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속의 이야기를 눈치 채셨는지 모르겠지만, 시 안에 들어 있는이야기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을 듯해요. 사물과 사물, 그리고 사물과 인간이 이야기를 밀고 나가는 형태가 하나이고, 제가 직접경험하고 만난 이야기 그대로를 시로 끌어 오는 형태가 그 하나인데, 전자는 상당히 정적인 자세에서 시를 만나는 것이겠고, 후자는굉장히 적극적인 자세로 일상의 현장에서 시를 추출해내는 형식이겠지요.
여행을 많이 다니는 건, 역시 피血의 핑계를 댈 수밖에는없는데 그 다분한 방랑벽으로 혼자 떠난 곳에서 가만히 있거나, 아니면 낯선 누군가를 만나는 것.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여행이라면 그 안에서 시를 생각하고 시의 실마리를 잡으려는시간이 ‘의식儀式이겠죠. 의식이라고 해서 거창한 것은 아니고절대적으로 혼자 있음으로 해서 예민해져 있는 시간, 공간 속으로자연스럽게 시가 스며들기를 기다린다고 할까요. 잘 알려진 것처럼, 그리고 인류의 많은 시인에게 그러한 것처럼 시는 오는 거예요. 성큼 먼저 가 있어도 안 되는 것이고, 끌어당겨서도 안 되는것이에요. 그렇다면 기다리는 일일 겁니다. 마치 삶처럼 말이죠. 기다리다가 지치기도 하는 것이고 무언가가 와도 내가 온 것을모르면 그냥 놓치고 마는 것이겠지요. 그것 또한 삶처럼 말입니다. - P161

글을 쓰는 건 사는 것하고 똑같아서 ‘안으로 멀리 뛰기‘ 같은 걸수도 있어요. 글을 쓰는 건 행복한 일이에요. 외로운 일이지요. 미친 짓이구요. 그러다 죽을 만큼 기쁜 일이구요. - P165

네, <슬픔의 공장> 사장님이죠. (웃음)
근데 슬픈 건요. 생물학적으로 서로 친밀한 관계를 끌어올리는 능력이라고 하는 글을 어디서 봤어요.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의 부산물이라고도 하구요. - P209

마종기 시인에게서 ‘당신‘이라는 말을 제대로 배운 것이겠고,
허수경 선배한테서 ‘당신‘이라는 발음을 좀 정확히 알았죠.
이성복 선생에게서 ‘당신‘의 갈피를 조금 잡은 것뿐이고요. - P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