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땅, 보이지 않는 자들 - 알려지지 않은 쿠르드족 이야기
힐미 압바스 지음, 조경수 옮김 / 이매진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이 자기 자신으로서 더 많이 보고 전체로서는 그만큼 조금 보는 한,

결코 하나의 본질, 하나의 뜻을 갖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오로지 자기 자신 안에서만 사는 자들 역시,

설령 무한성이란 선물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결코 전체를 보지 못하리라.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쿠르드 족에 관한 책이다. 쿠르드 족, 최근 이라크 전쟁으로 그 이름이 알려진 종족이다. 사실 나도 쿠르드 족은 터키, 이라크, 이란 등의 국경지방에서 사는 민족이라는 점만 알 뿐, 더 이상 자세히 알지는 못한다. 사실 이 책을 읽고 나도 쿠르드 족이 어떤 종족인가를 알게 되지는 않는다. 이 책은 쿠르드 족을 설명하기 위한 소개서가 아니라, 그들의 신화(그들의 신앙이 담겨져 있다는 데서 이 책을 경전적인 내용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듯 하다)를 적어놓은 책이기 때문이다.

        신화하면 그리스 로마 신화나, 우리나라의 건국신화 등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알고 있었던 나였다. 그 이름부터 생소한 쿠르드 족, 게다가 그들의 신화를 읽어보게 된다는 것은 기대감 반, 걱정 반이었다. 아주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다는 건 매우 흥분되는 일이지만, 경험상 전혀 배경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이해도도 떨어질 뿐더러, 자칫 지루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책을 모두 읽고 난 뒤 느껴지는 감정 역시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쿠르드 족의 신화는 근본적으로 윤회론을 전제한다. ‘완성된 자’, ‘비 완성된 자’라는 구분에서 알 수 있듯이 불교식의 해탈의 개념도 엿보인다. 또, 여느 종교의 창세처럼, 여기에도 ‘아주 늙은 성스러운 아버지’라는 창조신이 존재한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대홍수의 기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쿠르드족의 홍수는 조물주의 사자인 키르드탐이 한 마을 사람들에게 조선술을 가르쳐 주어 마을 사람 전체가 구원을 얻게 된다는 스토리를 가진다. 성경의 무지개의 역할은 달(月)이 대신한다.

        한편 읽던 중 흥미로운 내용은 인간의 일반적인 구분이다. 우리는 흔히 백인, 황인, 흑인으로 사람들을 나누곤 하지만, 쿠르드족의 신화에 나오는 인간은 황색인, 흑색인, 갈색인, 백색인, 창백한 사람 등 5가지로 나눈다. 무의식적으로 참 재미있게 구분을 했구나 하는 생각을 했는데, 사실 내가 그만큼 서구의 3색 구분법에 익숙해졌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지독한 편견이 아니었을까.




        가장 많은 생각을 하면서 읽었던 부분은 제 4부였다. 다른 부분은 상당히 지루한 맛이 있었는데, 4부 만큼은 전혀 지루한 맛을 느낄 수 없었다. 그 내용은 신앙을 한낱 어리석고 무지몽매한 사람들이나 믿는 것으로 치부하고, 이성의 힘을 숭상하도록 사람들을 종용한 토룹에 의해 사람들이 신앙심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되자, 결국 토룹의 지배에 빠지게 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그 시작이다. 사람들을 완전히 지배한 토룹은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두 부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75개의 부족 연합군을 결성해 토벌에 나선다. 하지만 자만할 대로 자만한 토룹은 결국 전투에서 패배하고, 죽음을 맞게 된다.

        내용만 보자면 단순한 권선징악적인 내용처럼 보이지만, 인간성에 관한 매우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는 이야기들이다.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 있는 신앙을 버리고, 스스로가 신의 자리에 올라 자율에 따른 생활을 하면 행복할 것만 같지만, 결국 폭군인 토룹의 지배를 받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는 내용 등이 그렇다. 기회가 된다면 이 모티브를 소재로 짧은 단편소설이라고 써 보고 싶은 마음이다.




        여러 가지로 새로운 경험이었다. 무슨 뜻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이름들 때문에 읽느라 고생 꽤나 했지만, 신화 안에 담긴 인간에 관한 여러 깊은 통찰들은 그러한 어려움을 깨끗이 씻어줄 수 있을 정도였다. 역시 신화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재미있게 지어낸 이야기여서는 안 되는 것인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