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11장 ‘아이보리 스노우’처럼 하얀 백인 아기

그런데 신생아 입양은 미혼모, 입양 기관, 아동 중 누구에게가장 큰 이익이 되는 것일까?
미국의 사회복지사는 백인 미혼모와 유색인 미혼모를 차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건강한 백인 아동 시장은 탄탄했지만, 그에 상응하는 흑인 아동 입양 시장은 없었다. 유색인 아기를 출산한 미혼모에게는 양육이, 백인 아기를 출산한 미혼모에게는 입양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과거 자료는 많다. 가령, 오소프스키는 전통적으로 사회복지사들은 미혼모가백인이 아닌 경우, 그냥 아이를 키우라고 했지만 "백인 십대 미혼모에게는 이러한 조언은 하지 않는다..." (Osofsky 1968:58)라고 지적했고, 실러는 1969년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백인 아기중 70%가 입양 보내졌지만, 비백인 아기 중 입양 보내진 아이는5~10%에 그친다는 통계를 제시했다(Shiller 1969). - P115

2부 12장 처벌과 강압

한편 1950~60년대 당시의 입양 중심 관행에 대한 비판적 관점도 다수 발견된다. 예를 들면, 정신과 의사 존 볼비는 사례관리자들에게 "나쁜 부모에게 방치된 아이를 구한다는 감상적 사치"를 접고, "그 부모를 도와준다며 충동적인 행동"하지 말 것이며, "다른 사람들이 친생부모보다 더 아이를 잘 돌볼 수 있다는 믿음을 주지 말라"(Bowlby 1952: 115)는 경고를 했다. 또한, 사회복지사와 사례관리자들은 "부정한 어머니"를 처벌하려는태도 대신 아기와 엄마에게 최선이 무엇인지 집중하라(Bowlbyet al. 1965: 121)고 제안했다. 한편, 1912년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 소재 미혼모 시설 ‘레이크뷰‘에 입사한 후 원장을 역임한 사라 B. 에들린은 1954년 미국 노동부 아동국이 개최한 회의에 참석하여 "징벌적 태도를 보이는 사회복지사들"과 "미혼모와 아기의 삶을 더욱 편하게 만드는 법안 마련에 저항적인 사회복지사들에게 낙담했다"(Edlin 1954: 144)고 말했다. 일곱 명의 아이를 입양하고, 1955년 ‘생모‘birth mother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퓰리처상 수상 소설가 펄 벅 역시 미혼모에 대한 태도를 우려했다. 특히 사회복지사들이 미혼모와 그 아기를 이해하려 하지 않고, 비난하고, 조롱하고, 재단한다면 이들이 행복한 가정과 지역 사회 생활을 할 기회를 과연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던졌다(Buck 1956). - P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