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줄거리 。。。。。。。
1978년
부산의 한 국민학교에서 은주라는 이름의 여학생 한 명이 납치되었다. 며칠이
지나도록 유괴범에게서는 전화 한 통 오지 않았고, 덕분에
경찰의 수사는 지지부진. 아이의
엄마는 점집까지 전전하지만 모두들 아이가 죽었을 것이라고 대답할 뿐이었다. 단
한 명 김중산(유해진)을
제외하고.
사주에 ‘물(水)’이
있는 사람이 수사에 나서야 아이가 살 것이라는 중산의 말에 따라 은주의 부모는 공길용(김윤석)에게
사건을 맡기기를 원했고, 제법
사는 집 부모의 요청이기 때문인지 윗선에서도 그렇게 조치가 된다.
그렇게 유괴된 아이를 찾기 위한 형사와 도사의 협력이 시작되는가 싶지만, 어디
일면식도 없는 두 사람에게 그게 영화처럼 쉬운 일이던가.

2.
감상평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수사물. 하지만
배경이 70년대
말인 관계로, 현대식
수사기법이 등장할 거라고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그런
걸 원하면 CSI 시리즈를
보는 게 낫고..) 영화의
포인트는 형사와 도사라는, 쉽게
조합이 되지 않는 팀이 꾸려지고 (아, 이쪽도
비슷한 콘셉트의 미드가 있었던가), 그들이
만들어가는 ‘익숙하지
않음’의
상태에서 뭔가를 이끌어 내려고 하는 데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런 의도가 작품 안에 잘 드러난 것 같지가 않다. 우선
두 사람이 맡고 있는 캐릭터의 성격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김윤석이
맡은 공형사 역은 욱하면 위아래 가리지 않고 할 말을 내뱉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규정준수의 화신이거나 의협심으로 똘똘 뭉친 것은 아니다. 잔머리를
굴리는 타입도 아니라서, 그의
수사를 보며 치밀하다는 느낌은 도무지 들지 않는다. 오랜만에
웃음기 싹 뺀 모습으로 등장한 유해진 역시 부적 몇 장 그리고 꿈 꾼 것 말고는 도사로서의 면모나 활약하는 장면이 그다지 보이지도
않고..
캐릭터를 살리려면 인물들을 좀 더 과장되게 그렸어야 했지만, 아무래도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이야기다보니 내부적으로 좀 다른 생각을 했던 게 아닌가 싶다. 아이가
유괴되었는데 개그 치는 도사나 지나치게 방방 뛰는 형사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을 테니까. 하지만
수사물을 보는데, 범인의
정체가 그다지 궁금하지 않은 상황까지 이르면 확실히 좀 아쉽다는 느낌이 든다.

오히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영화 종반이었다. 사건
해결 후 논공행상을 하는 과정에서의 조작과 거짓 부분인데, 시간으로
보면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사건 해결보다 더 흥미로울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경찰
조직 안의 알력과 배타성, 그리고
고생한 주인공이 물 먹는 장면은 모처럼 감정적 동요를 일으켰으니까.
본편에서 잘 느껴지지 않던 두 캐릭터의 케미스트리가 살짝 느껴지기까지
했지만, 뭐
어쩌겠는가.. 아이는
돌아왔고, 사건은
종결됐고, 실화를 표방한 이상 없는 일을
과하게 만들어 내기도 힘든 것을..
이래저래 흥행은 쉽지 않을 듯. 뭐 그래도 지루한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