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ChinPei > "자동 로그아웃" .

알라딘 로그인 후 얼마 있다가 "자동 로구아웃"되어 불편합니다.
계기가 어떤 건지 전혀 알 수가 없어요. 
일정 시간 경과인지, 내 잘못인지...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악의 현대문학 가가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는 얄미운 작가다.
그의 작품에는 "읽은이는 이렇게 반응할 것이다. 그러니까 그와 반대로 이런 '장치'를 준비해 놓는 거다"라는 읽은이의 심리를 교묘하게 "조종"하려는 속셈이 행간에 나타난다.
대부분 읽은이는 그 속셈에 속아넘어가여 작품 절정에서 큰 충격을 받게 된다.
물론 대부분 추리소설의 목적이 그런 것이기는 하지만 히가시노 게이고는 그 방법이 몹시 교활하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재밌다".

이 작품 "악의"는 한마디로 말하면 "동기"를 추리하는 소설이다.
"동기 해명"이 주제로 된 소설은 그야말로 많다.
그러나 이 소설은 극히 특이하다.

수사과정은 히가시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카가형사답게 매우 세밀하고, 범인이 무심코 한 한마디를 놓치지 않고 증거도 발견하면서 사건 동기를 해명해 나간다.
그 과정은 "추리소설다운 추리소설"이다.
그러나 읽은이는 점차 혼란에 빠지게 된다 (적어도 나는 빠졌다).
소설의 페이지수를 약 3분의 1 남긴 상태에서 범죄의 동기가 "완전히 해명"되기 때문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이 이처럼 "평범한 내용"일 수가 없는데.
이 남은 페이지수는 도대체 뭔가?
다른 작가의 방대한 감상문이 실려 있는 것일까?

사실은 여기서부터 이 작품의 진짜 주제가 전개되기 시작한다.
앞부분 약 3분의 2는 기나긴 프롤로그라고도 할 수 있다.
그야말로 범인(≒히가시노 게이고)과 카가형사(≒읽은이)의 심리 게임이 벌어진다.

이 소설 마지막 "해명"의 장에서 카가형사가 말한다(단,요약은 ChinPei).
"소설 평가의 하나의 표현으로써 '인물 묘사'라는 말이 있다. 등장인물이 어떤 사람인가를 읽은이에 전하는 방법은 설명문이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동작, 대사등을 통하여 읽은이 스스로 인물을 이미지할 수 있어야한다. 그것이 '인물 묘사'다."
즉 이 작품의 주제다.
이 마지막 "해명"에서, 이 소설의 서술방법으로써 범인의 수기, 카가형사의 독백, 기록과 같은 형식을 선택한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교활한 참뜻을 알게 된다.
넘 교활해서 오히려 후륭한 작품이었다.

이 작품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중 최고급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0-07-21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그렇군요. 친페이님 이렇게 써 놓으시니 읽고 싶은 생각이 확 드네요.
도대체 얼마나 교활하길래...?^^

ChinPei 2010-07-21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건 소설을 다 읽은 후에 알 수있는 것, 라 하면 말도 안되고....
적어도 이 소설에서 히가시노 게이고는 읽은이를 Mind Control 할려고 하였다, 라고 하면 좀 알만해요? 표현이 어렵네요. -_-
 

아래 이야기는 좀 더러운 내용이 있어서 불쾌하게 느껴질지도 모릅니다.
미리 양해하여 주시고, 그런 건 보기 싫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읽지 마십시오.

 


일주일전, 엉덩이에 부스럼이 생겼다.
원인은 피부암...... 이제 온몸에 번져 남은 생명은 6개월......

 

 

이건 농담이고. ^^


그저 직장에서 오랜 시간 앉은채 앞으로 구부려 컴퓨터 화면을 노려보면서 DEBUG작업을 한바람에 엉덩이에 부스럼이 생긴 거다.
(이런 부스럼을 우리말에서 어떻게 말하는지 모른다)

재작년부터 가끔 생겼다 나았다, 생겼다 나았다를 두달 사이클로 반복하면서 작년 겨울부턴 생기지 않게 되어, "이제 완전히 나았구나" 생각했던데 8개월만에 다시 나타났다.
"오랜만이에요"라고 인사는 안했지만.

40을 넘어서 체중이 늘었고 게다가 운동을 거의 하지 않아서 근육은 떨어지고.
야윈 나의 엉덩이가 나의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게 되었구나.
생긴 부위도 부위어서 병원에도 부끄러워서 쉽게 못 가고.

어깨결림, 목결림, 허리통증과 같은 직업병에다 엉덩이 부스럼.
나의 직업, 이놈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원망하는 건 이럴 때다.


어제 아침.
아내가 늦잠을 자는 나의 파자마를 벗겨 부스럼을 확인하면서,
"야, 훌륭한 암이 생겼네요. ^^ "
해서 칼칼 웃었다.
어린 딸이,
"암이 뭐에요?"
라고 묻는데, 8월에 만10살 되는 아들이 갑자기 울상이 되어,

"당장 병원에 가야 되!! 당장 병원에 가야 되!! " 

외친다.
나는 희미한 의식속에서
"아, 얘가 이제 '암'이 뭔지 아는구나... 많이 컸구나... "
라고 생각하였다.


병원에 가면 금방 나아질거지만, 지금은 가려울 뿐이고 더 하루 지나면 그것도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젊었을 적엔 남의 일이었던 "암"도 40을 넘어서부턴 "이웃에 있는 공포"가 되었다는 건 틀림없는 일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0-07-20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마 습진이 아닐까 싶네요. 얼른 치료하셔야죠. 잘못하면 여름마다 재발하실 거에요.

ChinPei 2010-07-20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리 의사라 하더라도 남한테 자기 엉덩이를 보이는 것이 부끄러워서... -__-)

chika 2010-07-21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구, 습진이라면 요즘 피부연고가 좋으니 금방 낫습니다. 근데 제대로 치료안하면 정말 해마다 재발하고 안좋을텐데요. 의사는 사람이 아닌 의사일뿐이다,라고 생각하시고 ;;;;

ChinPei 2010-07-21 10:26   좋아요 0 | URL
네, 충고 감사합니다.
 

아들 명섭이 어제, 오늘 1박 2일 가라테(空手:공수) 합숙을 다녀왔다.
가라테를 배우는 학생 약500명 중 100명이 참가하였다.

말은 "합숙"이라곤 하지만 가라테 연습은 첫날의 오전중 1시간만.
오후는 미니 소풍 간다, 강놀이 한다, 수박깨기 한다.
밤엔 온천 들어간다, 불꽃놀이 한다, 肝試し(기모다메시=담력시험) 한다.
(일본에서 肝試し(기모다메시)라 하면 거의, 묘지나 숲과 같은 어둡고 무서운 곳을 1,2명으로 다녀오는 놀이(?)다. 어른이 가끔 유령 분장하는 경우도 있다. (^^)  )

다음날도 오전중엔 호텔 수영장에서 논다, 어린이들 출연 かくし芸(가쿠시게이)모임 한다.
(かくし芸(가쿠시게이)는 그러니까, 평상시 안하는 노래, 춤, 만담, 기예, 그런 것들을 남들 앞어세 하는 것. 주로 사람들을 웃기기 위해서 합니다. 우리말은 어떻게 말하는지 모릅니다)

이 합숙, 어린이들을 위한 "위로 여행"이나 다름이 없는 것이다 (어린 것들을 "위로"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스럽지만 ^^)


오늘 4시경에 돌아 왔다.
그런데 명섭이, "하나도 못잤다"고 했다.
작년도 재작년도 잠을 편히 자지 못했다 했지만, 올해는 완전히 밤을 새웠다 한다. 이 어린 것이.
명섭은 좀 겁쟁이이고 신경질적인 면이 있어, 일본에서 소이 말하는 "枕がかわると寢られない(마쿠라가 카와루도 네라레나이 = 베개가 달라지면 잠을 못 자다)" 하는 애다.
집에 돌아 와, 목욕해서 식사해서 6시에는 이제 코를 골기 시작했다.

아이고, 이렇게 환경 변화에 약하면 우리나라 갔을 적엔 어찌 될 건가?
4박 5일 밤을 새우면 어른이라도 못 견딘다.
그래도 반드시 우리나라 간다고 말하니, 정말 걱정된다.



집에서 자기 베개를 가져가면 제대로 잠을 잘수 있을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ka 2010-07-19 0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친구들끼리 밤새도록 놀았던 건 아닐까요? (성당에서 애들 캠핑을 가면 피곤하지도 않은지 꼬박 밤새면서 얘기하고 친구들끼리 모여서 놀고 그러는 애들이 많거든요. 제발 선생님들 잠 좀 자게 니들도 들어가 자면 안되겠니? 해도, 불끄고 이불속에서 수다떠는 애들이랍니다;;)

근데 좀 엉뚱한 얘긴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저 아는 분중에 자기 배게 없으면 잠 못잔다고 대학교 수련회에도 배게들고 다녔다고 합니다. 명섭이가 친구들과 노느라 밤샌것이 아니라 낯선 환경때문에 잠들지 못하는거라면 배게 효과도 좋을 것 같긴 하네요.

별다른 대안이 없다해도.. 설마 잼보리대회 내내 한숨 못자고 밤을 지새우진 않겠죠 ^^;;;

ChinPei 2010-07-19 00:37   좋아요 0 | URL
음, 사실 이 방, 저 방 돌아 다니면서 친구랑 "(다른 애들의)잠자는 모습 관찰하기" 했다 해요. 그런데 거의 2시,3시 돼가니까 그런 일도 귀찮게 되어 이불에 들어갔던데 결국 잠을 자지 못했다 했어요.
진짜 베개 가져 가도록 할지도... ^^

> 설마 잼보리대회 내내 한숨 못자고 밤을 지새우진 않겠죠
그랬다간 죽습니다.

pjy 2010-07-19 15: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피곤하면 어쩔수 없이 잠드겠지만 편하지 않을겁니다..
저희엄마는 아직도 잠자리 바뀌면 그러시거든요~ 하다못해 외할머니댁에 가서도요^^;
일단 심리적인 안정이 중요하니 베게는 꼭 지참해야될것 같습니다~~

ChinPei 2010-07-19 19:02   좋아요 0 | URL
pjy3926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네, 정말 무거운 건 아니니까 가져가도록 할게요. ^^

라로 2010-07-19 2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재밌네요~.

ChinPei 2010-07-20 10:51   좋아요 0 | URL
nabee님, 호호호호호.
 

도치기縣 日光(닛꼬으)市에 있는 세계유산 日光東照宮(닛꼬으토으쇼으구으).
(http://blog.aladin.co.kr/731626123/3930143  참조)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장령(將領) 明智光秀(아케치 미스히데)와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한다.


明智光秀(아케치 미스히데)라 하면 군주인 織田信長(오다 노브나가)에 반역하여 그를 살해한 "반역자"로 유명한 인물이다.
아케치는 반역 후, 豊臣秀吉(도요토미 히데요시)과의 싸움에 패망하여 도망 가는 도중의 깊은 산속에서 이름없는 백성에 살해 당하였다고 전해진다.
아케치가 죽은 건 1582년
日光東照宮가 세워진 건 1617년, 이 둘이 무슨 관계가 있는가.


日光東照宮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神으로 모신 神社다.
이에야스 만년(晩年)기 가장 그에게 큰 영향을 미친 참모장 南光坊 天海(난코으보으 텡카이)라는 승려가 있다.
이 텡카이가 바로 아케치 미스히데 본인이다는 의견이 파다하다.
그 "증거"를 여러가지 제시하는 역사학자도 있다.


1.  텡카이는 도쿠가와의 신하로서 도요토미를 완전히 멸망시키기 위해 인정 사정 없는 시책을 취했다.
(이건 도요토미에 대한 복수)

2.  텡카이는 오다 노브나가의 명령에 의해 파괴된 天台宗(뎅다이소으)의 比叡山 延曆寺(히에이산 엔랴쿠지)와 미스히데의 지배 영역이었던 오으미(近江=현 시가현) 사카모토(坂本)의 부흥에 충력하였다.
(아케치 종족의 무덤은 천대종 서교사(西敎寺)에 모셔져 있는데, 이 절은 사카모토(坂本)에 있다)

3.  히에이산(比叡山)의 산골짜기 不動堂(후도도)의 정원에 "奉寄進 願主光秀(미스히데) 慶長二十年二月十七日"라고 새겨져 있는 장명등이 있다.
(慶長(케이쵸)二十年는 서기 1615년,즉 아케치가 죽어 33년이 지나고 있다)

4.  텡카이는 日光東照宮에 가까운, 華嚴之瀧(케공 폭포)를 바라 불 수 있는 절경의 지역을 "明智平(아케치 다이라) "라고 이름 지었다.

5.  텡카이는 사망후, 시호를 慈眼大師(지겡 타이시)라고 불리우게 되었는데, 같은 호를 가진 교토의
慈眼寺(지겡사)에는 미스히데(光秀)의 좌상과 함께 미스히데(光秀)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慈眼寺(지겡사)의 明智光秀(아케치 미스히데) 좌상


6.  텡카이는 아케치 미스히데의 충실한 신하 齋藤利三(사이토 도시미스)의 딸 於福(오후쿠)를 이에야스의 손자(훗날의 도쿠가와 이에미스)의 보모로 중용하였다. 훗날 이 오후쿠는 春日乃局(가스가노 쯔보네)라고 불리우게 되어 江戶城 大奧(오오오쿠)에서 쇼군(將軍) 다음가는 권력자로 되었다.

7.  이에야스의 손자 德川家(도쿠가와 이에미스)의 光(미스)는 明智秀(아케치 미스히데)의 光(미스)라고 볼 수도 있다.

8.  日光東照宮에는, 아케치의 가문(家紋)인 桔梗(키쿄으 = 도라지 꽃)무늬가 붙은 옷을 입은 인물(인형)이 신사전체를 지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증거"가 있기는 하나, 텡카이 = 아케치 미스히데라는 학설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고, 모순되는 점도 많다고 완전히 부정하는 사람도 많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10-07-20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나모토 요시츠네와 징기츠칸이 동일인물이라는 설에 기초한 추리소설도 있잖아요.우리나라에선 김홍도가 일본에 건너가 화가가 되었다는 설이 있어요.

ChinPei 2010-07-20 17:56   좋아요 0 | URL
미나모토 요시츠네에 관한 전설은 많아요.
요시츠네는 아니지만 혹시 이런 설은 아시나요?
8세기 일본 지배 계급은 모두 다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었다는 설.
귀족들은 물론이고 천황도 다 고구려, 신라, 백제출신자들이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자기 "모국"의 세력의 강약에 따라 일본에서의 지위도 높아졌다가 낮아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특히 한때 막강한 권력을 가졌던 蘇我(소가)씨는 일본 역사학계에서도 분명 한반도 출신자의 자손이라고 합니다.
이 시대 천황을 들러싼 귀족들의 궈력다툼은 모두 모국(고구려,신라,백제)의 다툼의 연장선 위에 있었다고 합니다.
백제가 멸망할 때 일본이 지원군을 보낸, 일본에서 흔히 말하는 "白村江의 전투"는 "동맹국을 구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 모국을 구원하려는 전투"였다고 합니다.
그런 소설을 내가 읽어 봤던데, 진실인지 어떤지 알 수가 없어요. ^^
그러나 일본의 천황의 조상에 한반도 출신자가 있는건 현재 천황이 공식으로 인정하는 사실이지요.

노이에자이트 2010-07-21 16:52   좋아요 0 | URL
제가 가진 책에도 나옵니다.특히 백촌강 전투는 한일관계사에서 우호적인 시기도 있었음을 강조하는 취지로 자주 거론되지요.한국에서도 많이 거론됩니다.

ChinPei 2010-07-21 20:54   좋아요 0 | URL
점차 우리나라와 일본이 그 시기처럼 진짜 우호국이 되면 좋겠어요.

노이에자이트 2010-07-22 15:51   좋아요 0 | URL
동감입니다.

ChinPei 2010-07-22 17:55   좋아요 0 | URL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우리나라가 통일되어야지요.
그래서 남부럽지 않은 나라가 된 후 몇십년(혹시 몇백년?)이 지나서야 일제36년이 진짜 역사의 일부분이 될 수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야 우리나라와 일본이 진짜 우호국이 될 수있는거죠.
억울하지만 나와 같은 세대들은 그 장면을 아마 못 볼 것이지요...
내 생각이 좀 딱딱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