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있는 나날 민음사 모던 클래식 34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송은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은 노벨상 수상자의 책으로 솔직히 노벨상 수상으로 인해 보게되었다. 나도 그렇지만 노벨상이 아니었다면 이 책을 본 사람이 지금처럼 많진 않았을 것이다. 책도 2009년 판으로 보면서 약간 오래된 책의 느낌과 냄새가 감각을 자극했다. 책 뒷부분에 역자가 사고로 생을 마감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붙어있기도 했다.

 소설의 배경은 공간은 영국의 남부, 그리고 시간적으로는 2차대전 이후다. 물론 중간중간 회상장면이 적지 않아 사실상 시간적 배경은 1차대전 직후, 그리고 2차대전 전의 상황인 것 같은 느낌을 많이 준다. 

 내용은 스티븐슨이라는 집사가 달링턴이란 귀족의 집에서 생활한 내용과 관련한다. 그리고 집사 스티븐슨의 경력은 대개 달링턴 경을 모시고 달링턴 홀에서 주요 국제적 귀빈을 맞이하며 정점을 달렸었다. 달링턴 경은 노환과 정치적 판단미스로 우울한 죽음을 맞이하고 스티븐슨은 현재 새로운 달링턴 저택의 주인인 미국인 패러데이를 모시고 있다. 스티븐슨은 마치 집주인의 이름처럼 전기와 기술의 발전으로 저택에 필요한 노동인원이 크게 줄어들며 제법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모처럼의 휴가를 맞아 과거 그와 함께 일했던 켄턴양을 떠올린다. 웬지 빠릿빠릿했던 켄턴양이라면 지금의 부족한 인원으로 최적의 인적자원운영을 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거기에 새주인은 여행의 기름값을 대준다고 했으며 아름다운 영국의 산천을 둘러보길 추천한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직장에서 헤어진지 수십년이 지났음에도 스티븐슨과 켄턴은 서로 서신을 주고 받는 사이였다. 물론 이건 최근 일이다. 웬지 서신에선 켄턴양을 달링턴 저택에서의 삶을 그리워만 하는 것 같았다. 이런 여러가지 호기와 동기가 겹쳐 스티븐슨은 켄턴양을 만나러 향한다. 그 과정에서 켄턴양과의 과거 집사로서의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마침내 켄턴양을 만나는 것이 소설의 내용이다.

 스티븐슨은 집사로서 상당한 프로의식을 갖춘 사람으로 자신의 아버지대에부터 집사를 수행하고 있는 집사 집안이다. 집사로서 그들의 의식은 상당히 강박적이기 까지 한데, 그의 아버지는 술에취해 자신의 주인을 모독하는 고급손님들을 집사로서의 품격으로 제압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노환에도 끝까지 집사직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질세라 스티븐슨 역시 달링턴 홀에서의 여러 국제행사를 잘 치뤄냈으며 함깨 일하게 된 아버지가 임종을 맞이하는 순간에도 일을 선택할 만큼 만만치 않다. 

 스티븐슨에게 품격이란 집사를 가장 잘 설명하는 말이면서도 항상 이상적으로 삼는 것인데 항상 체면과 명예를 중시하면서 사적으로 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그는 아버지의 임종에서도 행사를 치루기 위해 곁은 지키지 않았고, 심지어 아버지를 위해 부른 의사가 이미 아버지가 죽은 후에 도착하자 병환을 앓던 저택 손님에게 보낸다. 또한, 주인이 유능한 하녀 둘을 유태인이란 이유만으로 해고하려들자 잘못된 생각이란걸 알면서도 이에 순응한다. 그리고 달링턴 경의 판단이 옳지 못함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의견에도 휘둘리지 않는다. 이런 면 때문에 어찌보면 그에게 품격이란 집사직을 위해 개인을 버리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 그가 가끔 겉으론 엄격히 집사직을 수행하기 위함이란 핑계로 업무와 관련하여 시비를 거는 사람이 있었으니 그가 켄턴양이다. 젋은 켄턴은 상당히 일을 빨리 배웠고 총무로서 스티븐슨의 눈에 들게된다. 그런 그녀를 이상하게도 스티븐슨은 말같지도 않은 핑계를 대며 업무적으로 괴롭힌다. 마치 좋아하는 여학생에게 짖궃은 어린 아이같이. 켄턴도 만만치 않은지라 이런 스티븐슨을 무시하거나, 스티븐슨의 아버지가 노환으로 일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을 지적하기도 한다. 

 그들의 이런 갈등은 이상하게도 썸으로 발전한다. 둘은 어느새 바쁜 와중에도 정기적으로 업무를 빙자하여 티타임을 즐기는 사이로 발전한다. 물론 수년간 둘은 업무이야기만하며 둘 사이엔 어떤 애정행각도 어떤 관계의 발전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상스레 마음을 깊어진거 같다. 세월이 흘러 어느덧 30줄이된 켄턴은 스티븐슨에게 사실상 마지막 제안을 한다. 자신에게 중요한 약속이 있다고. 하지만 스티븐슨을 여전히 바쁜 집사일에만 집중한다. 

 약속 후 돌아온 켄턴은 만난 사람은 정인이고 그가 청혼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사안에 대해 스티븐슨의 의향을 묻는다. 켄턴이 이정도까지 들이댔음에도 스티븐슨은 여전히 집사로만 남고 켄턴을 그대로 떠난다. 

 수십년이 흘러 여러 고장을 거쳐 다시 만난 스티븐슨에게 켄턴은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솔직히 말한다. 자신은 사실 스티븐슨을 좋아했고, 그로 인해 남편과의 삶이 불행했다고. 하지만 세월히 흘러 계속 함께해준 남편을 어느덧 사랑하게 되었고, 이 곳이 자신의 자리임을 깨닫게 되었다고. 항상 품격있던 스티븐슨은 이말을 듣고 가슴이 찢어지게 아픔을 느낀다. 그럼에도 스티븐슨이 자신이 그녀를 사랑했었음을 인정하는 생각이나 말은 좀처럼 나오지 않는다. 그는 그런 사람인 것이다.

 다 읽고 나니 책 내용이 제법 재밌었다는 생각이 든다. 겉으론 고루해보이기만 하는 스티븐슨의 많은 자기변명적 생각을 듣는 것도 제법 괜찮았고, 오묘한 켄튼 과의 관계도 재밌으며 1-2차대전과 관련한 세계사적 내용과 당시 귀족상류층의 생각역시 재밌는 부분으로 다가온다. 평생 스티븐슨은 농담을 할 줄 모르는 사람이었는데, 그가 농담이란걸 아는 사람이었다면 모든게 바뀌지 않았을 런지.

 그러고 보니 일본인들은 유럽 귀족 사회의 집사라는 계층에 대한 묘한 동경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선 거의 다루지 않는 집사를 유독 일본에서는 소설, 만화, 영화, 심지어 게임등 굉장히 다양한 매체에서 자주 다룬다. 거기에 그 집사들은 하나 같이 주인의 뺨을 후려칠정도로 외모도 뛰어나고 능력이 출중한 경우가 상당수다. 이시구로 가즈오를 일본인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역시 일본계인 것도 사실이기에 집사에 대한 일본의 이런 관심에 주목해보는 것도 재밌는 일일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7-11-24 00: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시구로 주인공들은 왜 다 이렇게 답답한 것인가 작가 탓을 하게 되더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