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없는 삶 - 불안으로부터 나는 자유로워졌다
필 주커먼 지음, 박윤정 옮김 / 판미동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년들어 한국사회도 무종교를 표방하는 사람이 절반을 넘어섰다. 종교를 갖는 사람은 꾸준히 증가세였는데 이제는 어느덧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인듯 하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과학기술 문명을 구축한 나라임에도 역설적으로 선진국중 가장 종교인의 수가 많다. 심지어 대통령도 취임때 법전도 아니고 성경에 손을 얹고 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이런 미국도 어느새 3억을 넘는 인구중 수천만가량이 무종교로 돌아섰다. 어찌보면 선진사회에서 무종교는 트랜드인듯 하다.

 그럼에도 미국에서는 여전히 종교가 주는 스트레스가 상당한 모양이다. 책에 의하면 미국사회에서는 군대내에서 종교를 상당히 권장하고 있으며 실제 식사시간에 단체기도가 이루어진다. 거기에 기독교 세력이 강한 몇몇 주에서는 종교적 중립을 지켜야 마땅할 교사 및 심지어 교장까지도 종교문제로 갈등을 겪는 무신론 집안의 자식과 부모에게 종교를 믿어서 문제를 해결할 것을 강권한다고 한다. 거기에 미국사회에서는 전반적으로 종교가 없는 사람은 비도덕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믿을 만한 사람이 못되다는 의식이 팽배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니 저자가 이런 책을 낸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책을 통해 비종교인들도 충분히 도덕적이고 책임감이 있으며 공동체적 삶을 잘 영위할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비종교적 성향을 가진 서유럽지역, 일본, 대한민국등은 모든 면에서 인간의 복지를 잘 구현하고 민주주의를 잘 실현하는 선진사회다. 이 나라들은 사망률이 낮고 교육 수준및 복지수준이 매우 높으며 사회가 안정적이고 치안이 잘 구현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경제력이 높다. 반면 종교적 성향이 강한 아프리카나 남미의 국가들은 이와는 정반대다. 종교를 믿으면서도 살인률과 범죄률이 높아 치안이 낮고 평균수명이 짧으며 교육수준 및 복지가 빈곤하고 정치적으로 개 독재국가다.

 이는 국가간 뿐만 아니라 한 국가내에서도 잘 나타난다. 미국의 경우 무종교적 성향이 강한 북부지역의 주들이 경제력이 높고 개방적인 반면 종교적 성향이 강한 남부의 주들은 그렇지가 못하다.(아마 이탈리아도 북부와 남부가 이럴 것 같다.) 무종교적 성향이 강한 나라들의 유일한 단점은 자살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종교적 성향이 강한 나라중 경제력과 복지, 민주주의가 잘 구현되지 못하는 나라도 있는데 중국과 베트남이 그 예이다. 하지만 이들의 무종교적 성향은 공산주의에서 기인한 것임을 감안한다면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물론 무종교적 태도가 반드시 그 국가의 여러 선진적 지표를 만들어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적어도 필요조건은 되어 보인다. 

 저자는 세계적으로 종교가 감소하는 이유로 세 가지를 든다. 우선 종교와 보수적 우파 정치가 노골적으로 결합한 것이 시민사회에 실망감을 준 것, 그리고 카톨릭 사제들의 소아성애 스캔들에 대한 감추기, 마지막으로 임금노동력으로 돈을 버는 여성들이 증가한 것이다.

 그리고 무종교의 삶을 사는 세속주의자의 특징도 드러낸다. 그들의 특징은 물질적인 수단으로 현세의 삶을 향상시키고, 과학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섭리이며, 선을 행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것이다. 세속주의자의 선은 황금률로 소위 역지사지의 원리이다. 즉,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에게 행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무종교주의자는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도 개방적인데 이들은 인종차별이나, 강경한 국수주의 , 전쟁찬성에 모두 반대한다. 다원적 삶은 추구하는 민주주의와도 잘 어울리는 것이다.

 책에 의하면 무종교주의자들은 전체적으로 오히려 종교주의자들보다 도덕적으로 우수하다. 이는 수감률로 비교할수 있는데 무종교주의자들의 수감률은 종교주의자들의 수감률보다 낮다. 책은 이를 도덕성에 대한 자기 주체성으로 설명한다. 종교주의자들의 도덕성은 종교의 신에 기반하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벌이나 상을 타산적으로 의식하는 도덕성이라는 것이다. 반면 무종교주의자들은 이를 황금률에 기반한 내면적 나침반에 의존하며 스스로 판단하고 책임을 진다. 책에 나오는 한 사람은 종교에 기반한 도덕을 "도덕을 아웃소싱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기가막힌 표현이다.

 책을 마무리하며 저자는 무종교적 삶을 사는 4가지 형태를 제시한다.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인본주의자, 경외주의자다. 무신론자는 기본적으로 유신론을 부정하는 형태이므로 제한적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반면 불가지론자는 제한적이고 부정적인 의미를 벗어난다는 점에서 좀 낫다고 보지만 어찌보면 신과 종교에 대한 입장을 피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면이 강하다고 한다. 인본주의자는 이성과 과학, 이성적 탐구를 믿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전반적으로 좋은 개념이지만 지나치게 이성적이다. 그래서 저자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경외주의자다. 경외주의자는 우리가 여기 존재하는 이유, 우리가 생겨난 과정과 그 까닭을 인간이 어쩌면 영원히 알수 없다고 생각하며 우주의 신비를 느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과학자이면서도 우주의 신비를 논한 아인슈타인이나 그외 수많은 과학자들은 어찌보면 인본주이자라기 보다는 경외주의자에 가까웠을지도 모른다. 종교가 없는 사람이라면 위의 네가지 입장중 자신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나 같은 경우는 인본주의자에 상당히 가까운 경외주의자 인것 같다.

 책의 끄트머리에 나온 인상적인 구절로 마무리한다. "경외를 느끼고 경험하는데 신은 필요없다. 생명이 필요할 뿐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09-27 11: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 읽으셨네요 전 읽는중이라~ㅎㅎ

닷슈 2018-09-27 11:50   좋아요 1 | URL
벨루치님이라면 금방 보실수 있을 겁니다.

카알벨루치 2018-09-27 12:05   좋아요 1 | URL
머리에 쥐날려고 합니다 ㅋㅋ숙제느낌이...

2018-09-27 12: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닷슈 2018-09-27 16:00   좋아요 1 | URL
책에도 나오지만 종교인들의 종교 강요 및 억압, 회유는 기본적으로 폭력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한국군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는건 처음 듣네요. 저는 그런 경험이 없어서. 지휘관이나 부대성격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자대는 아니어도 훈련소에서는 종교행사가 좀 강압적이란 생각은 받았습니다. 물론 초코파이나 먹을 걸 주니 알아서 가는 면도 있지만요. 종교나 군대나 기본적으로 비민주적인 집단이라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