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페이퍼는 현암사가 제공한 전우익의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를 읽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당 서재 주인장인 붉은돼지의 뜬금없는 생각을 대충 옮겨 본 잡문이올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꿀꿀 

   

소생이 밥 벌어 먹고 있는 공장에 ‘H이라는 상사분이 계신다. 작년에 6개월 정도 모시고 일한 적이 있다. H님은 상당히 샤프하고 카리스마가 넘치지만 조금 쌀쌀맞고 정이 없는 그런 스타일이라고 생각했다. 누구나 첫인상이라는 게 있고, 같은 부서에서 일한 경험은 없지만 같은 공장에서 벌어먹고 있으니 오며가며 보고 또 주워들은 소문에 근거하여 소생은 H님의 인성을 대충 그렇게 파악하고 있었다.

 

H님이 술을 즐기지는 않지만 근무하다보면 한 달에 서너 번 정도는 이런저런 명목으로 술자리가 생기기 마련이다. 어느 술자리에선가 H님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자신은 가족들과 외식할 때나 아니면 혼자 커피를 사 마실 때는 일부러 한번씩 장사가 안되는 가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본인이 젊었을 적에 안 해본 장사가 없는데, 텅빈 가게에 앉아 파리만 날리는 그 쓰라리고 애타는 심정을 누구보다 잘 안다고 한다. 잘 보이려는 인기성 발언 같지는 않았다. 그말을 들으니 H님이 조금 다르게 보였다. 아둔한 소생은 이거는 본 받을 만한 일이 아닌가? 나도 한번 해 봐야겠네.’ 하는 생각을 하고 말았다.

 

올 초에 우리 공장에 인사이동이 있어 소생은 자리를 옮겼다. 옮긴 사무실 근처에는 복어집이 두 군데 있는데 서로 붙어 있다. 어쩌다 직원들과 한번씩 가보면 A집은 항상 손님들로 바글바글하고, B집에는 파리나 참새가 날아다닌다. 당연히 복어집에 갈 때는 매번 A집에 간다. 안그래도 바글바글한 가게에 또 한 바글을 보태고 만다. 갈 때마다 보면 B집은 허전하고 쓸쓸하다. 뭐 주방장이 가래침 뱉고 코풀어 비빈 음식(생각만 해도 우웩! ㅋㅋ)을 내올리도 없건만 B집에는 선뜻 발을 들여놓기가 어렵다. 인지상정이다. 허나 사자는 소리에 놀라지 않고 바람은 그물에 걸리지 않듯이 선비는 인정에 얽메이지 않는 법이니 한번 가르침을 받았으면 바로 실천궁행하는 것이 또한 선비다.

 

소생도 잘하면 방귀 꽤나 뿡뿡 뀌는 꼬장한 선비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헛된 욕심에 쓸쓸하고 적막한 B집에도 한번 가보려고 했다. 그러나 어쩌다 혹간 있는 외식 오찬의 메뉴 선정과 같은 그런 엄혹한 과업을 소생 마음대로 쭈물쭈물 할 수는 없다. 소생의 실천궁행은 부득이하게 차일피일 연기되었다. 그러던 중 어느 주말에 동네 공원에 산책을 나왔다가 일부러 파리 날리는 가게에서 커피를 사서 먹어 봤다. 그런데... 아이씨.... 열라 맛이 없는 것이다. 손님이 없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법. 내 돈 내고 내가 먹는 데 맛없는 것을 먹을 이유는 없다. ‘손님이 없는 집이라고 다 맛없는 집은 아닐 거야하고 생각해 보지만 왠지 자신이 없다.

 

다같이 잘 먹고 잘 살믄 정말 좋겠지만 그게 어렵다면, 그렇다면, 재미야 있든 없든 혼자라도 잘 먹고 잘 살아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물론 그것도 뭐 쉬운 일은 아닐 것인데... 어쨌든 잘 먹고 잘 사는 혼자들이 자꾸자꾸 꾸역꾸역 모이다 보면 언젠가는 모두가 되는 거 아이가? ....내참,,, 이게 말이가 막걸리가?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5-28 16: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5-28 16: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nomadology 2015-05-28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자본주의 만세! 경쟁사회 만세!

붉은돼지 2015-05-29 09:50   좋아요 0 | URL
서로 협동 협력해서 같이 잘 사는 그런 사회는 정녕인가요??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호호호

프레이야 2015-05-28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우익 선생의 저 책은 저도 참 좋아합니다. 식구가 식당이나 찻집 사람 많고 줄서서 기다리고 그런집 싫어해서 한산한 곳을 가는편인데 역시나 한산한 데는 이유가 있더라는 경험을 종종 하지요. ㅎㅎ

붉은돼지 2015-05-29 10:38   좋아요 0 | URL
맞아요..한산하고 손님없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 같아요...
그래도 안그런 곳도 혹 가다가 있긴 있더라구요..^^

보물선 2015-05-28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오래전에 읽고 좋아했던 책. 자기는 좌익쪽인데 이름이 우익이라고 하셨던.

붉은돼지 2015-05-29 10:40   좋아요 0 | URL
˝이 친구 이름은 전우익인데 맨날 좌익만 안하는기요˝ 라고 전우익 친구분이 그랬다고 하더군요..
저는 사실 이 책을 안 읽어봤는데 한번 봐야겠어요^^

지금행복하자 2015-05-28 1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가한 식당을 들어갔다가 역시나 했던적이 한 두번이 아니라~~ 물론 소문 난 식당도 마찬가지이지만요~~

같이 덜 먹고 같이 조금 못 살자고 하면 시대를 역행하는 멍멍이소리라고 하겠죠? ^^

붉은돼지 2015-05-29 10:44   좋아요 0 | URL
손님이 없는 식당은... 뭔가 이유가 있다는 선입견을 먼저 가지고 식당에 들어가는 건 아닌가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사실 저는 미각이 둔감해서 유명한 맛집이라고 특히 맛나지도 한가한 식당이라고 특별히 맛이 없지도 않은 것 같더라구요....맛보다는 손님을 대하는 종업원의 태도나, 식당의 청결상태, 내부 인테리어 같은 분위기 이런 것들도 식당 영업의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

오쌩 2015-05-28 2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님이 참 따뜻한 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역시 사람은 겉모습이 다가 아닌가봅니다ㅎ

붉은돼지 2015-05-29 10:49   좋아요 0 | URL
예전에 고등학교 처음 입학했을 때 제 앞에 앉은 친구의 외모가 며칠 안감은 더벅머리에 초첨 흐린 커다란 눈, 두툼한 입술, 어눌한 말투 하여튼 좀 덜떨어진 그런 외모였어요....그런데 처음 모의고사를 치고보니 이 친구가 전교 1등을 한 거예요...정말 깜짝 놀랐죠... 햐~ 역시 사람은 외모로 판단해서는 안되는구나...어린 나이에 나름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했는데...그게 또....마음 먹은대로 잘 안되더라구요....항상 생각을 해 줘고 또 자신에게 이야기를 해 줘야 하는 것 같아요

그 친구는 나중에 서울대 법대갔고 사시 합격했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그 후론 몰라요. 공부 잘 하는 친구들과는 친하지를 못해서..ㅎㅎㅎㅎㅎ

transient-guest 2015-05-29 0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일부러 손님이 없는 가게에 가봤는데, 대부분 맛이 없거나 다른 문제가 있어요. 어쩌면 악순환을 끊기 어려운 상황이라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잘 되는 집은 그대로, 안 되는 집은 그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는건 분명합니다. 맘씀씀이는 따뜻하지만, 역시 현실적인 이유로 실천은 어렵겠네요.ㅎ

붉은돼지 2015-05-29 10:53   좋아요 0 | URL
저도 h님의 마음씀씀이는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과거 경험이 큰 요인이 되었겠지만... 그런 의미에서 보면 역시 경험이 중요한 것 같아요...직접 경험이 어려우면 간접 경험....간접 경혐은 역시 독서..ㅎㅎㅎㅎㅎ
그래서 독서가 중요하다는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