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1978년 부산의 한 국민학교에서 은주라는 이름의 여학생 한 명이 납치되었다. 며칠이 지나도록 유괴범에게서는 전화 한 통 오지 않았고, 덕분에 경찰의 수사는 지지부진. 아이의 엄마는 점집까지 전전하지만 모두들 아이가 죽었을 것이라고 대답할 뿐이었다. 단 한 명 김중산(유해진)을 제외하고.

 

     사주에 ()’이 있는 사람이 수사에 나서야 아이가 살 것이라는 중산의 말에 따라 은주의 부모는 공길용(김윤석)에게 사건을 맡기기를 원했고, 제법 사는 집 부모의 요청이기 때문인지 윗선에서도 그렇게 조치가 된다.

 

     그렇게 유괴된 아이를 찾기 위한 형사와 도사의 협력이 시작되는가 싶지만, 어디 일면식도 없는 두 사람에게 그게 영화처럼 쉬운 일이던가.

 

 

 

2. 감상평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수사물. 하지만 배경이 70년대 말인 관계로, 현대식 수사기법이 등장할 거라고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그런 걸 원하면 CSI 시리즈를 보는 게 낫고..) 영화의 포인트는 형사와 도사라는, 쉽게 조합이 되지 않는 팀이 꾸려지고 (, 이쪽도 비슷한 콘셉트의 미드가 있었던가), 그들이 만들어가는 익숙하지 않음의 상태에서 뭔가를 이끌어 내려고 하는 데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런 의도가 작품 안에 잘 드러난 것 같지가 않다. 우선 두 사람이 맡고 있는 캐릭터의 성격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김윤석이 맡은 공형사 역은 욱하면 위아래 가리지 않고 할 말을 내뱉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규정준수의 화신이거나 의협심으로 똘똘 뭉친 것은 아니다. 잔머리를 굴리는 타입도 아니라서, 그의 수사를 보며 치밀하다는 느낌은 도무지 들지 않는다. 오랜만에 웃음기 싹 뺀 모습으로 등장한 유해진 역시 부적 몇 장 그리고 꿈 꾼 것 말고는 도사로서의 면모나 활약하는 장면이 그다지 보이지도 않고..

 

     캐릭터를 살리려면 인물들을 좀 더 과장되게 그렸어야 했지만, 아무래도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이야기다보니 내부적으로 좀 다른 생각을 했던 게 아닌가 싶다. 아이가 유괴되었는데 개그 치는 도사나 지나치게 방방 뛰는 형사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을 테니까. 하지만 수사물을 보는데, 범인의 정체가 그다지 궁금하지 않은 상황까지 이르면 확실히 좀 아쉽다는 느낌이 든다.

 

 

 

​     오히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영화 종반이었다. 사건 해결 후 논공행상을 하는 과정에서의 조작과 거짓 부분인데, 시간으로 보면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사건 해결보다 더 흥미로울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경찰 조직 안의 알력과 배타성, 그리고 고생한 주인공이 물 먹는 장면은 모처럼 감정적 동요를 일으켰으니까.

 

    본편에서 잘 느껴지지 않던 두 캐릭터의 케미스트리가 살짝 느껴지기까지 했지만, 뭐 어쩌겠는가.. 아이는 돌아왔고, 사건은 종결됐고, 실화를 표방한 이상 없는 일을 과하게 만들어 내기도 힘든 것을..

 

    이래저래 흥행은 쉽지 않을 듯. 뭐 그래도 지루한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