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짜기로 완성하는 초등 6년 글쓰기 캠프
김도현 지음 / 성안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듣고 말하는 것은 누구나 매일 하는 일이다. 듣는 것에 자신이 없다는 사람은 거의 본적이 없고, 말하기에 다소 부담을 느끼는 사람은 있지만 어디까지나 공식적이거나 연애등 특별한 경우이고 일상생활에선 큰 문제가 없는 편이다. 하지만 글쓰기는 전혀다르다. 오히려 글쓰기라면 특별한 문제 없이 웬만큼 쓸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사람 자체가 거의 없는 편이다. 그런데 글쓰기 교육은 초등학교부터 고교까지 12년간 꾸준히 이뤄진다. 어찌보면 교육의 실패인 셈이다.

 그래서 저자는 자신이 지도하는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초등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글쓰기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개요쓰기다. 개요는 글의 큰 틀이자 골격인데 이것을 세우는 방법만 안다면 글쓰기는 절반 이상 끝난 셈이다. 나머지는 그 살을 붙이는 작업이 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등1-2학년은 주변에서 겪은 일을 담는 생활문을 배우는데 일기와 독서록 등이 여기 해당한다. 3-4학년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 마음을 표현하는 글을 통해 문단을 나누는 것을 배우고 5-6학년은 주장, 설명, 목적이나 주제에 맞는 글쓰기를 학습한다. 사실상 거의 모든 글쓰기의 기초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개요작성의 원리로 4가지를 제시한다. 한정성은 써야 할 글의 주제와 범위를 정하는 것이고 단일성은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명료성은 글의 내용을 정확하고 분명히 드러내는 것이고 완결성은 문장이 완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독서감상문을 쓰기 어려워하는데 일선 학교에서 쓰게 시키기만 할 뿐 좀처럼 그 쓰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저 많이 쓰다보면 익히리라는 안일한 자세다. 독서감상문의 개요는 읽게 된 이유, 내용 요약, 느낀점 배운점 쓰기로 나눌수 있다. 이것들이 자연스레 순서 없이 섞이는게 더 좋겠지만 초등학생에겐 이런 순서를 제시하는게 좋다. 아이들은 이 과정에서 내용요약을 가장 어려워하는데 이 경우 학생에게 주인공의 행동이나 마음을 유심히 살피면서 이야기를 정리하도록 하면 접근이 쉬워진다고 한다.

 초등학생에게 일기쓰기는 학교와 가정에서 많이 접하는 글쓰기이다. 일기는 편지일기, 독후일기, 여행일기, 상상일기, 관찰일기, 동시일기, 그림일기등 매우 다양하다. 여행일기의 개요는 누구와 갔나, 언제갔나, 어디로갔나, 그곳에서 한 일, 본 일, 들은 것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나의 생각과 느낀점을 쓰는 것이다. 일기쓰기에는 단계가 있는데 먼저 하루중 겪은 일을 떠올리는 질문을 하고 이를 통해 기억에 남는 것을 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글에 어울리는 제목을 정하고 정리한 내용에 알맹이 문장을 넣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제에 맞는지 점거한 후 다 쓴 글에 무한 칭찬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어려운 작업을 해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에서 일기만큼 아이들이 자주 접하는 글은 독서감상문이다. 독서감상문은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독후에 느끼고 감동받은 점을 통해 인성이 향상되며 글쓰기 능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지닌다. 독후 감상문은 일기 형식, 편지형식, 시 형식, 기행문 형식 등 매우 다양하다. 그 외에도 결말을 바꾸어 쓰거나, 뒷 이야기 쓰기, 인터뷰 형식으로 쓰기, 연극 대본 만들기, 독서 엽서 만들기등 매우 다양하다. 독후 감상문을 쓰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책을 읽고, 구상을 한 다음, 개요를 짜고, 쓴 후 고치고 다듬는 것이다. 

 이야기 책을 읽고 쓰는 경우는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쓴다.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 사건의 흐름, 인상 깊은 장면을 소개하며 쓰고, 여기에 자신의 생각과 느낌. 개인적 경험을 관련 짓는다. 과학도서 감상문은 책에 대한 전반적 소개, 선택한 이유, 책표지나 내용에 대한 생각, 본인의 경험, 느낀점, 배운점, 장래 진로와 관련된 글쓰기를 한다. 역사 도서 감상문은 전체 소개, 인상적 사건과 인물의 이야기, 역사적 사건과 그 인물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 정리, 교훈, 새로알게 된 사실과 본인의 느낌을 정리한다. 

 설명하는 글은 아이들로 하여금 글을 쓰면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을 자신의 경험으로 요약 정리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설명 글은 다른 글과는 다르게 객관적이어야 하므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이 많이 배제된다는 점에서 다른 글쓰기와 다르다. 방법은 비교하기, 예를 들어 쓰기, 하나 씩 쪼개서 쓰기다. 설명하는 글의 개요는 설명 대상 정하기, 조사 및 관찰히기. 개요짜기. 한 단어나 문장에 살 붙여나가기, 고치고 다듬기이다. 

 미국 대학에서는 글쓰기를 매우 강조하는데 그 이유는 글쓰기가 깊이 있게 사고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학생들이 글쓰기에 실패하는 주 요인으로 글의 구성 요소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점이 지적되었다. 때문에 개요 짜기와 다발 짓기의 반복지도가 필요하다. 개요짜기는 글의 형식과 무관하게 모든 글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일선 학교에서 개요짜기 교육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러 글쓰기는 개요형식이 반드시 등장하며 학생들은 글을 쓰기전에 개요짜기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를 교사가 중요성을 느끼고 충분히 연습시키는지 관련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이를 충분히 강조하는지에 대해선 의문이다. 하여튼 개요짜기가 글쓰기의 반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