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쫄깃해지는 스릴러.


어린 딸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수영강사 영은(곽선영)에게는 왠지 모를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그녀의 집 곳곳에 달려 있는 자물쇠(특히 찬장에도!)는 뭔가 그녀의 집에서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장치다. 그리고 곧 그 이유가 밝혀진다. 바로 그녀의 딸 소현(기소유) 때문이었던 것.


소현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능력이 전혀 없는, 이른바 사이코패스였다. 무표정한 얼굴로, 주변 사람들을 위협하고, 해치면서도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딸로 인해 이미 여러 피해자들이 나온 상황. 여전히 영은은 딸이 바뀔 수 있다고 믿으며 하루하루 버티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몸에도 수많은 상처들이 생기고 있었으니..


영화 초반 어린 소현 역의 아역 배우의 연기에 꽤나 충격을 받는다. 태연한 얼굴로 친구의 숨을 못 쉬게 코를 막는다든가, 수영장에 밀어 넣거나, 식칼을 들고 엄마를 위협하는 모습도 모습이지만, 이 모든 행동을 말 그대로 무표정으로 연기하니 더 소름이 끼친다. 능숙한 연기력이 필요한 연기는 아닌데, 어쩌면 그래서 더 섬뜩했을 지도 모르겠다.





20년 후?


사실 이 초반 설정만 가지고 계속 이어나갔더라도 영화는 충분히 흥미로웠을 것 같다. 아이의 섬뜩한 모습과 이에 당황하고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엄마라는 자리를 떠나지 못해 괴로워하는 영은(연기력도 좋다), 이 상황이 주는 아이러니는 영화를 끌고 가기 충분한 힘이 느껴지니까. 그런데 영화는 이 고민을 조금 일찍 끝내고(영은은 아이가 친구를 물에 밀어 넣고 웃고 있던 날, 한밤 중 수영장으로 아이를 불러내 함께 물에 뛰어든다), 20년 후라는 자막과 함께 성인 배우들로 화면을 갈아 끼운다.


그리고 등장한 것이 처음에는 누구인지 잘 못 알아봤었던 배우 유리(소녀시대 그 유리 맞다). 작은 규모의 특수청소업체에서 일하는, 뭔가 사연이 있어 보이는 조금은 거칠고 주변에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 캐릭터다. (당연히 영화를 보는 쪽은 의심을 하게 된다.) 하지만 곧 또 한 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해영이라는 이름의, 싹싹해 보이는 젊은 여성 캐릭터다. 뭔가 사연이 있어 보이지만.


자연히 영화를 보면서 이 중 한 명이 20년 전의 그 아이였을 것이라고 예상하게 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유리가 연기하는 김민이라는 캐릭터가 과거를 정확히 기억하지도 못한다고 하고, 주변 사람들과 관계도 어려워하는 걸 보면 이쪽인가 싶지만..... 아이는 웃으면서 태연하게 범죄를 저지르는 사이코패스로 더 교묘하게 진화되어 있었다. 나름 반전이었던 것.


다만 영화는 이쪽으로 넘어오면서 심리적으로 쫄깃함 보다는, 조금은 평범한 범죄영화가 되어버린 건 아닌가 하는 느낌이 좀 든다. 앞서 말한 아역 배우의 임팩트가 좀 강했던 것도 있고, 물론 성인배우들의 연기력이 나쁜 건 아니지만, 둘 중 누가 범인인가라는 간단한 퀴즈 말고는 특별할 게 없는 스토리도 한 요인.





이런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


영화 초반 아이를 보면서 답답함이 몰려왔다. 이런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 극중 영은의 남편, 그러니까 아이의 아버지는 일찍 포기하고 이혼을 한 상태고, 영은과 아이의 주변 사람들 역시 진작 아이의 상태를 인지하고는 멀리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의 엄마 혼자 모든 것을 품고 가는 건 불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한밤 중 칼을 들고 설치는 아이를 어떻게 집에서 돌볼 수 있을까)


결국 대안은 “시설”로 보내는 건데, 사이코패스라는 성향은 치료가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에서 기한 없는 치료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지원 같은 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 속에서는 결국 그런 성향이 범죄로 발현된다는 조금은 정형화된 이야기로 이어진다.(물론 실제 모든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범죄자가 되는 건 아니다)


영화는 후반으로 갈수록 어떤 깊은 고민이나 심리적 갈등 보다는 그저 범죄자와 이를 피하고 막으려는 이들 사이의 몸싸움에만 집중한다. 배우들은 열심히 움직이지만 오히려 지루한 느낌이 드는 이유. 그래도 초중반의 스릴은 나쁘지 않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8-08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씀하신 것처럼 연쇄 살인마 중에서 사이코패스 성향의 사람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업가나 기업인 중에도 사이코패스 성향의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사이코 패스 성향의 성공한 사업가들은 타인의 감정과 고통에 대한 공감이 전혀 없기에 직원들의 대규모 감원이나 M&A등 성공을 위해서 거리낌 없이 행동 할 수 있어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사실 정형화된 사이코패스 범죄자물 보다는 차리리 사이코패스 성공한 기업가를 다루는 드라마가 나오면 더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노란가방 2025-08-08 13:19   좋아요 0 | URL
오... 그럴 법도 하네요 ㅎ

잉크냄새 2025-08-08 1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린 시절의 몰입감에 비해 후반부는 좀 단순 스릴러 비슷하게 흘러가 마지막까지 끌고 가는 힘이 떨어져 보이더군요.
정상적이지만 악한 사람은 금지와 회피를 피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비해 사이코패스는 금지 자체가 없기 때문에 금지를 회피할 이유가 없죠. 금지를 촉발하는 타인의 고통 자체를 느끼지 못하는 거죠.

노란가방 2025-08-08 19:12   좋아요 0 | URL
확실히 뒷힘이 약해 보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