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독의 역사 - 우리는 왜 빠져들고, 어떻게 회복해 왔을까
칼 에릭 피셔 지음, 조행복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1월
평점 :
이 책은 자신도 알코올 중독을 겪은 현직 의사가, 중독에 대해 쓴 책이다. 생각보다 좀, 산만하다. 책을 읽고 나서도,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가 쉽지 않다. 어쨌든 내가 이해한 바는, 중독은 환원론적 원인 - 단 한 가지 가장 근본적인 - 도 아니고, 유전적 원인이나 정신적 원인도 아니고, 그저 사람마다 다양한 이유와 까닭이 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위해 저자는, 고래로부터의 중독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사례들, 그리고 자신의 중독에 대한 경험을 병치시키며 책을 진행하고 있다. 책이 재미있으면서도 읽기 까다로운 부분이 여기에 있다. 저자는 도무지 중독에 대해 정리할 여지를 갖지 못한 채 마지막 장까지 줄기차게 나아가고 있다. 어쨌든.
이 책이 강조하고 있는 바는, 이러한 중독 - 알코올이 원인일 수도 있고, 마약 때문일 수도 있는 - 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혹은 판단의 경직됨 때문에, 중독에서 벗어나거나 중독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들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라고 이해하였다.
이 책은 ‘이이제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우리나라 같으면 법령 상 이와 같이 조치하기 어려울 듯 하지만) 가령 마약 중독자인데, 어떤 한 종류의 마약에 대해 충동적이거나 자신을 악화시키는 것이 아닌 조절 가능한 반응을 보이며 일상으로 복귀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마약을 처방하여 중독으로부터 오는 부작용을 제거하는 방식을 찬성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에서, 마약 중독은 관리가 아닌 탈출,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대척점에 서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사실 그렇다. 우리 대다수는, 중독 문제의 해결은 완전한 벗어남이라고 보는 편이다. 하지만 한 번 발을 들여놓은 후 이를 일거에 뿌리치는 것이 쉽잖은 일이니, 저자는 이에 대해 전향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견해를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 물론 이 사례들이 워낙 중구난방으로 등장하여 책의 매력을 더하며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 있지만 - 피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답은 하나가 아니다. 답은 개개인에게 맞춤형으로 주어저야 한다. 큰 방향이야 있어야겠지만, 결국 개인을 파악하는 것이 모든 치료의 시작일 것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묘하게 떠올랐던 것은 ‘학원 중독’이다.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학원에 다니기 시작하였으나, 결국 학습 동기를 찾지도, 학습 성과를 드러내지도 못하는 학생의 경우, 결국 크게 보면 학원에 중독된 상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정답이라며 외쳐대지만, 나는 결국 학원에서부터 비롯된 무기력과 저항 때문에 점점 배움으로부터 멀어져가는 학생들을 여럿 보아왔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처방도 비슷하다. 결국 네 의지의 문제야.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닥친 많은 중독의 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조금은 더 가늠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재미있는 독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