겨 내는 일은 가능하지도 않다.


- 주원준, 『구약성경과 신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다리는 자가 된다는 것은 도를 닦는 일이다.

화를 내면 이해도 못하는 치사한 사람이 되고,

화를 내지 않으면 기다리게 해도 되는 호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관계는 빨리 빠져나오는 것이 좋다.

나는 그걸 알고 있었다.

그러나 너무 좋아한 나머지, 그렇게 하지 못했다.


- 이소호, 『나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래는 전도서 및 서간문 형식의 일부 신약 성경에만 ‘서’자가 붙어 있습니다.

특히 신약의 서신서는 편지 문학이기에

그것을 표시하기 위해 ‘서’(書)를 붙인 것입니다.

룻기, 욥기, 잠언, 아가는 ‘기’, ‘언’, ‘가’라고 장르가 이미 표현된 말이므로

‘서’자를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룻기, 욥기, 잠언, 아가’라고 원래대로 부르면 됩니다.


- 이복규,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잡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