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하노 벡.우르반 바허.마르코 헤으만 지음, 강영옥 옮김 / 다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1980년대에 부라보콘은 150원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90년대 초반 나온 메로나는 아마 200원이었다. 그랬던 것이 부라보콘은 지금은 1500원 정도 메로나는 7-8백원 정도한다. 이럴땐 웬지 손해보는 느낌이 들곤 하는데, 이렇게 물건의 가격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오르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이 책은 제목처럼 인플레이션에 대한 책이다. 사실 인간이 자신의 지능과 과학기술 사회문화를 이용하여 지구의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는 생산성을 키워나가는게 경제성장이라면, 경제성장은 유사이래로 계속있었던 것으로 봐야한다. 물론 간혹, 전쟁이나 환경변화로 인플레이션의 반대인 디플레이션이 있었던적도 있겠지만 그만큼 사람에게는 인플레이션은 익숙한 것이다. 물론 효과는 미미했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 그리고 경제의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인플레이션은 본격화하였고, 이에 따라 피해를 보는 사람과 이득을 보는 사람들이 나눠지기 시작했다. 

 초기 금, 은, 구리, 청동으로 화폐를 사용하던 시대에는 화폐자체가 가치를 가지고 있었으며, 희소성이 있고, 동전 주조자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감에 따라 인플레이션은 거의 없었다. 물론 지도층은 이때부터 돈으로 장난질을 치기 시작했는데 초기엔 국가경제와 화퍠발행의 이득(동전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동전의 액면가의 차이)을 얻기위해 성실하게 돈을 만들다가 전쟁이나 재정난으로 상황이 어려워지기 시작하면 동전의 함량을 불량으로 하는등으로 이득을 취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피해는 고스란히 통화를 가진 일반 국민층에 돌아가게 된다. 

 그래도 동전엔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지폐의 시대가 여러번의 실패끝에 결국 자리잡게 된다. 지폐를 통화로 하면 인플레이션은 정말 쉬워진다. 만들기가 쉽우며 희소성도 없고, 스스로의 사용가치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이런 지폐를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강한 권력에 의한 신뢰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신뢰가 무너지면 한순간에 사라지는게 지폐 경제다. 

 지폐를 화폐로 사용하는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은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를 갖는다. 우선 지폐를 발행한다. 아직 믿음이 있고, 경제도 건실한 시기다. 다음은 정부의 실정이나 전쟁 등으로 예산적자가 쌓이는 순간이다. 책에는 모든 정부는 항상 세금으로 징수할 수 있는 돈보다 더 많은 돈을 필요로 한다라는 말이 나온다. 그리고 적자 해소를 위해 지폐의 발행량을 증가시킨다. 물론 이 경우 증세를 하고나, 재정 감축등의 방법도 있만 모두 정치권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방법이라 거의 손쉬운 발행량 증가를 택하게 된다. 마지막은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화폐재산을 강탈당한 국민들에 의해 경제가 붕괴되는 것이다. 

 지금 전세계가 하고 있는 것이 3번째 단계인 재정적자해소를 위한 지폐의 발행량의 증가다. 이를 경제용어로 양적완화라고 한다. 양적완화의 단계는 우선 중앙은행이 정부이 채권을 나라의 각 은행들로 하여금 구입을 하게 한다. 이것로 정부의 빚을 해결하며 그 대가로 중앙은행은 각 은행에 화폐를 발급하는 것이다. 이것이 시중에 풀려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된다. 정부와 권력자들의 입장에서는 빚이 채권으로 해결되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국가채무 자체도 줄어드는 이중효과를 누리게 된다. 하지만 생산수단이 전혀 없거나 대부분의 재산이 화폐로 구성된 일반국민에게는 재산강탈의 효과가 일어나게 된다. 

 이런 양적완화를 엄청나게 하고 있는 곳은 미국과 일본으로 일본이 경우 재정적자가 예산의 300%나 되지만 비교적 안전하게 자국민들이 이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 거기에 미국은 달러가 기축통화이니 화폐를 마구 남발해도 한국이나 중국같은 다른 나라들이 지불수당으로 대량의 달러를 알아서 보관해주기 까지 한다. 

 저자는 이런 인플레이션의 시대는 앞으로도 사라지기 힘들고 실질적인 재산강탈효과가 있는 만큼 각자도생의 방법도 제시한다. 여긴 좀 뻔한데, 부동산, 주식, 채권 등의 투자가 그것이다. 독일인이라 축구를 좋아해서 그런런지 4-4-2전술을 써서 40%정도는 채권, 현금 같은 비교적 안정적 재산에 40%정도는 부동산이나 대기업 주식등 유동산과 수익성이 조금더 보장되는 자산에 나머지 20%는 개발도상국이나 중소기업 등에 투자를 권유한다. 

 책은 인플레이션의 경각심도 알려주고 역사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를 잘 풀어주고 비교적 읽기 쉽지만 깊이 면에서 아쉬움이 좀 있었다. 거기에 막판 인플레이션을 피해가는 방법역시 일반적인 통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8-31 01: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