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그저 근육만 잔뜩 있지만 지력이 따라오지 못하는 힘캐로만 알려져 있는 안토니우스에 관한 입체적인 묘사가 눈에 들어온다. 물론 그에게는 결정적인 순간에 필요한 결단력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고(안 그랬다면 진작 파르티아 원정에 나섰을 게다), 결국 클레오파트라에게 휘둘리다 자멸한다는 역사 기록에 맞춰 여자에게 약한 모습을 보인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자신의 그늘 안으로 몰려온 다양한 사람들을 부리며 세력을 유지해 가는 모습은 나름 지도자로서의 면모가 느껴지기도 한다.
사실 여자에게 약한 부분에서는 남의 부인을 강제 이혼시키고 자기 부인으로 삼은, 또 그러기 위해서 거짓 사유로 자기 부인과 이혼까지 했던 옥타비아누스도 뒤지지 않긴 한다. 몇 편 전부터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세상에! 이후 로마 황제 3인의 이름이 다 모였다)가 종종 등장하고, 그에 대한 평가가 좀 야박하다는 느낌이 있었는데(이 책에서는 “제2의 카도이되 지성이 없는 카토”라는 표현으로 평가한다), 이번 편에서 그 이유를 깨달았다. 그는 후에 옥타비아누스가 뺏은 리비아의 남편이었고, 옥타비아누스를 옹호하기 위해선 네로를 무능하고 인격에 문제가 있는 인물로 묘사해야 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타비아누스가 안토니우스와 달랐던 결정적인 부분은, 대국을 읽어가는 능력이다. 그는 언제나 안토니우스보다 더 멀리까지, 그리고 더 오랜 후까지 보고 있었다. 이 부분은 옥타비아누스가 20년은 더 젊었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장점이기도 했으나, 그처럼 젊은 나이에(겨우 20대 초반이었다) 그 정도의 정국을 구상할 수 있었다는 건 확실히 천재적인 면모이긴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