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젠더의 이분법적 접근
몸의 정치
폭력과 강제
일인칭 정치
해방
마리아 로사 달라 코스타
로자 룩셈부르크
과개발과 저개발
독립성

1장 페미니즘이란?

4. 운동에 참여한 각각의 여성은 가부장제 아래서 여성이 기본적으로공유하는 실존적 경험과 다른 여성과는 다른 고유의 실존적 경험을 자신 속에서 통합시켜야 한다. 그래서 특히 여성운동은 어느 곳에서나 긴장도가 높다. 이 긴장은 다른 여성과 자신을 구분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여성의 단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들인 감정적 에너지 때문이기도 하다. 이는 제1세계나 제3세계나 마찬가지이다. 여성운동이 어느 한 당파의 지도 아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슈, 캠페인, 프로젝트 등을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스스로 조직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 P56

사회과학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비역사적 경향에 따라 인종 차별은 성 차별과 동급에 놓인다. 두 차별은 성과 피부색이라고 하는 태생적 조건에 묶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많은 페미니스트가 남성과 여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물학적 환원주의를 거부하면서 여성에 대한 착취와 억압에는 사회적 역사적 뿌리가 있음을 강조했던 것처럼, 인종관계에서도 식민주의와 백인 남성이 흑인 세계에 대해 저지른 자본주의적 악행과 착취의 역사는 거의 망각되고 있다. 대신 서구와 비서구 여성 사이의 ‘문화적 차이가 크게 강조된다. 오늘날 이런 식민 관계는 국제노동분업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 이 관계는 백인 페미니스트의 의식에서도 종종 사라지곤 한다. 이 백인 여성의 삶 수준은 상당 부분 온존하고 있는 식민지적 관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백인 세계‘에 사는 흑인 여성도 이를 종종 망각한다. 이들이 ‘흑인 세계‘의 형제 자매들과 같은 피부색을 가졌다고 해서 이들이 자동적으로 흑인 세계에 사는 이들과 한 편이 되는 것은 아니다(Amos &Parmar, 1984 참조). 흑인 여성 역시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에 따라, 식민지와 계급을 따라 구분되기 때문이다. 특히 계급 구분은 성과 인종을 논할 때 자주 망각된다. - P58

필요한 것은 여성의 억압과 착취가 민중에 대한 다른 범주들에서의 억압과 착취, 그리고 자연에 대한억압과 착취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새롭게 역사적·이론적으로분석하는 것이다. - P61

신페미니스트운동이 발견한 주요한 것 중 하나는 여성사에 대한 재발견과 재평가이다. ‘여성 문제‘에 대한 분석에서 이 새로운 역사적 접근은 방법론상으로 여성해방의 정치적 목적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현재 상황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다면, 이것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도 알 수 없다. - P71

1793년국민공회에서 인간의 권리선언이 낭독되고 있던 때에, 드 구주Olympede Gouges라는 한 여성이 소리를 내어 그녀의 유명한 ‘여성의 권리‘에 대한 17개 조항을 읽었다. 그녀는 여성이 단두대에서 죽을 권리가 있다면, 단상에서 말할 권리도 가져야 한다고 선언했다. 드 구즈는 그 해에 단두대에서 죽음을 맞았다. 여성은 혁명의 선봉을 지켰지만, 이후 정치 무대에서는 배제되었다.
또한 1792년에 발행된 울스턴크래프트 Mary Wollstonecraft의 『여성의권리옹호』는 여성을 배제하는 정책을 바꾸지 못했다. 부르주아 계급의 여성이라고 할지라도 공공 영역과 정치권력에서 배제되었다. 미국에서만이 아니라 유럽에서 일어난 19세기의 여성운동은 부르주아 혁명에서 제시된 자유·평등·우애의 보편적 원리와 이런 권리에서 의도적으로 여성을 배제한 것 사이의 모순에서 발화되었다. 따라서 구여성운동의 투쟁은 여성이 이런 공적이고 정치적인 영역, 부르주아 남성이독점하고 있는 영역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19세기 말 독일에서 프롤레타리아 여성운동을 시작하고 이끌었던 제트킨 Clara Zetkin은 이렇게 ‘여성의 권리‘에 집착하는 것을 시대착오적인 부르주아 페미니즘‘이라고 비웃었다. 그러나 맑스와 엥겔스의 이론에 기초한 사회주의적 여성해방전략도 기본적으로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 P73

그러나 우리 스스로를 속이지 말자. 인간의 성과 섹슈얼리티가 순전히 자연적이고 생물학적 문제였던 적은 결코 없었다. 여성의 혹은 남성의 몸이 순전히 생물학적 문제였던 적도 없었다(2장 참조). 인간의 본성은 언제나 사회적이고 역사적이었다. 인간 생리는 모든 역사를 통해 다른 인류와, 그리고 외부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어 왔다. 따라서 성도 젠더만큼이나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범주이다. - P81

전략적으로 발전시킨 것은 아니다. ‘몸의 정치‘는 우리 사회에서 남녀관계가 기본적으로 폭력적이고 억압적 성격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정한 이슈에 대해 서구 사회의 여성 대중이 분노하고 저항하면서 성장해 나온 것이다. 그 이슈들은 무엇이었는가? - P83

폭력과 강제는 몸의 정치가 유지되는 영역에서 불평등한 권력관계가 작동하는 주된 메커니즘으로 보인다. 여성은 자신의 몸이 자신으로부터 소외되어 타자의 대상이 되고, ‘점령지‘가 되는 것을 더욱 분명히 보게 되었다. 많은 이들이 남성 지배, 혹은 이제부터 많이 사용하게된 용어인 가부장제가 공공정치 영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남성의여성 몸에 대한 통제에,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생식능력에 대한 통제에 기원을 둔 것임을 이해하기 시작했다(Millet, 1970). - P85

이 사회에서 자주 찬미되는 ‘평화‘가 사실은 여성에대한 일상적이고 직간접적인 공격에 기초한 것임을 점점 더 많은 여성깨닫기 시작했다. 독일 평화운동에서 페미니스트는 이런 슬로건을 만들었다. ‘가부장제의 평화가 여성에게는 전쟁이다." - P87

페미니스트운동이 정통 좌파의 전통뿐 아니라 구여성운동과도 결별하는 또 다른 지점은 여성의 노동과 관련해서이다. 구여성운동과정통 좌파는 사적인 가사노동 혹은 맑스주의 용어로, 재생산 노동과공공의 생산노동, 혹은 임금노동 사이를 가르는 자본주의적 구분을수용한다. 이들에 따르면, 임금노동 영역만이 여성의 해방, 나아가 혁명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러나 페미니스트는 이런 노동 구분에 도전할 뿐 아니라, ‘노동‘과 ‘노동이 아닌 것‘에 대한 규정에도 문제를 제기한다. 이런 접근방식은 다른 이분법적 구분처럼, 정치와 경제를 구분하는 통념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한다. 여성이 개인적이고 사적‘인 것을 정치적인 것으로 여기기 시작한 이상, ‘사적‘ 영역에서 수행하는 일, 즉 가사노동을 재평가하고 재규정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다.
페미니즘이 시작했던 논쟁 중 가장 풍성한 결실을 거둔 것 중 하나는 가사노동에 관한 것이다. - P96

달라 코스타는 자본이 만들어낸 임금노동자와 임금노동자가 아닌 사람들 사이의 인위적 구분과 서열화를 거부한다.

자본이 사람을 임금노동자로 만들어 복속시키는 방식으로, 자본은임금노동자와 임금노동자가 아닌 다른 프롤레타리아 사이에 틈을만든다. 임금노동자가 아닌 이들은 사회적 생산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저항운동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간주된다(Dalla Costa, 1973:33). - P98

룩셈부르크는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에 대한 분석을 위해 맑스의 자본의 확대재생산과정 혹은 자본축적과정에 대한 분석(Marx,
Capital, Vol. II)을 이용하려고 시도했다. 룩셈부르크는 맑스의 자본축적모델은 자본주의가 임금노동자와 자본가만이 존재하는 폐쇄된 체제라는 가정에 기초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녀는 그런 체제는 역사상 존재한 적이 없다고 하면서, 자본주의는 룩셈부르크의 표현을 빌면, ‘비자본주의적 환경과 조건‘을 항상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노동력과 자원의 확충, 그리고 무엇보다 시장의 확장을 위해서다. 이런 비자본주의적 환경과 조건은 초기에는 자신들의 ‘자연 경제‘를 갖고 있는 농민과 장인이었고, 나중에는 식민지였다. 룩셈부르크에게 식민주의는 단지 자본주의의 마지막 단계(Lenin, 1917)가 아니다. 자본주의의 지속적인 필수조건이다. 다시 말하면, 식민지가 없다면자본축적 혹은 자본의 확대재생산은 멈추게 될 것이다(Luxemburg,
1923:254-367). - P102

우리가 남녀관계를 말할 때 착취를 말하지 않는다면, 억압과 종속에 대한 우리의 이야기는 공중에 붕 뜬 것이 될 것이다. 얻는 것이 없다면 왜 남성이 여성에 대해 억압적이겠는가? 착취와 관계되지 않는억압 혹은 종속은, 그렇다면 순전히 문화적 혹은 이데올로기적 문제가 된다. 어느 정도는 타고난 남성의 공격적이고 새디스트적 경향 등을 언급하지 않고는, 그 근원을 알아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착취는생물학적 혹은 심리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 범주이면, 그 기초에 남녀관계가 자리하고 있다. 이는 가부장적 부족과 사회에 의해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달라 코스타와 마찬가지로, 나는 여성의 착취에 세 가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여성은 (경제적으로만이 아니라, 인간적으로서도) 남성에게 착취당한다. 그리고 자본에 의해 가정주부로 착취를 당한다. 만약 여성이 임금노동자라면 [자본에 의해 임금노동자로서도 착취를 당한다. 그러나 이 착취조차도 다른 두 가지의 연결되어 있는 착취 형태에 의해 규정되고, 강화된다. - P107

자칭 페미니스트인 여성 대부분은 이런 전망에 별 관심도다. 평등에 대한 요구가 이 체제 내에서 실현될 것이라고는 누구도 생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남성이 걱정하는 것처럼, 페미니스트가 원하는 것은 남성 지배를 여성 지배로 대치하는 것일 뿐이라는 생각은 틀렸다. 대다수 페미니스트에게 ‘평등‘은 특권의 평등을 의미할뿐이기 때문이다. 페미니스트운동은 (남성) 권력 엘리트를 다른 (여성)권력 엘리트로 대체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엘리트도 다른이들을 착취하고 지배하며 살아가지 않는, 서열이 없고, 중앙이 없는사회를 만들고 싶어하는, 기본적으로 무정부주의운동이다. - P108

‘과개발과 저개발‘은 따라서 본질적으로 착취적인 세계질서의 양 극단이며, 지구적 차원의 자본축적 혹은 세계 시장을 통해 구분되면서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 P113

페미니스트는 독립성 개념을 통해 인간 본성 깊숙이에 있는 주체성을 여성들 속에서 주장하고, 강화하고 재창조하고 싶다. 그런 페미니스트의 열망은 지금도 계속 견지되고 있다. 한편, 자본주의가 마케 - P114

팅 전략들을 통해 원자화된 개인에 초점을 맞추면서, 독립성 개념에내재한 인간적 열망을 곡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무시할 수 없다. 자본주의 상품시장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모든 욕망과 필요를 충족시킬 자유가 있다는 환상이 만들어지면서, 개인의 자유는 이것인지저것인지를 고르는 상품 선택과 같은 것이 되었다. 인간의 자기 활동성과 주체성은 개인적 소비주의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개인주의는 서구 페미니스트 사이에서는, 페미니스트의 단결과, 페미니스트의 목적을 성취하는 길에서 중요한 장벽이 되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