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현대문학 가가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는 얄미운 작가다.
그의 작품에는 "읽은이는 이렇게 반응할 것이다. 그러니까 그와 반대로 이런 '장치'를 준비해 놓는 거다"라는 읽은이의 심리를 교묘하게 "조종"하려는 속셈이 행간에 나타난다.
대부분 읽은이는 그 속셈에 속아넘어가여 작품 절정에서 큰 충격을 받게 된다.
물론 대부분 추리소설의 목적이 그런 것이기는 하지만 히가시노 게이고는 그 방법이 몹시 교활하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재밌다".

이 작품 "악의"는 한마디로 말하면 "동기"를 추리하는 소설이다.
"동기 해명"이 주제로 된 소설은 그야말로 많다.
그러나 이 소설은 극히 특이하다.

수사과정은 히가시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카가형사답게 매우 세밀하고, 범인이 무심코 한 한마디를 놓치지 않고 증거도 발견하면서 사건 동기를 해명해 나간다.
그 과정은 "추리소설다운 추리소설"이다.
그러나 읽은이는 점차 혼란에 빠지게 된다 (적어도 나는 빠졌다).
소설의 페이지수를 약 3분의 1 남긴 상태에서 범죄의 동기가 "완전히 해명"되기 때문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이 이처럼 "평범한 내용"일 수가 없는데.
이 남은 페이지수는 도대체 뭔가?
다른 작가의 방대한 감상문이 실려 있는 것일까?

사실은 여기서부터 이 작품의 진짜 주제가 전개되기 시작한다.
앞부분 약 3분의 2는 기나긴 프롤로그라고도 할 수 있다.
그야말로 범인(≒히가시노 게이고)과 카가형사(≒읽은이)의 심리 게임이 벌어진다.

이 소설 마지막 "해명"의 장에서 카가형사가 말한다(단,요약은 ChinPei).
"소설 평가의 하나의 표현으로써 '인물 묘사'라는 말이 있다. 등장인물이 어떤 사람인가를 읽은이에 전하는 방법은 설명문이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동작, 대사등을 통하여 읽은이 스스로 인물을 이미지할 수 있어야한다. 그것이 '인물 묘사'다."
즉 이 작품의 주제다.
이 마지막 "해명"에서, 이 소설의 서술방법으로써 범인의 수기, 카가형사의 독백, 기록과 같은 형식을 선택한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교활한 참뜻을 알게 된다.
넘 교활해서 오히려 후륭한 작품이었다.

이 작품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중 최고급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0-07-21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그렇군요. 친페이님 이렇게 써 놓으시니 읽고 싶은 생각이 확 드네요.
도대체 얼마나 교활하길래...?^^

ChinPei 2010-07-21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건 소설을 다 읽은 후에 알 수있는 것, 라 하면 말도 안되고....
적어도 이 소설에서 히가시노 게이고는 읽은이를 Mind Control 할려고 하였다, 라고 하면 좀 알만해요? 표현이 어렵네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