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우리 아이들이 솔직하고 성실하게 행동한다면 우리는 그 솔직함과 성실함을 아이를 속여도 되는 빌미로 이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체벌은 정말로 훌륭한 교육 체제에서는 전혀 필요가 없다. 심지어 화난 표정이나 꾸짖는 말조차 완전히 퇴출될 것이다. 그러나 어떤 교육 체제든 아이에게 자신의 성실함을 후회하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한다면 너무나 한심하고 해로워 보일 수밖에 없다. - P101

독서가 불공평한 오명을 얻게 된 이유는 진정한 독서 방식을 충분히 고심해 본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는 태양의 표면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흑점이 연료의 일종으로 타면서 찌꺼기를 배출하고, 머지않아 태양 자체를 이루는 물질로 바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독서에 있어서도 우리가 읽는 가설이 항상 머릿속에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채 이전과 똑같은 내용으로 덩어리째 남게 되면, 의심의 여지 없이 사고를 기형적으로 만들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바른 태도로 책을 읽는다면 아무리 많은 책을 읽어도 좋을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읽는 것에 자신의 성찰을 가미한다면, 작가의 생각과 주장을 분석한다면, 책의 각 부분을 비교해 오류를 찾아내고, 그 구성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충분히 훌륭한 부분은 받아들이고 마음속으로 그렇지 못한 부분에 왜 반대하는지 이유를 설명한다면 말이다. 현명한 독자는 작가가 제시하는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생각을 머릿속에 떠올릴 것이다. - P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