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못 생긴 얼굴이 더 못 생기게 나와서 처음으로 사진 편집-모자이크 처리-을 해봤다. "선생님,  한번 안아봐도 될까요?" 했을 때 깜짝 놀라 얼굴이 새빨개지며 수줍어하시던 그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밤이 깊을수록 별은 더욱 빛난다. 는 뜻의 夜深星逾輝(야심성유휘)를 서명처럼 쓰셨던 우이동 태생의 쇠귀(우이:牛耳), 신영복 선생님. 그 뜻이 내게 얼마나 큰 위로가 되었는지. 겨우 두 번밖에 뵙지 못 했지만 그 목소리와 수줍은 웃음을 또렷이 기억한다. 목소리는 얼마나 부드러운지. 진정한 강함은 부드러움이라는 걸 나아중에야 알게 된 내게 메아리처럼 새겨졌다. 그리고 선생의 고운 글씨를 어찌 내 부족한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거나.

 

신영복 선생이 『강의』라는 책을 쓰시고 한 대학에서 교양강의를 하시던 날, 감옥에 계실 때 일화를 들려주셨다. 어떤 없이(?) 사는 죄수가 들어왔는데 (면회 오는 사람 하나 없고. 최소한의 생필품마저 없었던) 그 사람이 빨래비누로 이를 닦더란다. 그걸 보고 모두가 자기 치약을 주겠다고 하는데도 한사코 거절했다고 한다. 그래서 선생이 사람들 없을 때 슬쩍 치약을 내밀었는데도 안 받더라고 한다. 몇 번 시도하다가 관뒀는데 어느 날 "선생님이 주시는 거라면 받겠습니다." 했단다. 그러니까 그 사람은 그 치약 하나를 받음으로써 자기가 참아내야 할 암묵적인 요구(치약을 줬던 사람들의)또는 알력이 싫었던 거였다. 좋은 잠자리를 양보해야 한다든가 하는... 그런 폐쇄적인 집단에서 으레 겪어내야 하는 것. 비단 폐쇄적인 공간에서만이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말이다. 누군가를 챙기려면 "자기"가 없어야 한다는 것. '내가 챙겨준 건데, 내가 챙겨줬으니까' 하는 오만감 우월감. 보상심리 등등. 

 

내가 마음수련에서 배운 것 가운데 하나가 희사(喜捨)이다. 기쁘게 버림.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줄 때 "내가 준 건데, 내가 당신을 위해 챙겨준 건데 하는 의식. 좋은 일 해서 어깨가 으쓱해지는 유치한 기분 따위..." 가 없어야 한다는 것. 어떤 행위를 했다는 사실 자체 마저 버려야 한다는 것. 선생의 희사를 보고 그 사람의 마음이 흔들린 것이리라. 바라는 것 없이 누군가에게 주는 마음. "내가 없음" 그랬을 때 사람들은 마음을 준다는 것. 그게 진짜로 "주는" 것임을 선생은 일깨워준다.

 

선생님이 보고싶다. 한번 더 뵙지 못 한 것이 애달프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2-21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대의 어른이 없는 사회에서 시대의 어른이 돌아가시니 가슴이 아픕니다..
글구보니 이명박근 시대에.. 그 좋던, 인자하던 어른들은 다 세상을 떠났습니다..

samadhi(眞我) 2016-02-21 16:02   좋아요 0 | URL
그러니까요. 암울할 때 더 우울한 일만 생겨서 어리석은 우리는 스승을 잃어 더욱 방황하게 되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2-21 16:06   좋아요 0 | URL
이번에 보니 민주당에서 칼퇴근법을 발의했더군요..
이 기사 보고 정말 슬프더군요..
칼퇴근은 세계 어느 누구나 당연한 권리 아닙니까..
그걸 법으로 정해야 하는 정치 현실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samadhi(眞我) 2016-02-21 16:12   좋아요 0 | URL
ㅜㅜ 그래도 이렇게라도 명시해서 달라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가엾은 우리들의 자화상이 웃음 띤 얼굴로 바뀔 수 있다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2-21 16:18   좋아요 0 | URL
경총 회장인가 누군가가 그랬더군요. 노동자 새끼들 수당 챙겨 먹을려고 일부러 야근한다고.. 그래서 야근 수당 없애야 한다고...

이 세상에 누가 야근 좋아하는 노동자가 있습니까.. 한숨만 나오죠..

samadhi(眞我) 2016-02-21 16:20   좋아요 0 | URL
함께 숨쉬는 똑같은 사람을 ˝인격˝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노동자를 자기 머슴 쯤으로 알기에 사람 취급 하지 않는, 사람 위에 사람이 있다고 보는 답 안 나오는 종족들이네요.

보빠 2016-02-21 16: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희사란 말을 보니 데리다가 지은 `선물`이란 책이 생각나네요. 누구랑 사귈려면 댓가없는 줌 선물이 필요하다....나중에 보답 받을려는 거래가 아닌..

samadhi(眞我) 2016-02-21 16:46   좋아요 1 | URL
불교에서 곧잘 쓰는 말이죠. 제가 어설픈 불교도이기도 해서... 희사는 다름 아닌 자비이기도 하지요.

프레이야 2016-02-21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고도 준 것을 잊어버리기.
마음에 다시 새겨봅니다.
가신 선생의 웃는 얼굴이 너무나 좋습니다.

samadhi(眞我) 2016-02-21 17:24   좋아요 0 | URL
그렇죠? 그 순진한 웃음이 그리워요.

비로그인 2016-02-21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래와 교환이 아닌 댓가 없이 주는 선물과 같은 따뜻한 관계가 그립습니다. 역시, 신영복 선생이시네요. *^

samadhi(眞我) 2016-02-21 21:49   좋아요 0 | URL
네 ㅜㅜ

비로그인 2016-02-21 23: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희사(喜捨)에 대해 쓰신 내용을 보고 뜨끔했습니다. ^^;;

따뜻하면서도 명료한 글 정말정말 잘 읽었어요.

신영복 선생님의 선한 얼굴을 보고 있자니 저절로 미소가 떠오릅니다.

samadhi(眞我) 2016-02-22 05:59   좋아요 1 | URL
사랑받고 인정(칭찬)받고 으쓱해하고자 하는 것이 사람의 본성 아니겠습니까. 그리하지 않기 위해 도닷가(닦아) 가는 것이지요.

2016-02-22 00: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madhi(眞我) 2016-02-22 00:23   좋아요 1 | URL
네 마음이라는 것이 말하지 않아도 전해지는 것이라... 초코파이 광고 음악 노랫말처럼요.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계산적으로 주었을 때, 바로 알아차리죠.
그런 일을 겪고 나면 그 사람과 연을 끊게 되지요. 반대로 내가 그런 짓(?)을 하고 난 뒤엔 부끄럽고 후회스러워 잠 못 이루는 날들을 맞이하구요.

2016-03-05 2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madhi(眞我) 2016-03-05 20:46   좋아요 1 | URL
그렇죠? 보고 싶어요ㅠㅠ

2016-03-05 2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3-05 20: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