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 알았다...

우리가 ‘우주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지는 백 년이 넘었다. (중략) 현재가 아무 의미 없다면 우주에는 무엇이 ‘존재’할까? ‘존재’하는 것이 ‘현재 속에’ 있는 것 아닌가? 우주가 어떤 특별한 구성으로 ‘지금’ 존재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는 생각은 이제 더는 타당하지 않다. p64-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지 않고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까지 대단한 일은 아니다. 다만 우리는 여러 본질의 표면에서 허우적거리는 습관을 버리지 못한 채 살아가기에 대단하게 여기는 것 뿐이다.

눈으로 보기 전에 이해하는 능력은 과학적 사고의 핵심이다.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다... 보드게임은 현대인이 만날 수 있는 아날로그한 관계망 매개물 중 제일 쉽고 재미나기까지 한, 놀이이기도 하다.

테이블게임은 디지털 세상과는 동떨어진 고유한 사회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이는 화려한 정보가 쏟아지고 인간관계를 가장한 마케팅이 넘쳐나는 소셜 네트워크와는 정반대다. 트위터상의 대화는 심하게 편집된 짧고 재치 있는 말의 연쇄 반응에 불과하고, 페이스북의 친구 관계는 진짜 관계라기보다는 온라인상의크리스마스 카드 교환에 가까우며, 인스타그램 피드는 일상의가장 빛나는 순간만을 담고 있다. "우리는 네트워크 안에 함께 있어도 서로에 대한 기대가 아주 낮기 때문에 심한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다." MIT 사회심리학 교수인 셰리 터클은 자신의 저서 《외로워지는 사람들》에서 이야기한다. "게다가 우리가 상대방을 접근해야 할 대상물로 생각할 위험도 있다. 상대방이 내게유용하거나 위로가 되거나 혹은 재미있는 면만을 본다. 우리가물리적이고 어지럽고 복잡한 일상의 흐름에서 우리 자신을 분리시키려고 하면…… 우리는 세상 속으로 나가서 위험을 각오할 생각을 점점 포기하게 된다."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리커버 특별판)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사고하는 방식이 어릴 때 완성된다고 보는 견해가 점점 옅어지고 있다. 사고의 방식을 결정하는 시냅스의 연결은 인생에서의 지속적인 경험과 함께 재구조화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매체, 그 중에서도 월드와이드웹의 형식으로 만나는, 소위 인터넷 데이터는 더더욱 인간의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듯 하다.

이제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유튜브와,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함께 사고하는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사고하던 방식으로 더이상 사고하지 않을 아이들을 어떻게 바라봐야할지, 이 책은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이제 우리의 사고 방식도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사고의 정수를 쌓아올리는 방식으로부터 점차로 멀어지는 것일까, 아니면 새로운 진화의 가능성을 통해 더 나은 삶을 향해 달려가는 것일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제 되돌아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 책이 쓸쓸하게 여겨지는 것은, 저자는 일껏 아날로그의 삶에 경도된 서술을 이어가면서도 결국, ‘이 기기가 없이는 살 수 없을 것만 같다.(p289)’고 고백하는 부분이다.

우리는 이 기기와 네트워크를 아이들로부터 끊어놓는 것을 해답으로 제시해서는 안된다. 아이들에게, 그들이 제대로 맛보지 못했던, 한 세대 전만해도 모든 것이자 가장 좋은 것이었던, 바로 그것의 재미를 알려주기 위해 골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제 그 산으로는 아무도 오르려 하지 않을 것이므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08-27 0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직접 알아야 어디에 있는지도, 이게 맞는지도 알 수 있다. 마치, 번역기를 사용했는데 그 번역이 옳게 된 것인지 아닌지 알아야 하는 것처럼.

보스웰은 나중에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존슨은 "어느새 몽상에서 빠져나와 몸을 획 돌리고는 ‘캠브리지 경, 이유는 아주 간단하네. 지식에는 두 종류가 있지. 하나는 우리가 어떤 주제에 대해 직접 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관련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아는 것이라네‘라고 말했다." 인터넷은 우리로 하여금 그 규모나 범위 면에서 전례가 없는 정보의 도서관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터넷은 우리가 이 도서관을 통해 편하게 분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 우리가 찾는 정확한 대상이 아니라도 적어도 당장의 목적에 부합하는 무언가를 찾도록 한다. 인터넷이 축소시키고 있는 것은 존슨이 말한 첫 번째 종류의 지식이다. 우리 스스로 깊이 아는 능력, 우리의 사고 안에서 독창적인 지식이 피어오르게 하는, 풍부하고 색다른 일련의 연관 관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바로 그 능력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08-27 0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